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폭력의 진부함

폭력의 진부함

  • 이라영
  • |
  • 갈무리
  • |
  • 2020-08-28 출간
  • |
  • 312페이지
  • |
  • 130 X 188 mm
  • |
  • ISBN 9788961952453
판매가

18,000원

즉시할인가

16,2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6,2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성폭력과 성차별은 일상의 문제다

 

2010년대 후반 이후 한국 사회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metoo 해시태그와 아래로부터 분출된 여성들의 목소리에 주목해야 한다. 우리 모두가 목격자이고 증언자였다. 수많은 고발들이 있었다. 지금도 매일, 매월, 매년, 폭로가 계속되고 있다. 가해자들은 고발당하고, 일부는 신상이 공개되고, 일부는 수감되고, 일부는 벌금형을 받았다. 왜 성폭력 고발은 끊이지 않는가?

 

성폭력을 비롯한 여러 종류의 폭력은 특별한 사람에 의해 벌어지는 특별한 사건이 아니다.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일상의 문제다. 저자 이라영은 “언론과 사회관계망서비스를 통해 여러 사람들의 성폭력 고발”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성폭력 폭로에 대한 글을 쓰기가 어려”웠고, “다른 사람이 겪은 일에 분노하다 보면 자꾸 ‘내 얘기’가 끼어든다.”(15쪽)고 썼다. 그래서 이 책의 1부 “복기”는 증언자와 고발자 들에 대한 “말의 연대”로서, 저자가 어린 시절부터 최근까지 경험한 폭력과 차별의 역사다. 폭력과 차별은 가정에서, 학교에서, 학원에서, 버스에서, 지하철 안에서, 대학에서, 엠티에서, 동아리에서, 지인의 집에서, 식당에서, 사무실에서, 출장지에서, 일어난다.

 

문화화된 폭력에 어떻게 맞설 것인가

 

일상적 폭력이 반복해서 발생하는 상황에서, 여전히 피해자의 말보다는 가해자의 서사가 존중받는 사회에서, 무엇을 해야 할까? 이 책에 따르면 평범한 얼굴로 나타나는 ‘문화화된 폭력’은 훨씬 더 저항하기 힘들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문화화된 폭력은 제도적으로 잘 해결되지 않는다. 조직에서는 성폭력 피해자가 ‘조직과 대의를 생각하여’ 침묵할 것을 강요당한다. 법은 자주 권력과 자본, 가해자의 처지에 동조한다. 가해자에 대해서는 한 사람의 인생을 복합적으로 이해하려 애쓰지만, 피해자에게는 단순한 ‘피해자다움’의 기준을 들이대 진실을 의심하곤 한다. 법 앞에서 피해자는 수도 없이 ‘진정한 피해자’임을 증명해야 한다. 수치심은 늘 피해자의 몫이다. 오히려 피해자가 폭력을 유발한 사람으로 취급받기 일쑤다. 살고 싶어 시작한 고발과 소송 이후에도 백래쉬와 마녀사냥이 피해자를 기다리고 있다.

 

폭력에 맞서는 개개인의 발화가 중요하다

 

뜻밖에도, 19세기 미국에서 초상 사진을 가장 많이 남긴 사람은 당시의 미국 대통령이 아니라, 미국의 노예제 폐지 운동가 프레더릭 더글러스(Frederick Douglass, 1818~1895)였다. 1818년에 노예로 태어나, 1838년 탈출에 성공하여 스스로를 해방한 흑인으로서, 더글라스의 ‘흑인의 얼굴 드러내기’는 일종의 “요구, 곧 발화였다.”(125쪽) 저자 이라영은 이 책의 서문에서, 2016년 8월 관람한 ‘프레더릭 더글러스 초상 사진전’에서 많은 영감을 받았다고 밝힌다. 저자는 더글라스가 1895년 사망할 때까지 최선을 다해 자신의 사진을 남겼다는 사실의 의미에 대해 생각한다. 어린 시절 노예였던 더글라스는 백인 동년배들과 달리 자기 나이가 몇 살인지, 부모가 누구인지 정확히 알 수 없었다. 지배 권력은 피지배자 자신이 스스로 누구인지 모르게 만든다.

