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Q&A로 알아보는 구조설계

Q&A로 알아보는 구조설계

  • 진현균
  • |
  • KSCE PRESS
  • |
  • 2020-10-21 출간
  • |
  • 368페이지
  • |
  • B5
  • |
  • ISBN 9791196090067
판매가

24,000원

즉시할인가

21,6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1,6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이 책은 필자는 물론 후배들이 많이 질의하고 궁금해했던 점들을 관련 국내 기준들과 해외의 Code와 Standard를 찾아 정리한 것입니다. 지진, 콘크리트, 강구조, 기타로 구분하여 4개의 범주로 분류하여 의문점들에 관한 관련 기준이 어디에 있고, 내용은 무엇인지 간결하게 기술하였으며, 원문에 관한 참고문헌도 함께 작성되어 있어 설계 실무자들이 합리적인 판단을 내리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목차


01 지진 Earthquake
EQ 01 성능설계법과 사양설계법은 어떻게 다를까?
EQ 02 역량설계법이란 무엇일까?
EQ 03 미국의 내진설계기준에 성능설계법을 도입하게 된 이유는?
EQ 04 미국토목학회 표준 ASCE 7의 내진설계 재현주기가 2,475년인 이유는?
EQ 05 ASCE 7과 IBC 기준에서 단주기와 1초 주기 설계스펙트럼가속도에 2/3를 사용하는 이유는?
EQ 06 내진설계에 사용하는 고유주기 약산식을 이용할 때 주의사항은?
EQ 07 ASCE 7-16 12.4.2.2의 수직지진하중 산출식의 근거는?
EQ 08 내진설계기준에서 말하는 직교하중효과란?
EQ 09 지진공학에서 사용하는 스펙트럼이란?
EQ 10 설계스펙트럼에서 통제주기 또는 전이점(전이주기)을 구하는 이유는?
EQ 11 토목구조물, 건축구조물, 발전 구조물의 설계스펙트럼을 비교하면?
EQ 12 등가정적해석법은 무엇일까?
EQ 13 최대지반가속도와 유효최대지반가속도는 어떻게 다를까?
EQ 14 ASCE 7-10부터 갈고리 볼트를 사용하지 못하게 한 이유는?
EQ 15 지진재해해석과 지진위험해석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EQ 16 규모와 진도는 어떻게 다를까?
EQ 17 진원과 진앙은 어떻게 다를까?
EQ 18 지진과 폭발은 어떻게 구분할까?
EQ 19 일반적인 구조물의 대략적인 주기는 얼마일까?
EQ 20 구조물의 감쇠는 대략 얼마나 될까?
EQ 21 건물 이외의 구조물에 대한 지진하중 산출방법은?
EQ 22 응답(반응)수정계수란 무엇일까?
EQ 23 구조물의 비탄성거동이란 무엇일까?
EQ 24 비구조요소와 건물 외 구조물은 어떻게 구분해야 할까?
EQ 25 약진, 중진, 강진을 어떻게 분류할 수 있을까?
EQ 26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내진설계를 위해 분류하는 보통, 중간, 특수모멘트골조를
어떻게 구분 적용할까?
EQ 27 UBC-97의 지진계수(Ca, Cv)와 IBC-2000의 지반계수(Fa, Fv)와의 관계는?
EQ 28 지진에 대비하기 위한 구조물 간 이격 거리는?
EQ 29 기계와 전기 기자재에 대해 내진설계를 해야 할까?

