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통합인문학을 위하여

통합인문학을 위하여

  • 박희병
  • |
  • 돌베개
  • |
  • 2020-07-24 출간
  • |
  • 170페이지
  • |
  • 140 X 220 mm
  • |
  • ISBN 9788971991794
판매가

12,000원

즉시할인가

10,8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0,8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한국 사회에서 인문학의 위기를 불러온 가장 큰 원인:
정량 평가의 문제

저자는 현재 인문학의 위기를 불러온 가장 큰 원인을 〈정량 평가의 문제〉로 본다. 학자의 연구 결과를 정리한 논문은 그 질적 가치로 평가되어야 하지만, 현재 한국의 시스템에서는 질보다는 양이다. 그 결과, 학자는 스스로의 내면적 요구, 스스로의 지적 갈증 때문에 연구하고 논문을 쓰기보다는, 논문 쓰기에 적절한 자료나 대상이나 주제를 먼저 물색하고 주어진 형식과 절차에 따라 말을 메워 넣는 방식으로 논문을 쓰고 있다. 석박사 학위를 받기 위해 논문을 쓰고, 박사학위를 받은 연구자는 대학에 취직하기 위해 논문을 쓰고, 대학에 취직한 학자는 재임용과 승진을 위해 논문을 쓴다. 생계를 위한 글쓰기에 다름 아니다.
그렇다면, 양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학문적으로 전연 도움이 안 됨에도 불구하고 이 시스템이 계속 유지되는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
저자는 두 가지 이유를 든다. 첫째, 교수 내지 대학의 통제 혹은 관리에 그 목적이 있는데, 이는 국가주의적 기획에서 기인한다. 둘째 양적 지표를 중시하는 한국 사회의 일반적 분위기와의 관련되었다고 보는데, 이는 한국의 자본주의 문화에서 기인한다. ‘국가’적 차원이든 ‘사회’적 차원이든 질보다는 양을 중시하는 사고가 사회 전반에 팽배해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원인이라는 것이다.

분통문답(分統問答), 그리고 통합인문학에 대한 사고의 궤적

「분통문답」은 근래에 보기 힘든 형태의 글이다. 제목만 보면 조선시대의 고전 하나를 뚝 떼어서 번역해 놓은 듯하다. 문학서인 듯하지만, 사상서다. 이 글은 국문학자 박희병의 저력이 십분 발휘된, 통합인문학에 대한 40여년의 생각이 고스란히 담긴 것이다.
글의 형태는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실학자 홍대용의 「의산문답」(?山問答)에서 따왔다. 평소 저자는 홍대용의 사상과 학문세계를 연구하고 그 결과를 여러 권의 책으로 펴낸 바 있다. 그러니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기 위해 존경하는 인물의 글을 패러디하는 것은 어쩌면 최고의 존경을 표하는 것이다.
「의산문답」에는 ‘허자’와 ‘실옹’이라는 가상의 인물이 등장한다. 이 글은 담헌 홍대용이 북경을 다녀온 뒤 집필한 것으로, 홍대용의 자연과학과 철학에 대한 입장을 잘 보여주는 일종의 사상서다. 허자와 실옹의 대화 속에서 홍대용의 실학적인 사고가 드러나는데, 특히 중국이 세계의 중심이라는 중화사상에 대한 비판은 당시로서는 매우 급진적이기까지 하다.
「분통문답」에는 분자(分子)와 통자(統子)라는 가상의 인물이 등장한다. 분자는 한창 학생을 가르치며 연구에 매진하는 중견학자의 입장을 대변한다. 그리고 통자는 이미 사상적으로 완성되어 가는 인물이다. 분자와 통자는 현재 한국의 학문 상황과 특히 인문학에 불어 닥친 위기, 그리고 통합인문학에 대한 설명으로 문답을 이어간다. 두 인물의 대화를 통해 저자는 자연스럽게 통합인문학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저자는 이 글에 등장하는 ‘분자’이면서 동시에 ‘통자’이기도 하다. 학문을 시작해 한창 연구에 매진하던 젊은 시절의 박희병과 통합인문학에 대한 사유의 최종 지점을 확인한 40여 년 경력의 노학자 박희병의 모습이 분자와 통자로 묘사되었다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 책의 2부에는 네 편의 글이 실려 있다. 20세기 말인 1998년부터 비교적 최근인 2018년에 발표된 글까지 네 편을 모았다. 1998년에 집필한 「21세기에 국문학 연구가 가야 할 길」에는 비록 아직 ‘통합인문학’이라는 용어는 등장하지 않지만 그리로 나아가려는 저자의 사고의 궤적이 드러나 있다. 그리고 두 번째 「통합인문학으로서의 한국학」에서 통합인문학이 처음 공론화됐다. 세 번째 「학문, 삶, 글쓰기」에는 인문학과 삶의 관련, 인문학의 사회적 책무에 대한 저자의 생각이 피력되어 있으며, 네 번째 「디지털 시대의 학문하기」에는 미증유의 사태라고 할 정보기술의 질주 시대에 인문학의 과제와 책무가 무엇인지를 통합인문학적 견지에서 되짚어 보고 있다.