 

저자 이라영은 더글라스의 초상 남기기가 바로 이 지배 권력에 저항하면서 “시각적 재현의 권력에 균열을”(126쪽) 내는 행위였음을 읽어낸다. 노예제와 인종주의 문화의 피해자였던 더글라스는 당당하게 카메라를 응시하는 사진을 남김으로써 소수자로서의 수치심을 떨쳐버렸다. 이 책은 프레더릭 더글라스의 일생에 걸친 노력처럼, 폭력에 맞서는 개개인의 발화가 의미 있다고 주장한다. 피해자에게 덧씌운 수치심의 개념을 전복시키는 소수자들의 발화가 공론장에 더 많아져야 한다는 것이다.

 

보이지 않는 인간

 

복잡한 사적 서사를 이해받을 수 있는 개인이 있는 반면, 흑인, 여성, 장애인 등 보통명사로 뭉개지는 사회의 수많은 소수자와 약자들이 있다. 약자는 개인이 되지 못한 존재들이다. 어떻게 ‘최소한의 개인’이 될 수 있을까? 개인이 되지 못한 존재는 보편적인 ‘사람’도 되지 못한다. 수시로 ‘보이지 않는 사람’이 된다. 이 책의 2부 1장의 제목이 「보이지 않는 인간」인 이유다.

 

사회적 약자들은 먹고살기 위한 노동 이외에 보이지 않는 노동을 더 해야 한다. 모멸을 견디는 것, ‘약자다움’에서 벗어나지 않기 위해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고 상대의 감정을 살피는 것 등이다. 예컨대 “장애인이나 흑인은 착해야 하고 여성은 친절해야 한다.” 여성이 가사노동을 거부하는 순간 ‘쓸모없는 여자’가 되는 것처럼, 보이지 않는 노동을 멈추는 순간 약자들은 ‘~답지 않다’는 공격을 받게 된다. 소수자들의 보이지 않는 노동에는 ‘보이지 않기 위한 노동’도 있다. 청소노동자들이 청소도구실에 들어가 휴식을 하거나 식사를 하는 모습이 그들이 청소하는 시설의 이용자들에게 보이지 않아야 하는 것처럼, 약자들은 자신들의 “존재를 투명하게 만들어야 한다.”(107~108쪽)

 

보여지는 인간 : 기술복제시대의 폭력

 

소수자들은 어떻게 ‘보여지게’ 되는가? ‘보기’와 ‘보여주기’가 넘쳐나고, 자기 자신을 노출함으로써 관계를 맺고 생산활동을 하는 것이 강제되고 또 당연시되는 시대에, 소수자들은 어떻게 ‘보여지고’ 있는가? 한국 사회에서 여성들은 n번방, 위디스크, 불법동영상을 통해 ‘보여진다.’ 저자에 따르면 이는 ‘기술복제시대의 폭력’이다. 전 세계 수십억 사용자를 거느리고 있는 페이스북의 이름이 창업자 주커버그가 만든 여학생 얼굴 품평 시스템인 ‘페이스매시’(Facemash)에서 비롯되었다는 점은 의미심장하다.(162쪽)

 

오늘날 심각한 사회문제인 디지털 성폭력은 소수자를 억압하는 사회에서 보여주기가 어떻게 폭력이 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기술복제시대에 ‘비대면 폭력’은 양적으로 증가하고 대중화된다. ‘몇 번’이라는 정확한 숫자로 기록되지 않은 폭력 속에서 여성들은 죽어간다.”(144쪽) 저자의 말처럼 기술복제시대에는 ‘보는 폭력’이 치명적이다. 하지만 법원행정처 차장은 딥페이크가 ‘예술작품’일 수 있다고 말하고, 국회의원은 디지털 성착취물을 그림일기에 비유하거나 성착취물 시청을 ‘남성의 자기만족’이라고 정의 내린다. 법무부 차관은 남성 청소년들의 ‘관행’으로 치부한다. 저자에 따르면 우리 시대에 ‘보는 폭력’은 긴급한 사회적 의제로 논의되어야만 한다. “ ‘동영상’ 찾는 행위가 바로 성폭력”(146쪽)이다.

