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지능형 로봇 분야별 산업동향 및 시장실태와 전망

지능형 로봇 분야별 산업동향 및 시장실태와 전망

  • 산업동향연구소
  • |
  • 산업동향연구소
  • |
  • 2020-07-15 출간
  • |
  • 759페이지
  • |
  • 210 X 297 mm
  • |
  • ISBN 9791196700287
판매가

380,000원

즉시할인가

342,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42,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정부는 제조혁신 가속화와 유망 서비스 분야 새로운 시장 창출을 위해 올해 1천271억원을 투입해 지능형 로봇 1천500대를 보급한다고 발표했다.
또 스마트 그리퍼(잡는 기술) 등 핵심부품과 소프트웨어(SW)를 개발하고 5G·인공지능(AI)과 로봇의 융합·실증을 추진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일 관계 정부부처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0년 지능형 로봇 실행계획’을 수립, 공고했다. 정부는 우선 다른 업종에 비해 로봇도입이 저조한 뿌리·섬유·식음료 업종을 새로운 수요처로 보고 제조로봇 500대를 보급한다.
지난해 개발한 14개 로봇활용공정 표준모델을 적용·실증하기 위해 90개 이상 수요기업에 협동로봇 등 제조로봇 500대를 보급하고 작업장 안전인증, 재직자 교육을 지원한다.
로봇활용공정 23개 표준모델을 추가 개발하는 한편, 리스·렌탈 서비스, 대출금리우대 등 금융지원 프로그램을 추진해 기업이 자발적으로 로봇보급을 확대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또 성장가능성이 높은 돌봄·웨어러블·의료·물류 등 4대 유망 서비스 분야를 중심으로 1천대를 보급한다.
의복형로봇, 척추수술로봇, 주차로봇 등 신규 서비스로봇 개발에 59억원을 배정하고 돌봄 로봇 700대, 웨어러블 90대, 의료 10대, 물류 200대 보급을 지원한다.
서비스로봇 확산에 걸림돌이 되는 규제를 선제적으로 발굴해 개선하기 위해 ‘로봇규제혁신지원센터’를 운영하고 로봇분야 규제개선추진 로드맵을 수립할 계획이다.
지능형 제어기 등 로봇 3대 핵심부품(24억원)과 잡는 기술 SW, 로봇SW 플랫폼, 영상정보 처리SW, HRI 기술 등 4대 SW(18억원) 개발에 착수한다.
국산 로봇부품을 로봇생산기업 로봇에 적용해 검증하는 ‘로봇부품 실증사업(12억원)’을 추진한다. 첨단 제조로봇 시장에 조기 진입할 수 있도록 협업지능 모듈 개발 및 실증에 24억원, 5G기반 제조로봇 실증인프라 구축에 38억원을 지원한다.
산업부 관계자는 “최근 비대면 시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 로봇을 활용하기 위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며 “로봇을 활용한 새로운 시장 창출을 지원하고 로봇을 통한 제조업과 서비스를 혁신하기 위해 관계기관 및 업계와 협조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당사는 지능형 로봇산업의 기술과 시장전망, 주요 이슈 등을 정리 분석하고, 관련된 핵심 유망 사업 분야를 조명하였으며,
주요 리딩 국가를 중심으로 산업 육성 지원정책 등을 조사하여, 마케팅전략 수립에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고 본서를 발행하였다.
