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잿더미 전후공간론

잿더미 전후공간론

  • 사카사이아키토
  • |
  • 이숲
  • |
  • 2020-08-15 출간
  • |
  • 336페이지
  • |
  • 148 X 210 X 28 mm / 484g
  • |
  • ISBN 9791186921920
판매가

18,000원

즉시할인가

16,2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6,2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전후 일본’의 원 풍경이자 국가적 서사의 출발점, ‘잿더미’ 표상을 전복시키다
- 은폐된 전후의 서사 공간을 해방하려는 도발적 시도

왜 이런 담론이 당연하다는 듯이 반복돼왔을까. 이런 이미지 재생산에는 어떤 공동체적 욕망이 담겨 있을까. 일본인은 ‘잿더미’라는 표현을 들으면, 실제로 피해를 입은 당사자가 아니면서도 자신의 ‘피해자성’이 충만해지는 듯한 도취에 빠지는 것은 아닐까. ‘잿더미’라는 표현에는 이전에 존재했던 강대한 어떤 것의 잔해라는 뉘앙스가 있다. ‘제국’이라는, 과거에 존재했으나 이제는 사라져버린 것의 자취가 빚어내는 비장감이야말로 ‘일본인’의 정신적 부흥, 그 밑바탕에 도사린 감정이다.
하지만 새로운 국가상 따위를 구상할 겨를도 없이 불에 타버린 들판을 배회하던 사람들, 그저 주린 배를 채우는 일이 우선이었던 사람들은 무엇에 의지해야 했을까. 그런 관점에서 바라보면 잿더미와는 다른 공간이 보이기 시작한다. 그것은 대표적으로 암시장 같은 공간이며, 거기서 ‘전후 일본’의 공간 내부에서 배제되거나 방치돼온 사람들의 서사가 태어난다.
냉전 구조를 확립해가던 미국의 영향을 받으며 다양한 입장이 뒤섞이던, 그 다변적이고 복층적인 사회 공간이야말로 점령기 일본의 실태였고, 그것을 희미하게나마 드러내는 암시장은 전후 일본 사회의 ‘파열점’이었고, 과거와 현재를 잇는 통로였다. 패전한 일본의 공간은 미국 점령에 따라 곧바로 외부 세계와 단절된 것이 아니라, 제국의 잔재를 끌어안은 상태에서 옛 제국령과 밀접하게 연결돼 있었다. 그 상태가 집약적으로 드러난 공간이 바로 암시장이었다. 암시장은 과거의 제국주의와 현재의 점령 상태를 연결했다. 그것은 과거로부터 단절되고 국제적으로도 단절된 ‘잿더미’라는 전후 일본의 국민적 경관으로 환원될 수 없는 공간이었다.
이런 암시장의 위상으로 새로이 제시함으로써 점령기 일본을 냉전기 동아시아의 일부로 파악하는 이 책은 일본의 젊은 학자 사카사이 아키토(逆井?人)가 일본의 전후 내셔널리즘을 형성해온 국민적 경관과 국가적 서사의 바탕에 있는 ‘잿더미’ 표상을 비판적으로 고찰한 최근 연구서다. 특히 저자는 점령기 일본의 도시 공간을 논할 때 빈번히 거론된 ‘잿더미·암시장 시대’ 영화와 문학작품을 재검토함으로써 이제까지 비평이 되풀이해왔던 잿더미 논리와 국민적 경관의 굴레에서 벗어난 새로운 서사 해석을 시도한다.