 

듣는 인간에서 말하는 인간으로

 

이 책에 따르면 보통명사로 불리는 이들은 얼굴, 이름, 목소리가 있는 ‘개인들’이 되어야 한다. 소수자들의 투쟁은 그렇게 보편적이면서도 개별성을 가진 존재가 되기 위한 싸움이었다. 소수자와 약자, 피해자들은 자주 침묵을 강요당한다. 강요된 침묵 속에서 소수자는 “자신이 누구인지, 왜 말하지 못하는 고통을 견디고 있는지 설명할 수 없다. 직접 설명하지 못하는 고통은 타자화되어 해석당한다. 착한 사람이 될 수도 있지만, 마녀로 취급받을 수도 있다. 표현할 수단을 잃어버린 사람은 표현의 자유와도 무관해진다. 이들은 표현 밖의 존재다.”(189~199쪽)

 

저자는 말하기의 중요성을 부단히 강조한다. 저항의 언어는 늘 진압당한다. 하지만 저자는 “사람이 죽으면 가장 먼저 사라지는 것이 ‘목소리’ ”라고 쓰면서, “최선의 연대”는 2016년 강남역에 붙은 포스트잇이 그러했듯이 “ ‘아직 살아있는’ 이들의 목소리를 멈추지 않는 것”이라고 쓴다.

 

“침묵시키는 권력에 저항하기. 이는 해석의 대상이 아니라, 자기 이야기의 주인이 되기 위한 분투다. 보이지 않는 것을 보려 하고, 들리지 않는 것을 들으려 하고, 이름 없는 자의 이름을 부르자. ‘우리’는 서로에게 침묵하는 목격자가 되지 않는 용기가 필요하다.”(306쪽)

 

저자 인터뷰

 

Q. 성폭력 고발들의 연쇄를 보면서 글을 쓰려고 하면 “자꾸 ‘내 얘기’가 끼어든다”고 쓴 대목에서 많은 독자들이 고개를 끄덕이게 될 것 같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책의 1부는 “복기”일 수밖에 없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1부의 복기를 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조금 더 설명해주실 수 있을지요?

 

막연히 상상한 적이 있습니다. 세상의 모든 여성들이 일상에서 겪는 크고 작은 성폭력을 하나, 하나 말한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그래서 써보고 싶었습니다. 상상만 할 게 아니라 내 폭력의 연대기를 써보자고 생각했어요. 말이 되어 나오지 않으니까 세상에 ‘그런 일’은 없다고 믿는 사람들도 많아요. 어쩌다 말하는 사람이 있으면 그 사람을 아주 특이한 사람으로 취급합니다. 저는 제가 겪은 일을 이야기했을 때 ‘너는 왜 그렇게 이상한 사람들이 많이 꼬이냐’는 식의 말이 듣기 싫었어요. 누군가의 경험을 고립시키는 말이니까요. 결국 ‘내 탓인가’ 자책하게 만들어요.

 

지난 몇 년간 이어진 다양한 방식의 ‘폭로들’을 보면서 공감되는 순간이 많았습니다. 그러다 보니 자꾸 ‘나도 겪었던 일’에 대해 주절주절 말하고 싶었습니다. 하지만 공감한다는 명목으로 자신의 이야기를 쓰는 것에 대해 항상 고민이 있어요. 어떤 방식으로 ‘말의 연대’를 해야 하나 생각하다가 아예 수십 년에 걸친 개인의 경험을 모아 보기로 했습니다. 파편적인 하나의 사건이 아니라 이어지는 폭력의 역사를 엮어 보면 ‘문화화된 폭력’이 잘 보이리라 생각했습니다.

 

Q. 이 책과 전작들을 통해서 저자님이 작가, 예술가, 활동가, 연구자 등 여러 경계를 넘나든다는 인상을 받습니다. 『폭력의 진부함』을 통해서도 알 수 있지만 오랜 기간 연극, 미술 등 ‘예술계’에 몸담아 오셨고 최근에도 연극 [식사]에 공동창작자로 참여하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얼마 전에는 [절멸, 질병 X 시대 동물들의 시국선언]에 참여하셨다는 뉴스를 보았습니다. 선생님의 저술, 예술, 연구, 액티비즘은 어떻게 서로 연결되고 중첩되는지요?