모쪼록, 본 보고서가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분뿐만 아니라, 관심을 갖고 계신 모든 분들의 업무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목차


Ⅰ. 지능형 로봇 산업 개요
1. 지능형 로봇
1) 개요
(1) 일반적 정의
가. 개념
나. 필요성
(2) 구축 범위
가. 가치사슬
나. 대표적 분류 방법
다. 기술로드맵 전략분야의 범위
2) 시장분석
(1) 세계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동향 및 전망
나. 세계시장 핵심플레이어 동향
(2) 국내 시장 분석
가. 국내 시장 동향 및 전망
나. 국내 생태계 현황
다. 생태계 핵심플레이어 동향
3) 기술 분석
(1) 해외 기술 동향
(2) 국내 기술 동향
4) 정책 분석
(1) 해외 정책 동향
(2) 국내 정책 동향
5) 중소기업 전략제품
(1) R&D 추진전략
(2) 전략제품 선정 절차
(3) 전략제품 선정 결과
2. 2020년 국내외 ICT 이슈 및 트렌드 전망
1) 미래 유망기술로 본 2020년 핵심기술
(1) 주요 기관별 미래 유망 기술 전망
(2) 미래 유망 기술로 본 2020년 핵심 기술
가. 인공지능 (AI)
나. 5G, 자율주행차
다. 블록체인
라. VR/AR 가상세계
마. Personal Robot(개인 로봇)
바. 미래산업을 위한 법률규제 이슈
사. 페이크데믹스 이슈
아. 기술발전에 따른 위험요소
자. 맞춤의료 기술 수요의 급성장
2. 2020년 ICT 국내외 산업환경 변화
1) 국내외 경제 환경
2) 국내외 산업 현황
(1) ICT 산업 현황
(2) 2020년 ICT 예산 및 정책
(3) 글로벌 ICT 환경
(4) 법 제도, 규제
Ⅱ. 지능형 로봇산업 기술동향 및 시장전망
[산업분야]
1. 제조용 로봇
(1) 제조용 로봇 산업 이해
가. 제조용 로봇산업 정의 및 분류
나. 제조용 로봇 산업 특징 및 전망
(2) 세계 제조용 로봇 산업동향
가. 세계 제조용 로봇 시장
나. 주요국 정책
다. 해외 산업 동향
(3) 국내 제조용 로봇 산업 동향
가. 국내 제조용 로봇 시장
나. 국내 정책
다. 국내 산업동향
라. 국내 스마트 공장 현황
2. 산업용 근력 증강 웨어러블 로봇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가. 제품분류 관점
나. 공급망 관점
2) 외부환경 분석
(1) 산업환경 분석
가. 산업의 특징
나. 산업의 구조
(2) 시장환경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3) 기술 분석
(1) 기술개발 이슈
(2) 주요기업 동향
가. 해외업체동향
나. 국내업체동향
(3) 특허 동향
4) 연구개발네트워크
(1) 연구개발 기관/자원
(2) 연구개발 인력
(3) 기술이전가능 기술
가. 기술이전가능 기관
나. 이전 기술에 대한 세부 내용
5) 기술개발로드맵
(1) SWOT 분석
(2) 중소기업 핵심요소기술
가. 핵심요소기술 도출절차
나. 요소기술
다. 핵심요소기술
(3) 기술개발전략
가. 기술개발로드맵
3. 바이오 공정 자동화 지능형로봇 시스템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가. 제품분류 관점
나. 공급망 관점
2) 외부환경 분석
(1) 산업환경 분석
가. 산업의 특징
나. 산업의 구조
(2) 시장환경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3) 기술 분석
(1) 기술개발 이슈
(2) 주요기업 동향
(3) 특허 동향
4) 연구개발네트워크
(1) 연구개발 기관/자원
(2) 연구개발 인력
5) 기술개발로드맵
(1) SWOT 분석
(2) 중소기업 핵심요소기술
가. 핵심요소기술 도출절차
나. 요소기술
다. 핵심요소기술
(3) 기술개발전략
가. 기술개발로드맵
4. 물류 로봇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가. 제품분류 관점
나. 공급망 관점
2) 외부환경 분석
(1) 산업환경 분석
가. 산업의 특징
나. 산업의 구조
(2) 시장환경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3) 기술 분석