02 철근콘크리트 Reinforced Concrete
RQ 01 콘크리트 T형보의 개략적인 치수는 어떻게 정할까?
RQ 02 인장력이 커서 앵커볼트로 인장력을 부담할 수 없을 때 보강철근과 관련된 규정은?
RQ 03 앵커볼트의 최소 묻힘길이는?
RQ 04 앵커볼트에 슬리브는 언제 사용해야 할까?
RQ 05 앵커볼트로 F1554 Gr.55를 사용할 때 주의사항은?
RQ 06 얕은 앵커란 무엇일까?
RQ 07 선설치 앵커볼트 설치를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 구멍의 크기는 얼마로 해야 할까?
RQ 08 베이스 플레이트 하부에 사용하는 그라우트 관련 규정은?
RQ 09 기기 기초의 하부에 사용하는 그라우트 관련 규정은?
RQ 10 기초 페데스탈 돌출고는 얼마로 해야 할까?
RQ 11 포장콘크리트로 사용하는 콘크리트 휨강도와 압축강도 사이의 관계는?
RQ 12 페데스탈 최상단부에 횡방향 철근을 배근해야 하는 이유와 기준은?
RQ 13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를 위한 경사는 얼마로 해야 할까?
RQ 14 철근콘크리트 보의 관통부는 어디에 두어야 할까?
RQ 15 합리적인 피복두께 적용은 어떻게 해야 할까?
RQ 16 콘크리트 치핑은 얼마나 해야 할까?
RQ 17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조해석에서 무시할 수 있는 개구부 크기는 얼마일까?
RQ 18 고임철근을 전단철근으로 사용할 수 있을까?
RQ 19 고임철근에 대한 규정은?
RQ 20 지진하중과 풍하중을 콘크리트 균열검토에 포함해야 할까?
RQ 21 옹벽 구조물에 대한 허용변위량은 얼마일까?
RQ 22 원형철근의 인장 상태에서 허용부착응력은?
RQ 23 조강시멘트는 구조물에 적용 가능할까?
RQ 24 철근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에 압축철근을 배근해야 하는 이유와 근거는?
RQ 25 신축이음에 다우얼 바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는?
RQ 26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횡방향 철근에 대해 135°갈고리 또는 90°갈고리는 언제 사용해야 할까?
RQ 27 국내 기준에 따라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정착길이를 계산할 때 정밀식과 간편식에 의한 길이비교 결과는?
RQ 28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기계적 이음을 사용하는 경우 이음부 간격은?
RQ 29 철근의 겹침이음 위치를 엇갈림 해야 하는 이유와 관련 규정은?
RQ 30 그라우트와 모르타르의 차이는 무엇일까?
RQ 31 콘크리트 유한요소 해석을 위해 참고할 것과 유의해야 할 것은?
RQ 32 플레이트요소나 쉘요소로 콘크리트 유한요소 해석 후 설계모멘트를 취할 때 유의사항은?
RQ 33 경사를 갖는 박스구조물의 상판과 바닥판의 배근은 어떻게 해야 할까?
RQ 34 후설치 부착앵커의 최소 묻힘깊이는 얼마일까?
RQ 35 스트럿-타이 모델에서 모멘트나 분포하중을 고려하려면?
RQ 36 피로하중을 받는 앵커볼트의 설계는 어떻게 해야 할까?
RQ 37 벽체의 수평철근은 상부철근일까?

03 강구조 Steel
SQ 01 강재의 규격에 사용하는 SS, SM, SMA, SN 따위는 무엇의 약자일까?
SQ 02 SS강재는 용접용으로 사용할 수 있을까?
SQ 03 각형강관이나 강관의 경우 배수구멍이 필요할까?
SQ 04 인장부재의 전단지연계수(U)를 구할 때 는 어떻게 구할까?
SQ 05 부재 접합용 거싯 플레이트의 적정 이격 거리는?
SQ 06 빌딩 구조물의 강재 빔 또는 기둥의 이음부에 대한 적정위치는?
SQ 07 교량구조물의 주요 부재의 용접에 필릿용접 치수를 최소 6 mm 이상으로 규정한 이유는?
SQ 08 접합하는 부재의 두께가 얼마일 때 필릿용접 또는 개선용접을 사용해야 할까?
SQ 09 볼트에 아연도금이 불가능할 때는 언제일까?
SQ 10 고장력 볼트에 발생하는 지연파괴란?
SQ 11 쉬어 러그와 관련된 규정은?
SQ 12 앵커플레이트 두께는 얼마로 해야 할까?
SQ 13 고온 조건에서 ASTM 강재의 선택기준은?
SQ 14 파이프 랙 구조물에 활하중을 적용해야 할까?
SQ 15 필릿 용접부의 최소 여유는 얼마나 필요할까?
SQ 16 강구조 접합부의 위치는?
SQ 17 앵커볼트에 대한 현장 성분조사 후 저강도(A36)와 고강도(A449)의 구분 방법은?

04 기타 Miscellaneous
MQ 01 말뚝에 최소 연단거리를 확보해야 하는 이유는?
MQ 02 파일 캡 내부로 말뚝 최소 관입깊이는?
MQ 03 기성말뚝에 이음을 피해야 할 위치는?
MQ 04 말뚝길이를 말뚝직경에 10배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는?
MQ 05 말뚝과 기초의 접합부에 대한 응력검토를 할 때 유의사항은?
MQ 06 암반(풍화암, 연암, 경암)의 굴착면의 기울기는 얼마로 해야 할까?
MQ 07 풍공학에서 말하는 방향성계수란?
MQ 08 계단 폭, 단 높이, 단 너비는 얼마로 해야 할까?
MQ 09 국내 건축구조기준이나 ASCE 7 또는 IBC에서 기초설계용 하중조합에 0.6D가 필요한 이유는?
MQ 10 건축구조기준과 건축구조기준 설계하중의 기초설계용 하중조합에 대한 이견은?
MQ 11 진동기초 설계 관련 참고사항은?
MQ 12 10분간 평균풍속을 3초 거스트 풍속으로 변경하려면 어떻게 할까?
MQ 13 기초 하부에 타설하는 버림 콘크리트 관련 규정은?
MQ 14 기초의 동결심도 관련 참고사항은?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