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 개요
● 1956년 출간된 스와미 비베카난다의 RĀJA YOGA를 우리말로 옮겼다. 번역서의 제명을 《비베카난다의 요가수트라》로 옮긴 이유는 ‘라자 요가’가 《요가수트라》의 핵심 내용을 통칭하는 것이기도 하고, 비베카난다도 이 경전의 요가를 ‘라자 요가’라고 부르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책에는 《요가수트라》에 대한 비베카난다의 해설이 담겨 있다.
● RĀJA YOGA는 스와미 비베카난다의 강연 필사와 속기를 묶어 1896년 처음 소개되었는데, 비베카난다의 제자 니킬라난다가 이를 개정한 후 1956년동일한 제명 RĀJA YOGA로 다시 펴냈다.
● RĀJA YOGA가 처음 출간된 1896년 이래로 지금까지 현대 요가가 인도, 유럽, 미국 등에서 번성해 오고 있다. 이 책은 그러한 현대 요가의 형성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비베카난다의 요가수트라》를 펼치는 순간, 우리는 ‘현대 요가’를 보다 정확하고 폭넓게 이해하는 첫발을 내딛게 된다.
_ 《비베카난다의 요가수트라》의 구성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 첫째 부분 _ 《요가수트라》의 8지(八支) 요가를 전통적인 상키야·요가 철학뿐 아니라 서양의 과학과 철학, 하타 요가적인 해석, 네오 베단타라 불리는 철학적 견해를 통합한 사상에 근거하여 해설하고 있다.
● 둘째 부분 _ 자유롭게 번역한 《요가수트라》의 각 경문들에 대해 가능한 한 전문 용어들을 사용하지 않고 편안하고 이해하기 쉬운 강의 형식으로 주석하고 있다. 이 부분에도 앞의 통합적 사상이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
● 셋째 부분 _ 강의록인 <마음의 힘>, <제자도>와 기고문인 <환생>이 실려 있다. <마음의 힘>은 <요가수트라>의 핵심 개념인 마음을, <제자도>는 인도의 실천수행론의 중심축인 스승(guru)과 제자의 관계, 그 중에서도 제자가 갖추어야할 덕목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 <환생>에서는 인도 종교철학과 수행론의 핵심 관념들 중 하나인 ‘윤회’가 인도에서 처음 발생한 관념이었다는 점, 그리고 서양철학자들의 사상을 인용하며 그러한 윤회 관념이 타당성이 있다는 점에 대해 역설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