(1) 기술개발 이슈
가. 기술 동향
나. 기술환경분석
(2) 주요기업 동향
가. 해외업체동향
나. 국내업체동향
(3) 특허 동향
4) 연구개발네트워크
(1) 연구개발 기관/자원
(2) 연구개발 인력
(3) 기술이전가능 기술
가. 기술이전가능 기관
나. 이전 기술에 대한 세부 내용
5) 기술개발로드맵
(1) SWOT 분석
(2) 중소기업 핵심요소기술
가. 핵심요소기술 도출절차
나. 요소기술
다. 핵심요소기술
(3) 기술개발전략
가. 우리의 현황
나. 기술개발로드맵
5. 배달 및 안내 서비스 로봇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가. 정의
나.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기술별 분류
나. 전략제품 가치사슬
2)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3) 기술 개발 동향
(1) 기술개발 이슈
(2) 생태계 기술 동향
가. 해외 플레이어 동향
나. 국내 플레이어 동향
(3) 국내 연구개발 기관 및 동향
가. 연구개발 기관
나. 기관 기술개발 동향
4) 특허 동향
(1) 특허동향 분석
가. 연도별 출원동향
나. 국가별 출원현황
다. 기술 집중도 분석
(2) 주요 출원인 분석
가. 해외 주요출원인 기술집중도 분석
나. 국내 주요출원인 기술집중도 분석
(3) 기술진입장벽 분석
가. 기술 집중력 분석
나. 특허소송 현황 분석
5) 요소기술 도출
(1) 특허 기반 토픽 도출
(2) LDA 클러스터링 기반 요소기술 도출
(3) 특허 분류체계 기반 요소기술 도출
(4) 최종 요소기술 도출
6) 전략제품 기술로드맵
(1) 핵심기술 선정 절차
(2) 핵심기술 리스트
(3) 중소기업 기술개발 전략
(4) 기술개발 로드맵
가. 중기 기술개발 로드맵
나. 기술개발
[생
1. 건강관리 및 식사 보조 로봇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가. 정의
나.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기술별 분류
나. 가치사슬 및 용도별 분류
2)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3) 기술 개발 동향
(1) 기술개발 이슈
(2) 생태계 기술 동향
가. 해외 플레이어 동향
나. 국내 플레이어 동향
(3) 국내 연구개발 기관 및 동향
가. 연구개발 기관
나. 기관 기술개발 동향
4) 특허 동향
(1) 특허동향 분석
가. 연도별 출원동향
나. 국가별 출원현황
다. 기술 집중도 분석
(2) 주요 출원인 분석
가. 해외 주요출원인 기술집중도 분석
나. 국내 주요출원인 기술집중도 분석
(3) 기술진입장벽 분석
가. 기술 집중력 분석
나. 특허소송 현황 분석
5) 요소기술 도출
(1) 특허 기반 토픽 도출
(2) LDA 클러스터링 기반 요소기술 도출
(3) 특허 분류체계 기반 요소기술 도출
(4) 최종 요소기술 도출
6) 전략제품 기술로드맵
(1) 핵심기술 선정 절차
(2) 핵심기술 리스트
(3) 중소기업 기술개발 전략
(4) 기술개발 로드맵
가. 중기 기술개발 로드맵
나. 기술개발 목표
2. 지능형 가정용 로봇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가. 정의
나.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기술별 분류
나. 가치사슬 및 용도별 분류
2)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3) 기술 개발 동향
(1) 기술개발 이슈
(2) 생태계 기술 동향
가. 해외 플레이어 동향
나. 국내 플레이어 동향
(3) 국내 연구개발 기관 및 동향
가. 연구개발 기관
나. 기관 기술개발 동향
4) 특허 동향
(1) 특허동향 분석
가. 연도별 출원동향
나. 국가별 출원현황
다. 기술 집중도 분석
(2) 주요 출원인 분석
가. 해외 주요출원인 기술집중도 분석
나. 국내 주요출원인 기술집중도 분석
(3) 기술진입장벽 분석
가. 기술 집중력 분석
나. 특허소송 현황 분석
5) 요소기출 도출
(1) 특허 기반 토픽 도출
(2) LDA 클러스터링 기반 요소기술 도출