 

스스로 ‘경계를 넘나든다’고 딱히 인식하진 않았어요. 제가 할 수 있고, 또 하고 싶은 일을 하는 것뿐이라서요. 운 좋게 꾸준히 다양한 기회들이 찾아왔어요. 책을 쓰고, 창작 활동을 하고, 이런저런 활동을 하는 게 제게는 그다지 분리된 일이 아닙니다. 매체와 형식은 달라져도 제가 담고 싶은 이야기는 연결되니까요. 예를 들면 먹는 것과 관련된 글을 쓰고, 이에 관한 공연을 하고, 그러다 보면 점점 더 동물에 대한 생각이 많아져서 관련 퍼포먼스에 참여하듯이, 전하고 싶은 이야기를 다른 방식으로 변주해요. 형식이 바뀌면 같은 이야기라도 전달하는 방식이 분명히 달라져요. 그 과정에서 새롭게 배워야 하는 게 있고, 이전 작업의 한계를 발견하기도 하고, 다른 분야 사람들을 만나 자극도 받아요. 앞으로 제가 또 뭘 할지는 알 수 없습니다.

 

Q. 이 책은 지금까지 공론장에 표현된 여성과 소수자들의 목소리를 지지하면서, 사회적 약자들에게 앞으로도 계속해서 용기를 내자고 손을 내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책의 마지막 장 “싸우는 인간으로”라는 제목에서 메시지가 잘 드러나는 것 같습니다. 저자로서 어떤 사람들이 이 책을 읽기를 바라는지요?

 

이 책만이 아니라 다른 책들도 마찬가지지만, 저는 늘 ‘말하고 싶은 사람들’이 읽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저 역시 다른 사람의 ‘말하기’에서 용기를 얻거나 위로를 받아요. 또 내 머릿속에 흐릿하게 뒤섞여 있던 것들을 조금이라도 정리할 수 있어요. 나의 ‘말하기’도 그렇게 다른 누군가의 말하기를 자극하거나 혹은 연결되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해요.

목차

서문 : 보이지 않는 보통명사의 존재들을 위하여 7

 

1부 복기 14

 

1980년대 중후반 20

1988년 24

1989년 28

1990년 30

1991년 34

1992년 39

1994년 41

1995년 42

1996년 44

1997년 56

1998년 61

1999년 64

2000년 69

2002년 76

2003년 78

2004년 83

2005년 85

2006년 86

2007년 89

2008년 90

2009년 95

2010년 97

2014년 102

2016년 103

2018년 104

 

2부 얼굴, 이름, 목소리 106

 

1장 보이지 않는 인간 107

보이지 않는 인간 107

조심할 필요 없는 권력 115

얼굴의 정치 118

초상은 어떻게 운동이 되는가 : 프레더릭 더글라스의 경우 123

응시의 권력과 여성의 눈 127

총과 카메라 134

 

2장 보여지는 인간 139

기술복제시대의 폭력 139

‘동영상’ 찾는 행위가 바로 성폭력 146

내부자들의 시선 151

얼굴 없는 여자들 156

모욕과 징벌을 위한 얼굴 162

인형 혹은 시체 : ‘있기’에서 ‘되기’로 165

조각상과 시체 사이 : 네크로필리아 172

 

3장 듣는 인간에서 말하는 인간으로 179

말을 알아듣는 꽃 179

인어공주의 목소리 185

진압당하는 목소리 190

소문과 폭로 195

 

4장 너는 누구냐 205

피해자의 관등성명 205

얼굴을 보여라 208

왜 ‘예외적인’ 신상공개인가 211

나도 말할 수 있다 218

나는 몰랐다 224

에로스의 불가능성 229

성구매의 일상화 232

‘리얼’ 여성 238

노벨상과 공범들 241

타오르는 여성의 초상 249

 

5장 싸우는 인간으로 254

‘나도 당했다’ 254

선택하고 결정하기 258

이름 없는 여자들 264

호명의 정치 269

몸과 돈, 성과 계급에 대한 ‘인간문제’ 273

소녀들이여, 두려움 없이 말하라 283

살아서 말한다 291

삭발과 상의 탈의 297

재현의 대상에서 재현의 주체로 300

 

후주 307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