통합인문학은
분과학문의 통합이며,
나와 대상의 존재론적 통합이다.

이 책에서 말하는 ‘통합인문학’의 ‘통합’이라는 개념은 ‘융합’이나 ‘융복합’이라는 개념과 큰 차이가 있다. 물론 학문의 경계를 허물며 새로운 지적 지평을 열고자 한다는 점에서 일치하는 바가 없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둘은 인문학에 대한 인식과 그 존재론적 규정에 있어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단적으로 말해 지금 한국에서 운위되고 있는 학문의 융합(혹은 융복합)은 ‘실용성’ 혹은 ‘자본’과의 관련에서 자유롭지 않다.
또한, 통합인문학은 다학제적인 인문학 연구와도 큰 차이가 있다. 다학제적인 인문학 연구는 현재 인문학의 분과학문적 한계를 돌파하고자 하는 문제의식은 있으나 급변하는 현재의 문명 상황에서 인문학을 어떻게 재규정해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이나 문제의식은 갖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실용성 담론에 빠질 우려가 있다. 이와 달리 통합인문학은 인문학이 연구 주체와 대상에, 그리고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계와 우리의 삶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묻는 데서 출발한다. 그러므로 실용성 담론에 포획되지 않으며, 역설적으로 실용성을 뛰어넘는 지점에서 실용성과 연결된다.
통합인문학은 삶을 분절적이거나 요소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지양하고 가능한 한 총체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데, 이는 존재론적 입장과 관련이 있다. 존재는 총체적 연관 속에 있으므로, 총체적 연관을 이해하지 않고서는 존재의 본질에 온전히 다가갈 수 없다. 이처럼 통합인문학에서는 인식의 심화와 확대가 존재의 변화와 확장을 야기하는데, 존재의 확장은 곧 삶의 확장을 의미한다. 이 점에서 통합인문학에서 말하는 ‘삶’은 단지 인식과 조망의 문제이기만 한 것이 아니라 ‘스스로 살아감’의 문제이기도 하다. 삶이 대상에만 귀속되지 않고 ‘나’에게도 귀속된다는 뜻이다. 지식은 앎의 문제에 그치지 않고 삶의 문제가 된다.
그러므로 통합인문학에서는 진리나 윤리가 학문의 ‘밖’이 아니라 학문의 ‘안’에 있으며, 나의 외부가 아니라 나의 내부에 있다. 그리하여 학자로 하여금 그 내면을 점점 더 풍성하게 만들고, 인격적으로 더욱 더 향상된 인간으로 나아가게 하며, 그 정신과 의식을 점점 더 높은 방향으로 이끈다. 이렇게 되면 학자는 다시 본연의 책무와 자리를 되찾게 되고, 학문은 다시 세상을 맑게 하고 세상이 나아갈 길을 비추는 빛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인문학의 진정한 위기

저자는, 인문학의 위기가 단순히 자본의 논리에 포획된 현 인문대학의 위기는 아니라고 본다. 그러면 어떤 것이 인문학의 위기를 가져왔을까? 저자는 크게 세 가지 원인을 이야기하고 있다.