(3) 특허 분류체계 기반 요소기술 도출
(4) 최종 요소기술 도출
6) 전략제품 기술로드맵
(1) 핵심기술 선정 절차
(2) 핵심기술 리스트
(3) 중소기업 기술개발 전략
(4) 기술개발 로드맵
가. 중기 기술개발 로드맵
나. 기술개발 목표
3. 재활훈련용 근력보조 웨어러블 로봇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가. 제품분류 관점
나. 공급망 관점
2) 외부환경 분석
(1) 산업환경 분석
가. 산업의 특징
나. 산업의 구조
(2) 시장환경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3) 기술 분석
(1) 기술개발 이슈
가. 기술 동향
나. 기술환경분석
(2) 주요기업 동향
가. 해외업체동향
나. 국내업체동향
(3) 특허 동향
4) 연구개발네트워크
(1) 연구개발 기관/자원
(2) 연구개발 인력
(3) 기술이전가능 기술
가. 기술이전가능 기관
나. 이전 기술에 대한 세부 내용
5) 기술개발로드맵
(1) SWOT 분석
(2) 중소기업 핵심요소기술
가. 핵심요소기술 도출절차
나. 요소기술
다. 핵심요소기술
(3) 기술개발로드맵
(4) 참여위원 명단
(5) 전략품목 선정평가 결과
4. 가정용 로봇 및 콘텐츠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가. 제품분류 관점
나. 공급망 관점
2) 외부환경 분석
(1) 산업환경 분석
가. 산업의 특징
나. 산업의 구조
(2) 시장환경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3) 기술 분석
(1) 기술개발 이슈
가. 기술 동향
나. 기술환경분석
(2) 주요기업 동향
(3) 특허 동향
4) 연구개발네트워크
(1) 연구개발 기관/자원
(2) 연구개발 인력
(3) 기술이전가능 기술
가. 기술이전가능 기관
나. 이전 기술에 대한 세부 내용
5) 기술개발로드맵
(1) SWOT 분석
(2) 중소기업 핵심요소기술
가. 핵심요소기술 도출절차
나. 요소기술
다. 핵심요소기술
(3) 기술개발전략
가. 우리의 현황
나. 기술개발로드맵
5. 엔터테이먼트용 시뮬레이터 로봇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가. 제품분류 관점
나. 공급망 관점
2) 외부환경 분석
(1) 산업환경 분석
가. 산업의 특징
나. 산업의 구조
(2) 시장환경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다. 무역현황
3) 기술 분석
(1) 기술개발 이슈
(2) 주요기업 동향
가. 해외업체동향
나. 국내업체동향
(3) 특허 동향
4) 연구개발네트워크
(1) 연구개발 기관/자원
(2) 연구개발 인력
(3) 기술이전가능 기술
가. 기술이전가능 기관
나. 이전 기술에 대한 세부 내용
5) 기술개발로드맵
(1) SWOT 분석
(2) 중소기업 핵심요소기술
가. 핵심요소기술 도출절차
나. 요소기술
다. 핵심요소기술
(3) 기술개발로드맵
6. 체험형 시뮬레이터 로봇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가. 정의
나.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기술별 분류
나. 가치사슬 및 용도별 분류
2)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3) 기술 개발 동향
(1) 기술개발 이슈
(2) 생태계 기술 동향
가. 해외 플레이어 동향
나. 국내 플레이어 동향
(3) 국내 연구개발 기관 및 동향
가. 연구개발 기관
나. 기관 기술개발 동향
4) 특허 동향
(1) 특허동향 분석
가. 연도별 출원동향
나. 국가별 출원현황
다. 기술 집중도 분석
(2) 주요 출원인 분석
가. 해외 주요출원인 기술집중도 분석
나. 국내 주요출원인 기술집중도 분석
(3) 기술진입장벽 분석
가. 기술 집중력 분석
나. 특허소송 현황 분석
5) 요소기술 도출
(1) 특허 기반 토픽 도출
(2) LDA 클러스터링 기반 요소기술 도출
(3) 특허 분류체계 기반 요소기술 도출
(4) 최종 요소기술 도출
6) 전략제품 기술로드맵
(1) 핵심기술 선정 절차
(2) 핵심기술 리스트
(3) 중소기업 기술개발 전략
(4) 기술개발 로드맵
가. 중기 기술개발 로드맵
나. 기술개발 목표
7. 커뮤니케이션 돌봄 로봇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가. 정의
나.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기술별 분류
나. 가치사슬 및 용도별 분류
2)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3) 기술 개발 동향
(1) 기술개발 이슈
(2) 생태계 기술 동향
가. 해외 플레이어 동향
나. 국내 플레이어 동향
(3) 국내 연구개발 기관 및 동향
가. 연구개발 기관
나. 기관 기술개발 동향
4) 특허 동향
(1) 특허동향 분석
가. 연도별 출원동향
나. 국가별 출원현황
다. 기술 집중도 분석
(2) 주요 출원인 분석
가. 해외 주요출원인 기술집중도 분석
나. 국내 주요출원인 기술집중도 분석
(3) 기술진입장벽 분석
가. 기술 집중력 분석
나. 특허소송 현황 분석
5) 요소기술 도출
(1) 특허 기반 토픽 도출
(2) LDA 클러스터링 기반 요소기술 도출
(3) 특허 분류체계 기반 요소기술 도출
(4) 최종 요소기술 도출
6) 전략제품 기술로드맵
(1) 핵심기술 선정 절차
(2) 핵심기술 리스트
(3) 중소기업 기술개발 전략
(4) 기술개발 로드맵
가. 중기 기술개발 로드맵
나. 기술개발 목표
8. 융합적 사고 교육용 교구재 로봇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제품분류 관점
나. 공급망 관점
2) 외부환경 분석
(1) 산업환경 분석
(2) 시장환경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3) 기술 분석
(1) 기술개발 이슈
(2) 주요기업 동향
(3) 특허 동향
4) 연구개발네트워크
(1) 연구개발 기관/자원
(2) 연구개발 인력
(3) 기술이전가능 기술
가. 기술이전가능 기관
나. 이전 기술에 대한 세부 내용
5) 기술개발로드맵
(1) SWOT 분석
(2) 중소기업 핵심요소기술
가. 핵심요소기술 도출절차
나. 요소기술
다. 핵심요소기술
(3) 기술개발전략
가. 우리의 현황
나. 기술개발
Ⅲ. 지능형 로봇 산업 정부정책 및 관련 법규
1. 2020 지능형 로봇 실행계획
1) 추진 근거 및 경과
2) 로봇산업 동향
3) 2019년 주요성과 분석
(1) 3대 제조업 중심 제조로봇 확대 보급
(2) 4대 서비스 로봇분야 집중 육성
(3) 로봇산업 생태계 기초체력 강화
4) 2020년도 추진방향
5) 2020년 실행 계획
(1) 3대 제조업 중심 제조로봇 확대 보급
(2) 4대 서비스 로봇분야 집중육성
(3) 로봇산업 생태계 기초체력 강화
6) 추진과제 목록
7) 2020년 부처별 추진계획
(1) 고용노동부
가. 추진배경 및 목적
나. ’19년 추진실적
다. ’19년 평가 및 개선사항
라. ‘20년 실행계획
마. 추진일정
바. 소요예산
사. 사업추진체계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가. 추진배경 및 목적
나. ’19년 추진실적
다. ’19년 평가 및 향후 추진방향
라. ‘20년 실행계획
마. 추진일정
바. 소요예산
사. 사업 추진체계
(3) 농림축산식품부
가. 추진배경 및 목적
나. ’19년 추진실적
다. ’19년 평가 및 향후 추진방향
라. "20년 실행계획
마. 추진일정
바. 소요예산
사. 사업 추진체계
(4) 보건복지부
가. 추진배경 및 목적
나. ’19년 추진실적
다. ’19년 평가 및 향후 추진방향
라. "20년 실행계획
마. 추진일정
바. 소요예산
사. 사업 추진체계
(5) 중소벤처기업부
① 업종별·공정별로 108개 로봇 활용모델 선행 개발
가. 추진배경 및 목적
나. ’19년 추진실적
다. ’19년 평가 및 향후 추진방향
라. "20년 실행계획
마. 추진일정
바. 소요예산
사. 사업 추진체계
② 표준모델당 10개 기업 컨설팅 및 실증보급
가. 추진배경 및 목적
나. ’19년 추진실적
다. ’19년 평가 및 향후 추진방향
라. "20년 실행계획
마. 추진일정
바. 소요예산
사. 사업 추진체계
③ 제조로봇 도입 지원 기업 중심의 재직자 로봇 활용 교육
가. 추진배경 및 목적
나. ’19년 추진실적
다. ’19년 평가 및 향후 추진방향
라. "20년 실행계획
마. 추진일정
사. 사업 추진체계
④ 4대로봇의 개발→사회적 약자 등 보급·실증→민간 확산
가. 추진배경 및 목적
나. ’19년 추진실적
다. ’19년 평가 및 향후 추진방향
라. "20년 실행계획
마. 추진일정
바. 소요예산
사. 사업 추진체계
(6) 해양수산부
가. 추진배경 및 목적
나. ’19년 추진실적
다. ’19년 평가 및 향후 추진방향
라. "20년 실행계획
마. 추진일정
바. 소요예산
사. 사업 추진체계
(7) 행정안전부
가. 추진배경 및 목적
나. ’19년 추진실적
다. ’19년 평가 및 향후 추진방향
라. ‘20년 실행계획
마. 추진일정
바. 소요예산
사. 사업 추진체계
(8) 방위사업청
가. 추진배경 및 목적
나. ’19년 추진실적
다. ’19년 평가 및 향후 추진방향
라. "20년 실행계획
마. 추진일정
바. 소요예산
사. 사업 추진체계
(9) 농촌진흥청
가. 추진배경 및 목적
나. ’19년 추진실적
다. ’19년 평가 및 향후 추진방향
라. "20년 실행계획
마. 추진일정
바. 소요예산
사. 사업 추
Ⅳ. 국가별 지능형 로봇 산업동향
1. 국가별 로봇산업 시장동향
1) 중국
(1) 중국 로봇산업 동향
가. 산업 특성
나. 산업 현황
다. 진출 전략
(2) 스마트 물류 발전과 함께 성장하는 중국 무인운반로봇 시장
가. 시장 발전 현황
나. 시사점
(3) 중국의 서비스 로봇 시장동향
가. 시장 규모 및 동향
나. 주요 경쟁 기업
다. 수입동향
라. 유통구조
마. 관세율 및 수입규제
바. 시사점
(4) 중국의 의료용 로봇 시장동향
가. 의료용 로봇 정의
나. 성장 배경
다. 중국 내 의료용 로봇 관련 동향
라. 중국 의료용 로봇 산업 미래 발전 방향
2) 일본
(1) 일본, 노동력 부족 해결을 위한 AI 및 로봇 도입 가속화
(2) 일본 서비스 로봇 시장동향
3) 미국
(1) 미국, 푸드로봇 산업동향
가. 푸드테크, 푸드로봇 개요
나. 푸드테크, 푸드로봇 산업현황
4) 독일
(1) 독일, 인간과 로봇과의 협업을 위한 기술 개발
2. 제조용 로봇 / 서비스용 로봇 글로벌 시장동향
1) 제조용 로봇 시장동향과 글로벌 시장 진출방안
(1) 제조업용 로봇시장 동향
가. 글로벌 시장 동향
나. 주요국 시장 동향
① 중국
② 일본
③ 미국
④ 독일
⑤ 대만
⑥ 프랑스
⑦ 한국
다. 국내 로봇산업 진흥 정책
라. 최신 기술 동향
① 스마트 팩토리
② 인간 로봇 협업Human-robot collaboration)
③ 기계학습
④ 국내 로봇산업 연구동향
마. 주요국 로봇산업 및 스마트 팩토리 육성프로그램
① 중국
② 일본
③ 미국
④ 독일
⑤ 대만
⑥ 프랑스
(2) 주요기업 개요 및 최신 트렌드
가. 중국
① 시아선(SIASUN)
② GSK
③ EFORT
나. 일본
① 파낙(Fanuc)
② 야스카와 전기(Yasukawa Electronics)
③ 가와사키 중공업(Kawasaki)
④ 세이코 엡손 (Seiko Epson)
⑤ 덴소(Denso)
다. 미국
① 로크웰(Rockwell Automation)
② 어뎁트 테크놀로지(Adept Technology, Inc.
라. 독일
① 쿠카(Kuka)
② 슝크(Schunk)
③ ABB
④ 슈토이블리(Staeubli)
마. 대만
① 폭스콘(Foxconn
바. 프랑스
① 세프로(Sepro Group)
(3) 제조업용 로봇 글로벌 시장 진출 방안
2) 서비스용 로봇 시장동향과 글로벌 시장 진출방안
(1) 서비스용 로봇 시장 동향
가. 글로벌 시장 동향
나. 글로벌 산업별 동향
다. 글로벌 기술 동향
라. CES 최신 트렌드
(2) 주요기업 개요 및 최신 트렌드
가. 중국
① SIASUN(新松)
② F-Mart
나. 일본
① 소니(Sony)
② 소프트뱅크(Softbank)
다. 미국
① 구글(Google)
② 아마존(Amazon)
③ 페이스북(Facebook)
④ 넷플릭스(Netflix)
라. 독일
① 카처(Kaercher)
② 라인메탈(Rheinmetall)
마. 프랑스
① 히즈(Hease Robotics)
② 블루 프록 로보틱스(Blue Frog Robotics)
③ 사이버드로이드(Cybedro?d)
(3) 서비스용 로봇 글로벌 시장 진출 방안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