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전태일을 새롭게 조명할 생생한 이야기들을 펴내며…
분신 항거 50주년을 맞아 전태일을 조명하려는 열기가 뜨겁다. 그는 오늘날 열사로 호칭된다. 많은 이들이 한국 사회를 전태일 이전과 이후로 구분하여야 한다고도 말한다. 그것은 그의 의거가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을 반증하는 것이리라. 전태일! 그는 분명히 한국현대사에 굵은 획을 그었음이 틀림없다. 그러나 의거 반세기가 지났고 그의 평가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한 문헌이 많지 않은 것 또한 사실이다. 이런 사정에 비추어, 이 책 <인간 해방의 횃불 전태일 실록 I, II>의 출판은 전태일 연구와 평가를 위한 진일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무엇보다도 1300쪽에 달하는 방대한 분량만큼이나 인간 전태일을 상세하게 그리고 있다는 점에서 진일보이다. 그 근저에는 37년이라는 오랜 기간 동안 300인에 달하는 관련 인물들을 찾아다니며 자료를 수집해온 저자의 끈질긴 노력이 자리잡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이 책이 ‘전태일 실록’이라는 이름을 가질 수 있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다름 아닌 어머니 이소선 여사의 때에 따른 생생한 증언들 때문이다. 그래서 독자들은 어쩌면 이 책을 이소선 일대기로 여길지도 모른다. 이소선을 접어두고 전태일을 말할 수 없는 까닭이다.
이 책은 전태일의 생애를 연대적으로 따라가면서 9부, 50장으로 구성하여 서술했고, 2책으로 꾸몄다. 그리고 말미에 ‘못다 한 이야기’ 들을 덧붙였는데, 사실 이 부분은 전태일을 둘러싸고 일어난 사건들과 논란들에 관해 저자가 추적한 열매들이다. 따라서 이 부분은 낙수라는 이미지를 갖게 하는 ‘못다 한 이야기’라는 제목과 달리 각 편이 매우 치열하다. 진실을 밝힌다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을 서술해가는 저자의 견지는 사실이 무엇이냐를 찾아 세세하게 진실을 밝히자는 것인데, 그것은 책의 전편을 통해서 일관된다. 그런 의미에서 저자는 이 책이 전태일 연구의 본격적인 시작이 되기를 소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