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스러져간 백제의 함성

스러져간 백제의 함성

  • 최병식,노중국,심정보,양기석,김주성,권오영,김기섭,임영진
  • |
  • 주류성
  • |
  • 2020-11-09 출간
  • |
  • 292페이지
  • |
  • 177 X 227 X 20 mm / 618g
  • |
  • ISBN 9788962464283
판매가

20,000원

즉시할인가

18,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8,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사료 고증 및 고고학 발굴 조사, 백제 유민이 남긴 금석문 등
백제 부흥운동과 관련하여 보다 실증적이고 객관적인 연구 성과를 담았다.

고구려나 신라에 맞서 삼국의 패권을 다투던 백제가 660년 7월 신라와 당 연합군의 대대적인 공격을 받아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채 일시에 궤멸되어 멸망하였다. 이에 따라 당나라 소정방은 항복한 의자왕을 비롯하여 왕족과 신료, 그리고 백성 1만 2천여 명을 포로로 끌고 귀환하였으며, 당은 왕도 사비도성과 북방의 웅진성을 중심으로 웅진도독부를 설치하여 백제의 옛 땅을 지배하려 하였다. 그런데 백제가 멸망한 지 얼마 안 되어 각처에서 무너진 백제를 다시 세우려는 부흥운동이 일어났다. 백제 부흥운동은 주류성과 임존성을 주요 거점으로 하여 신라와 당 연합군에 대한 무력투쟁의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백제 부흥운동은 대략 3년 7개월 동안 스러져간 백제의 국권 회복의 기치를 내세우며 진행되었다. 이 부흥운동은 좌평 정무 등이 660년 8월부터 백제 유민들을 규합하여 시작한 이래 664년 3월 사비산성의 전투에서의 패배를 끝으로 마무리되었다.

백제 부흥운동사 연구는 1910년대 이후 津田左右吉, 大原利武, 今西龍, 池內宏 등 일제강점기 일본학자들에 의해 먼저 시작되었다. 그들의 관심과 연구영역은 어디까지나 한국사 자체보다도 일본사의 시각에서 왜가 백제 부흥운동에 대규모로 출병한 백강구(백촌강) 전투를 이해하는 데 있었다. 이에 따라 왜가 출병한 곳인 백강과 주류성 및 부흥운동과 관련한 지명들에 대한 구체적인 위치를 밝혀내려는 역사 지리적 연구가 중심을 이루게 되었다. 1950년대 이후부터는 왜에 질자로 체류하고 있던 왕자 풍과 관련한 백제 부흥운동 연구로 확대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학문의 객관성이 담보된 것으로 볼 수 없는 태생적인 한계를 가진 것이었다.

한편 우리나라 학계에서 백제 부흥운동에 관한 연구가 시작된 것은 1970년대 후반부터이다. 일본학자들의 연구를 비판 수용하는 바탕 위에서 전영래, 노도양, 심정보 등에 의해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여전히 지명 고증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1980년대 이후부터이다. 관련 연구자가 증가하면서 여러 방면에 걸쳐 많은 연구 성과가 축적되기에 이르렀다. 우선 단순한 지명 고증 방법 이외에 축적된 중부지역 성곽에 대한 고고학적 성과를 원용하여 백제 부흥운동의 주요 거점에 대한 논거 보강작업이 시도되었다. 또한 1990년대 중국에서 우리 학계에 소개된 흑치상지와 그의 아들 흑치준 부자 묘지명 등 당에 끌려간 백제 유민들이 남긴 금석문 자료를 활용하여 백제 부흥운동사 연구를 보다 실증적으로 객관화할 수 있게 되었다. 다음으로 백제의 시각에서 백제 부흥운동을 단순한 봉기가 아닌 국가체제 차원으로 이해하여 부흥군의 관등조직이나 군사 편제 등을 규명하려는 보다 진전된 연구도 나타났다.

