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차세대 모빌리티 국내외 시장 트렌드 분석과 주요 분야별 시장동향 및 미래전망

차세대 모빌리티 국내외 시장 트렌드 분석과 주요 분야별 시장동향 및 미래전망

  • 좋은정보사
  • |
  • 좋은정보사
  • |
  • 2020-07-23 출간
  • |
  • 465페이지
  • |
  • A4
  • |
  • ISBN 9788998586638
판매가

340,000원

즉시할인가

306,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06,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목 차


Ⅰ. 차세대 모빌리티 시장과 서비스형 모빌리티(MaaS)를 통한 산업변화 전망 33

1. 국내외 스마트 모빌리티 시장동향 및 전망 33
1) 스마트 모빌리티 개념 33
2) 스마트 모빌리티의 필요성 및 교통 패러다임 변화 35
(1) 스마트 모빌리티 확산 배경 및 필요성 35
1.1) Motorizarion에 따른 필요성 35
1.2) Life Style 변화에 따른 필요성 36
1.3) 교통 수단의 목적성 변화에 따른 필요성 38
1.3.1) 차량별 이용 형태 변화 38
a) 자가용 승용차 38
b) 대중교통 39
1.3.2) 교통수단 최적화를 위한 형태 40
(2) 스마트 모빌리티로 인한 교통시스템 변화 및 전망 41
2.1) 스마트 모빌리티 편익 41
2.2) 교통시스템 패러다임 변화 및 미래 전망 41
2.2.1) 사람-수단-서비스 간 연결성 강화 42
2.2.2) 소유에서 공유(Sharing)로의 전환 44
2.2.3) MaaS의 등장 46
2.2.4) Autonomous-MaaS 전망 49
3) 스마트 모빌리티 서비스 및 기술수준 52
(1) 서비스 특징 및 사례 52
(2) 요소기술별 기술수준 54
4) 미래 서울 교통의 모습 56
2. 스마트시티 구현을 위한 스마트 모빌리티 혁명 58
1) 스마트시티에서의 스마트 모빌리티 58
2) 4차 산업혁명과 지속가능 미래 모빌리티 혁명 59
(1) 4차 산업혁명과 지속가능 모빌리티 59
1.1) 지속가능 발전목표와 지속가능 모빌리티 59
1.2) 에너지/모빌리티 혁명과 모빌리티 61
(2) 전기화 트렌드 및 공유자율주행전기차 기반 모빌리티 혁명 62
2.1) 전기화(Electrification) 트렌드 전망 62
2.2) 공유자율주행전기차 기반 모빌리티 혁명 63
(3) UAM 기반 3차원 입체 모빌리티 미래 전망 67
3) 국내외 스마트시티·스마트 모빌리티 도입사례 69
(1) 국내 69
1.1) 서울시 69
1.2) 세종시 73
1.3) 당진시 74
(2) 국외 76
2.1) 미국 76
2.2) 중국 80
2.3) 독일 81
2.4) 네덜란드 82
2.5) 싱가포르 84
3. Deloitte의 모빌리티 전망 86
1) 모빌리티 생태계 미래상 86
2)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 전망 88
4. 차량공유와 MaaS 플랫폼 동향 및 전망 90
1) 글로벌 차량공유 산업동향과 미래 모빌리티 전망 90
(1) 개요 90
1.1) 개념 90
1.2) 분류 90
1.3) 서비스 효과 92
1.3.1) 긍정적 측면 92
a) 경제적 효과 92
b) 도시문제 해결에 기여 92
c) 이용자 편의 향상 93
1.3.2) 부정적 측면 93
(2) 글로벌 시장동향 및 전망 95
2.1) 시장 규모/전망 95
2.2) 공유차량 보유대수 비중 전망 95
2.3) 글로벌 투자 규모 및 동향 96
2.3.1) 투자액 및 투자건수 96
2.3.2) 지역별 투자동향 97
(3) 산업동향 및 전망 99
3.1) 산업 특징 및 생태계 동향 99
3.2) 자율주행 기술과의 결합을 통한 미래 생태계 전망 101
3.3) 글로벌 정책동향 103
(4) 기업 유형별 투자동향 및 전략 106
4.1) 완성차 기업 106
4.1.1) 투자 전략 106
4.1.2) 투자 사례 107
4.2) ICT 기업 110
4.2.1) 투자 전략 110
4.2.2) 투자 사례 111
(5) 모빌리티 비즈니스의 미래 115
5.1) 미래 자동차 생태계 전망 및 밸류체인 115
5.2) 새로운 비즈니스 가치 창출 116
5.2.1) 마이크로 모빌리티 116
5.2.2) 물류와 모빌리티 118
2) MaaS를 통한 모빌리티 혁명 및 산업전망 120
(1) 개요 120
1.1) 개념 120
1.2) 분류 121
1.3) 서비스 단계 122
1.4) 개인의 needs에 대응한 MaaS 123
1.5) MaaS 요금체계 124
(2) 발전방향 및 전망 126
2.1) 초기형태: FMM과 LMM service 126
2.2) 궁극적인 형태: 자율주행자동차 126
(3) 국내외 산업동향 및 전망 130
3.1) 국내 130
3.2) 국외 131
3.2.1) 시장동향 131
3.2.2) 완성차/ IT기업 MaaS 추진사례 132
3.2.3) 시장전망 135
(4) 주요 서비스 구축 및 도입사례 136
4.1) MaaS Global 137
4.2) Qixxit 139
4.3) Ubigo 140
4.4) IRIMS 프로젝트 141
4.5) