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뿌리산업과 산업융합 동향과 기술개발 전략

뿌리산업과 산업융합 동향과 기술개발 전략

  • 편집부
  • |
  • 비아이알
  • |
  • 2012-12-27 출간
  • |
  • 331페이지
  • |
  • 210 X 297 mm
  • |
  • ISBN 9788966670819
판매가

290,000원

즉시할인가

261,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61,0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제 1장 뿌리산업 동향과 기술개발 전략
1. 뿌리산업 동향과 정부 정책 동향
1-1. 뿌리산업 개황
1) 뿌리산업의 개념
2) 첨단산업에 적용된 뿌리산업
3) 해외진출 국내 뿌리기업 성공사례
1-2. 국내외 뿌리산업 동향
1) 국내 뿌리산업 현황
2) 주요국의 뿌리산업 동향
1-3. 제1차 뿌리산업 진흥 기본계획(‘13~’17년)
1) 개요
2) "제1차 뿌리산업 진흥 기본계획" 주요내용
1-4. 제1차 뿌리산업 진흥 기본계획 세부 추진과제
1) 뿌리산업 지원시스템 구축
2) 뿌리기술 R&D시스템 구축
3) 뿌리기업 공정혁신 촉진
4) 뿌리인력의 선순환 구조 정착
5) 경영 및 근무환경 개선
2. 뿌리산업분야 기술개발 동향과 전략
2-1. 제조기반분야 기술개발 테마
1) 회절광학소자용 절삭가공 공정 기술 개발
(1) 필요성
(2) 연구목표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2) 열교환 방식 Zero Carryover 액체식 제습/재생 기술 개발
(1) 필요성
(2) 연구목표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3) 스마트 섬유 가공용 하이브리드 코팅시스템 개발
(1) 필요성
(2) 연구목표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4) 나노복합구조물 응용제품 생산을 위한 금형가공 및 에너지절감 성형시스템 개발
(1) 필요성
(2) 연구목표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5) 굴삭기 에너지 10% 저감형 전자제어 유압시스템 설계기술 개발
(1) 필요성
(2) 연구목표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6) 에너지 소비량 10% 이상 저감된 5축 머시닝센터 기반 복합가공기 개발
(1) 필요성
(2) 연구목표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7) 저온잠열재이용 냉장/냉동 2실형 저온컨테이너 시스템 기술 개발
(1) 필요성
(2) 연구목표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8) 1mm급 난가공성 금속튜브 제조 및 기능성 표면처리 기술개발
(1) 필요성
(2) 연구목표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9) 방수제품용 복합 열가소성/열경화성 이종소재 정밀사출금형 기술개발
(1) 필요성
(2) 연구목표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10) 20ft 접이식 컨테이너용 15kN급 힌지 시스템 개발
(1) 개요 및 필요성
(2) 연구목표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11) 충격저감 및 전자유압제어장치가 적용된 농기계용 프론트 로더 시스템개발
(1) 개요 및 필요성
(2) 연구목표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12) 감속비 180~210 범위의 타워크레인 선회용 2단 유성감속기 개발
(1) 개요 및 필요성
(2) 연구목표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13) 잠열축냉식 냉동시스템 기반의 18m3급 가변형 구조 저온컨테이너 시스템 개발
(1) 개요 및 필요성
(2) 연구목표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14) 공작기계 선회테이블용 대형 트러스트 베어링의 국산화 개발
(1) 개요 및 필요성
(2) 연구목표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2-2. 산업소재.화학공정 분야 기술개발 테마
1) 신규 탄소자원으로부터 에틸렌글리콜/파라자일렌 제조용 신촉매공정 기술개발
(1) 필요성
(2) 연구목표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2) 신규 탄소자원으로부터 에틸렌글리콜/파라자일렌 제조용 신촉매공정 기술개발(1세부과제)
(1) 연구목표
(2)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3) 신규 탄소자원으로부터 에틸렌글리콜/파라자일렌 제조용 신촉매공정 기술개발(2세부과제)
(1) 연구목표
(2)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4) Super Hybrid 복합공정을 사용한 50" UD급 차세대 OLED TV용 재료개발
(1) 필요성
(2) 연구목표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5) 고효율 Color Filter용 Hybrid Color Resist 개발
(1) 필요성
(2) 연구목표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6) 중대형 이차전지용 고투과성, 고안전성 분리막 소재 및 공정 개발
(1) 필요성
(2) 연구목표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7) 20년 이상의 내구성을 갖는 에너지 소자를 위한 태양전지용 불소계 소재 제조 기술 개발
(1) 필요성
(2) 연구목표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8) Damage Free 기술을 이용한 10nm급 반도체 및 8세대 디스플레이용 세정장비 기술 개발
(1) 필요성
(2) 연구목표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9) 하이브리드 반도체 스토리지용 저전력 차세대 메모리 재료 개발
(1) 필요성
(2) 연구목표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10) 온도제어기술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8G급, 반도체 1x/2x nm 급 열처리 핵심기술개발
(1) 필요성
(2) 연구목표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제 2장 산업융합 정책동향과 R&D 전략
1. 산업융합 발전 정책동향
1-1. 제1차 산업융합 발전 기본계획(안)(2013~2017)
1) 개요
2) 주요내용
(1) 비전 및 주요 정책
1-2. 산업융합 등장과 향후 전망
1) 융합을 중심으로 세계 경제 패러다임 변화
2) First-mover 도약을 위한 신성장전략 추진
3) 산업융합의 주요 동인
(1) 기존산업의 성장 둔화
(2) 가치관 및 생활패턴의 변화
(3) 핵심 요소기술의 혁신
4) 산업융합으로 변화되는 미래상
1-3. 국내외 산업융합 동향
1) 일반현황
2) 주요국 정책 동향
(1) 미국
(2) EU
(3) 일본
(4) 중국
3) 국내 산업융합 정책 추진현황
4) 국내 산업융합의 주요 성과
(1) 주력산업 고도화 및 융합 新시장 창출
(2) 콘텐츠·서비스 융합 확산 및 사회적 요구에 대한 대응노력
5) 국내 산업융합의 제약요인 및 도전 과제
(1) 산업융합 시장 창출 측면
(2) 사회적 가치 창출 측면
(3) 산업융합 인프라·기반 측면
6) 비전과 목표
2. 향후 추진과제와 목표
2-1. 산업융합 강국 견인
2-2. 스마트융합확산과 살기 좋은 생활
2-3. 녹색융합을 통한 지속성장
2-4. 융합인프라 조성
2-5. 주요 정책과제별 추진일정 및 주관부처
1) 더불어 풍요로운 산업융합 강국 견인
2) 스마트융합 확산으로 살기 좋은 생활 구현
3) 녹색 융합을 통한 지속성장 역량 강화
4) 창의적이고 열린 융합인프라 조성
3. 산업융합원천 R&D 전략(2013~2017)
3-1. 개요
3-2. 28대 기술분야별 비젼,목표와 기술로드맵
1) 나노융합
2) 바이오
3) 의료기기
4) 로봇
5) 지식서비스
6) 자동차(그린카/스마트카)
7) 조선
8) 생산시스템
9) 생산기반
10) 금속재료
11) 섬유의류
12) 화학공정소재
13) 세라믹소재
14) 플랜트 엔지니어링
15) 시스템반도체/이차전지
16) 반도체 공정/장비
17) 디스플레이
18) LED/광
19) 홈네트워크/정보가전
20) 디지털TV/방송
21) 차세대 이동통신
22) BcN
23) SW
24) 차세대컴퓨팅
25) 지식정보보안
26) RFID/USN
27) 신산업 IT융합
28) 주력산업 IT융합

제 3장 산업융합의 핵심 IT융합 동향과 발전
1. 국내 IT산업 성과와 향후 과제
1-1. 국내 IT산업 성과와 과제
1) 그간의 경과
(1) 지난 4년의 평가
(2) 주요성과
2) 미래 IT 환경변화와 우리의 현실
(1) 미래 IT 환경변화
(2) 국내 현실
3) 2020년 IT 미래비전 및 향후 과제
(1) IT융합 2단계 확산
(2) 글로벌 SW 중견기업 육성
(3) 창의적 융합인재 확충
(4) 청년창업 및 해외진출 지원
(5) 100세 시대 스마트복지 구현
(6) 교육소외계층 격차 해소
(7) 지능형 생활.재난 안전망 구축
(8) 전자정부 등 경험 공유
(9) 글로벌 콘텐츠 강국 실현
(10) 세계 최고 수준의 네트워크 구축
4) Giga KOREA 전략
(1) 기본방향
(2) 분야별 추진과제
(3) 추진체계 및 기대효과
2. 국내 IT융합산업 생태계와 확산전략
2-1. IT융합 산업의 등장 배경
2-2. 10대 산업별 IT 융합시장 전망
1) 자동차
2) 조선
3) 의료
4) 섬유
5) 기계·항공
6) 건설
7) 국방
8) 에너지
9) 로봇
10) 조명
2-3. 최근의 IT융합 산업 생태계
2-4. 2차 IT융합 확산전략 (2013-2017)
1) 개요
2) 추진배경
(1) 산업패러다임의 변화
(2) IT융합의 개념 및 발전방향
3) 지난 4년간의 IT융합 성과
(1) 개요
(2) 그간 IT융합정책 추진경과(’08~현재)
(3)「IT융합 확산전략」정책 방향
(4) 해외 주요국 IT융합 정책동향
4) 추진방향
5) 정책과제
(1) IT융합을 통한 주력산업 글로벌 경쟁력 제고
(2) 생활밀착형 IT융합서비스 창출
(3) IT융합 공통 인프라 확충
6) 기대효과
3. 5대 주력산업과 5대 서비스 IT융합 전략
3-1. 5대 주력산업과 IT융합
1) 자동차 IT융합
2) 조선.해양플랜트 IT융합
3) 섬유 IT융합
4) 국방.항공 IT융합
5) 에너지 IT융합
3-2. 5대서비스 IT융합산업 동향
1) 먹을거리 IT융합 주요동향
2) 교육 IT융합 주요동향
3) 헬스케어 IT융합 주요동향
4) 재난·치안 IT융합 주요동향
5) 교통(ITS) IT융합 주요동향
4. IT융합 기술개발 동향과 전략
4-1. 주요 농산물의 생육 및 생산량 주기적 모니터링 및 예측 시스템 개발
1) 필요성
2) 연구목표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4-2. 항만장비 통합 모니터링 기반 지능형 컨테이너 터미널 운용시스템 개발
1) 개요 및 필요성
2) 연구목표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4-3. 스마트 영상유도 기술 기반 dual-head 방사선 치료시스템 개발
1) 필요성
2) 연구목표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4-4. 고령자의 일상생활 안전 및 그룹 소통을 위한 웰니스 시스템 개발
1) 필요성
2) 연구목표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4-5. 쌍방 최대 300명 동시 전투훈련이 가능한 군 전술훈련 시뮬레이터 개발
1) 필요성
2) 연구목표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4-6. EAL4급 군사용 융합 보안 솔루션 개발
1) 필요성
2) 연구목표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4-7. 야외 활동용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모듈의 고성능 패키징 기술 및 제품 개발
1) 필요성
2) 연구목표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4-8. 자율안전주행을 위한 협력제어통신/보안 기술 및 핵심 코어 칩 개발
1) 필요성
2) 연구목표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4-9. 잠재 역량 진단을 위한 감정특이점 기반 맞춤형 인지센싱 및 플랫폼 기술개발
1) 필요성
2) 연구목표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4-10. 놀이용 인터액션 Smart Big board 개발
1) 필요성
2) 연구목표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4-11. 실감 디지털 캔버스 구현을 위한 실제 붓이미지 입출력 센싱 및 플랫폼 개발
1) 필요성
2) 연구목표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4-12. 안구 적응형 3D 영상구현을 위한 마이크로 액체렌즈어레이 패널 개발
1) 필요성
2) 연구목표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4-13. 만성질환 관리를 위한 인체삽입형 생리기능 자동감시 시스템 기술 개발
1) 필요성
2) 연구목표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4-14. 국제 해양 GIS 표준기술 기반 차세대 항행 정보지원 시스템 기술 개발
1) 필요성
2) 연구목표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4-15. 다축 모션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범용 오감 융합형 스포츠 시뮬레이터 개발
1) 필요성
2) 연구목표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4-16. 이동형 비접촉 고정밀 투과영상 탐지시스템 개발
1) 필요성
2) 연구목표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4-17. 멀티미디어 서비스 통합지원을 위한 철도차량용 광대역 핵심부품 및 장치개발
1) 필요성
2) 연구목표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4-18. 차량용 AVN/ECU 소프트웨어 통합 업데이트 시스템 기술 개발
1) 필요성
2) 연구목표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4-19. 어패류 복합양식빌딩 구축을 위한 생장/생육 통합관리 기술개발
1) 필요성
2) 연구목표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4-20. 무전지 생체주입 감지장치를 이용한 이력관리 기술
1) 필요성
2) 연구목표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4-21. 인프라 없는 전장환경에서의 인지통신기반 무선 멀티홉통신 및 항법기술개발
1) 필요성
2) 연구목표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4-22. 불투명 박막적층 소자의 내부 결함 검사를 위한 광대역 복합광원 기반 품질 검사 시스템 개발
1) 필요성
2) 연구목표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4-23. 운전환경 개선을 위한 감성기반 스마트카 HVI 시스템 기술개발
1) 필요성
2) 연구목표
3) 지원기간/예산/추진체계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