〈1〉 분과학문 체제의 문제
분과학문은 ‘전문성’이라는 장점이 있지만, 완고한 자기만의 프레임과 경계를 갖고 있다. 그리고 이 프레임과 경계 속에서 학문적 상상력이 작동되고 글쓰기가 이루어진다. 경계 밖으로 나가려고 하지도 않을뿐더러, 만약에 나간다면 정상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분과학문 체제 내에서만 연구와 글쓰기가 이루어지다보니 그야말로 천편일률적인 논문만 쏟아진다.
물론 분과학문은 ‘전문성’이라는 장점이 있다. 학문 연구에서 ‘전문성’은 집터를 닦는 것과 같은, 반드시 갖추어야 할 요소다. 다만 완고한 현재의 분과학문 체제를 좀 완화해 다른 학문과 통합적으로 사유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현재 각 대학에서 자행되고 있는, 융복합을 빌미로 한 ‘학과 통폐합’은 사실 분과학문을 없애는 것과 같다. 이 경우 분과학문의 소멸은 새로운 학문의 탄생이 아니라 학문 자체의 소멸을 의미한다.
〈2〉 지식은 ‘읽다’, 정보는 ‘보다’
지식이 ‘읽다’라는 동사와 주로 관련이 있다면, 정보는 ‘보다’라는 동사와 주로 관련이 있다. 디지털 문명의 주요한 특징 가운데 하나가 지식의 정보화인데, 정보화된 지식은 고전적 의미의 지식과는 성격이 같지 않다. 고전적 의미의 지식은 단지 정보로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내 삶의 지표로서 존재한다. 양명학에서 ‘지행일치’(知行一致)를 주장했을 때 ‘지’(知)가 바로 이것이다. 이 경우 지식은 내 삶의 실천, 내 삶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알려준다. 하지만 정보는 다르다. 정보에는 우선 삶과의 통일적 연관이 요청되지 않는다. 필요한 정보를 취할 뿐이다. 인문학은 인간의 사유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그리하여 사유하는 삶이 높이 평가될 때 존중받고 그 필요성이 인정된다. 그러므로 지금의 디지털 발전이 인문학에 결코 유리한 상황은 아니다.
〈3〉 자연으로부터 소외된 삶
인문학은 인간과 그 삶에 관한 학문이다. 인문학은 삶의 한 과정으로서 자연을 대하므로, 자연과학에서 법칙과 물리(物理)가 실현되는 세계로 바라보는 자연과는 다르다. 자연과학에서 자연은 분석과 탐구의 대상, 지배의 대상이기는 하나 교감의 대상, 존중의 대상일 수는 없다. 자연에 대한 감수성의 향상은 인간의 내면을 한층 풍부하게 만들고 인간을 더욱 인간답게 만드는 데 이바지한다. 그러니 삶에 대한 학문인 인문학이 자연에 충분히 관심을 보이지 않는 것은 그 본령에서 멀어진 것이라 할 것이다. 자연을 도외시하는 학문은 온전한 인문학이라 하기 어렵다.


목차


제1부
분통문답分統問答: 현재 학문의 위기와 통합인문학

현재의 학문 상황과 그를 둘러싼 환경
정량 평가의 문제 / 인문학의 위기 / 분과학문 체제의 문제 / 과학기술의 질주와 디지털 문명 / 삶의 자연으로부터의 소외
통합인문학으로의 길
‘이해’의 통합인문학 / ‘비판’의 통합인문학 / 진리 규정과 통합인문학 / 방법과 존재론으로서의 통합인문학

제2부
21세기에 국문학 연구가 가야 할 길

통합인문학으로서의 한국학
1. 한국학 연구의 대체적 경과 / 2. 무엇이 문제인가 / 3. ‘국학’적 공부법의 변증법적 갱신 / 4. 한국학은 왜 통합인문학을 추구해야 하는가 / 5. 통합인문학적 한국학은 어떻게 추구될 수 있는가 / 6. 폐쇄적 전문가주의, 상업주의, 아마추어리즘을 넘어서 / 7. 맺음말

학문, 삶, 글쓰기

디지털 시대의 학문하기
1. 지금의 상황과 학문 / 2. 디지털 실증주의 / 3. 통섭 혹은 융복합의 문제 / 4. 연구 주체의 내적 성찰 / 5. 맺음말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