‘잿더미·암시장 시대’ 작품들의 재해석을 통해 제시하는 비판의 설득력

과거와의 단절과 피해자성을 의미하는 기호 ‘잿더미’는 전후 일본을 구축하는 데 사용된 ‘국민적 경관’(National Landscape)이다. 잿더미는 국가의 형태가 제국 일본에서 전후 일본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일본인’이라는 국민의 단일성·균일성이라는 허구를 구성하는 매개로 기능했다. 그것은 식민지배와 침략전쟁에 대한 책임을 경시하고, 총력전 체제의 지배구조를 존속시킨 제국의 유산을 청산하는 과정 없이 이뤄졌다.
이 책이 이런 국민적 경관의 굴레를 벗어나 마침내 발견한 것은 그간 일본답지 않다고, ‘일본인’이라는 틀에 맞지 않는다고 배제돼온 서사다. 1, 2장에서 다루는 영화작품과 영화비평은 실제의 잿더미와 암시장 영상을 담은 작품에서 ‘새로운 일본’을 읽고자 했던 비평 담론의 무능을 보여준다. 본격적인 문학 텍스트 분석을 시도한 2부에서는 ‘전후’의 출발점을 그린 것으로 정전화되거나 전후 민주주의 문학으로 꼽히는 작품들을 통해 ‘잿더미’라는 공간의 인식이나 ‘새로운 일본’과의 대면을 벗어나 새로운 해석을 시도한다면 과연 어떤 공간과 함정이 드러나는지 살펴본다.
특히 이 책에서 비중 있게 살펴본 재일 조선인 문학이나 그 배경이 되는 민족운동도 마찬가지 서사를 제공한다. 실제로 점령기 일본에서 조선인 작가들이 남긴 작품은 대체로 ‘재일 조선인 문학’이라는 틀에서 전후 문학의 하위 범주로 분류되고, 일본 문학의 다양한 ‘수확’으로 논의돼왔다. 이 책은 특히 점령기 일본을 묘사한 김달수의 소설을 동시대 일본 소설과 같은 무대 위에서 분석함으로써 ‘잿더미’ 서사 안으로 환원될 수 없는 요소들을 끄집어내고 그것들을 통해 구축되는 서사 공간을 ‘전후 일본’의 국민적 경관이라는 굴레에서 해방한다.

일본의 잿더미 표상과 한국의 8·15 해방에 대한 번역자 의견

번역자는 이 책을 단순히 일본 전후에 대한 저자의 반성적 사유에 공감하거나 편승해서 번역하지 않았다고 밝힌다. 오히려 이 책에 나타난 저자의 분석이 한국의 내셔널리즘과 그 국가적 상상력을 반성적으로 고찰하는 데에도 대단히 유효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즉 이 책을 한국의 독자들에게 소개하며 새삼스레 강조하고 싶은 점은, 일국적이고 단선적인 역사 인식에 대한 자기반성이 한국과 일본에 모두 필요하다는 것이다.
예컨대 이 책의 저자가 지적한 잿더미 표상처럼, 한국의 8·15 해방 또한 비판적으로 재고돼야 한다. 한국의 네이션 서사는 8·15 해방을 암흑과 굴욕에서 벗어나 민족의 새로운 역사가 시작된 지점으로 그린다. 달리 말해 이는 1945년 8월 15일을 기준으로 ‘일본’이라는 이질적 요소가 해소됨에 따라 민족의 순수성과 주체성이 회복됐다는 신화적 의미 체계가 한국의 근현대사를 떠받치는 상상력으로 착근돼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런 8·15 해방의 미화된 이미지가 식민지 유산과 그것이 초래한 역사적 피해자 및 희생자들의 현실을 가리고 있다는 점을 간과해선 안 된다.


목차


한국의 독자 여러분께 3
들어가며 7

서장 ‘잿더미’ㆍ‘암시장’을 다시 묻다 11

제1부 잿더미ㆍ암시장의 이미지 편성
제1장 이야기할 수 없는 잿더미: 전후 일본의 영화비평과 잿더미 표상 37
제2장 과거가 빙의하는 곳: 〈20년 후의 도쿄〉와 〈들개〉에 나타난 전재부흥 69
제3장 암시장과 인종주의: 암시장의 구조와 단속 대상의 변천 97
제4장 서사 속의 암시장 131

제2부 전후 일본에서 냉전기 일본으로: 국민적 경관과 이향(異鄕)
제5장 다무라 다이지로의 「육체의 문」론: ‘신생’의 서사와 잔여로서의 신체 169
제6장 ‘잿더미’가 암시장을 주변화하다: 이시카와 준의 「잿더미의 예수」론 191
제7장 ‘견딜 수 없음’을 넘어서: 미야모토 유리코의 ?반슈평야?를 둘러싼 ‘전후’의 함정 215
제8장 ‘이향’의 공간성: 김달수의 「8ㆍ15 이후」 245
제9장 ‘아주머니들’의 투쟁: 민족교육과 탁주 273

종장 ‘잿더미’의 포옹으로부터 벗어나서 309

맺음말 323
옮긴이 후기 331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