바쁜 현실에 처한 우리 현대인들은 무척이나 숨 가쁘게 살아간다. 자본주의 체제 속 커져만 가는 욕망을 좇아 아등바등 살아가느라 숨은 리듬을 잃고, 몸과 마음은 병들었다. 도로에서는 목적지를 향해 한시바삐 달려가는 차들의 경적과 언성이 끊임없이 울리고, 현대시에는 어지러운 문장만 가득하다. 저자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답을 숨과 쉼, 그리고 숨의 언어인 시에서 찾는다. 숨을 중심으로 하여 문학적 상상력과 현자들의 사상, 그리고 서적 등을 바탕으로 숨의 언어를 이해하고자 했다.
올바른 숨을 내쉴 때 비로소 평온한 마음과 쉼을 가질 수 있다. 이로써 언어는 순화되고, 올바른 언어를 통해 우리의 마음과 영혼을 치유하는 시를 써내려갈 수 있다. 숨, 쉼, 시의 상호작용을 통해 호흡을 되찾음으로써 몸과 마음이 치유되고, 올바른 언어를 구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언어는 우리 생활 전반을 좌지우지한다. 보이지 않지만 우리의 머릿속과 의식, 무의식을 지배한다. 말을 통해서 사람 간의 소통이 가능해졌고, 우리의 감정과 정서를 표현하는 시를 창작할 수 있게 되었다. 저자는 인간이 낼 수 있는 가장 원초적인 목소리이자, 노래에 언어를 부여한 시를 써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우리 마음속의 가장 깊은 곳에서 우러나오는 말을 꺼내야 한다는 것이다. 모두 마음의 짐을 고스란히 내려놓고, 혼자만의 시간을 가지며 휴식을 취해보자. 비로소 숨의 리듬을 되찾을 수 있을 것이다.
책머리에 중에서
코로나 바이러스가 아니더라도 우리는 끊임없이 위험사회를 경험하고 있다. 이런 위험은 이미 오래전 자본주의가 고도로 발전하면서 시작되었다. 우리는 자기 욕망을 너무 키웠고, 결국 자기 파괴적인 지경에 이르렀다. 우리는 너무 숨차게 살아간다. 아등바등 살아가느라 숨은 리듬을 잃었다. 리듬을 잃은 숨은 정신적으로 육체적으로 우리를 불행에 빠뜨린다. 풍요롭게 살아가지만 만족하지 못하고, 경쟁심은 하늘을 찌르며, 몸 여기저기가 아프다. 이제 숨의 리듬을 회복해야 한다. 숨을 어떻게 쉬어야 하는가.
숨은 무엇인가. 먼저 숨을 이해하지 않고는 제대로 된 숨을 쉴 수 없다. 숨과 쉼, 그리고 숨의 언어인 시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 것 인가, 왜 우리는 병들고, 마음이 편하지 못한가, 우리의 몸과 마음의 연결고리는 무엇인가, 왜 우리에게는 침묵이 필요한가, 무엇으로 우리의 마음을 평화롭게 할 것인가 등을 숨을 중심으로 때로는 논리적으로, 철학적 성찰로, 그리고 때로는 문학적 상상력이나 체험적으로 접근해보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접근을 위해 여러 사례나 서적을 참고하였다. 노자에서, 선불교에서, 그리고 성경이나 힌두의 지혜로부터 끌어오기도 했다.
결국 숨, 쉼, 시를 하나의 지평에 두고 그 접점을 찾아보고자 했다. 숨은 쉼으로 발전하고, 다시 시로 연결되었을 때 어떠한 현상이 나타나는가를 살펴보았다. 그와 함께 오늘날의 시나 언어가 왜 이렇게 각박해졌는가를 숨의 언어로 해석해보았다. 위험에 빠져 있는 몸을 보호할 수 있는 최소한의 단위인 숨을 제대로 이해하자는 게 이 책의 목적이다. 이 책을 읽고 많은 독자들이 더 이상 숨차게 살아가지 않기를 바란다. 이제 쉬어가자. 침묵을 배우자. 그러기 위해서 자기를 찬찬히 들여다보고 자신의 숨을 찾기를 바란다. 무엇보다도 실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