이처럼 백제 부흥운동사 연구는 현재 관련 사료의 엄밀한 비판과 고증, 그리고 고고학 연구 성과나 백제 유민들이 남긴 금석문 자료 등을 폭넓게 활용하면서 백제의 시각에서 보다 실증적이고 객관화한 연구가 진척되었다. 이로써 종래 일본학자들이 주로 추구했던 지명 고증에 의한 역사지리적인 연구 방법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되었다. 그렇지만 백제 부흥운동을 둘러싸고 아직도 규명해야 할 과제들이 적지 않게 남아 있음은 물론이다. 그 하나가 백제 부흥운동의 주요거점인 주류성이나 백강구의 위치 비정에 대한 문제일 것이다. 주류성의 위치 여하에 따라 백강구 위치도 달라지는데 현재 한산설과 부안설 이외에 홍성설, 연기설 등 여러 견해들이 제기되고 있다. 지금까지 관련 기록에 대해 연구자마다 상이한 해석이 제기되어왔고, 관련 지자체의 이해관계에 따라 주류성의 위치가 결정되는 등 객관성의 확보에 장해 요인이 뒤따랐다. 다음으로 백제 부흥운동의 성격을 단순한 부흥운동으로 봐야 하는지 아니면 정규 국가체제 차원으로 이해할 것인지의 문제도 앞으로 정립해야 할 과제이다. 다음으로 부흥운동의 전개시기를 663년 3월까지로 보느냐 아니면 672년 신라의 소부리주 설치까지로 보느냐의 문제도 있다. 여기에는 웅진도독부에 있던 백제계 관료들에 의한 활동을 과연 부흥운동의 일환으로 이해할 수 있겠는가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
밖에 왜가 출병하게 된 동기와 배경, 그리고 왜군의 병력수와 구성 등에 대해서도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아울러 백제 부흥운동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한 신라, 당, 왜, 고구려 등 동아시아 각국의 입장을 유기적으로 파악하는 연구도 요구된다.

책의 내용은 이미 알려져 있는 백제 부흥운동의 전개과정에 대한 부분은 제외하고 이 방면의 논쟁거리 중 주류성과 백강의 위치 문제를 비롯하여 부흥운동의 중심인물인 부여풍과 부여융, 그리고 임존성을 중심으로 부흥운동을 전개하다가 당에 항복한 흑치상자의 파란만장한 활동상 등을 심층적으로 다루었다. 다만 관련 기록이 부족한 까닭으로 인해 현재 학계에서 첨예하게 논쟁 중인 사안에 대해서는 필자들 간의 심도 있는 토론과 개별 주제에 대한 의견 일치를 도출하지 못한 부분도 있다. 따라서 지명 비정이나 인물 및 사건의 전개 과정 등에 관한 서술에 있어서 필자 간에 다소 다른 입장도 제시될 수 있었음을 양해해 주기 바란다. 특히 이 책에서 주목되는 새로운 시도로는 백제 부흥운동과 관련한 일본과 중국의 최근 고고학적 연구 성과가 폭넓게 반영되었다는 점과 백제 멸망 후 일본이나 중국에 이주한 백제 유민들의 진취적인 활동상을 서술했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아울러 백제 부흥운동과 관련 있는 국내의 전적지를 실제 답사하여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부분은 향후 전적지 답사를 통한 역사의식 함양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01. 산성은 의구한데 인걸은 간데 없네
- 최 병 식 (강남문화재단 이사장)

02. 엇갈린 운명, 부여풍과 부여륭
- 노 중 국 (계명대학교 명예교수)

03. 백제 부흥운동의 중심지 주류성
- 심 정 보 (한밭대학교 명예교수)

04. 백제 부흥운동의 종말을 알린 백강구 전투
- 양 기 석 (충북대학교 명예교수)

05. 연기 불비상에서 찾은 백제 유민들의 삶
- 김 주 성 (전주교육대학교 교수)

06. 백제 주민이 대거 이주 정착한 시가(滋賀) 지역
- 권 오 영 (서울대학교 교수)

07. 일본 고대국가의 발전에 기여한 백제유민
- 김 기 섭 (한성백제박물관 관장)

08. 중국 연운항 석실묘와 백제유민
- 임 영 진 (前 전남대학교 교수)

09. 중국에 보이는 백제인들의 자취를 찾아서
- 정 재 윤 (공주대학교 교수)

도서소개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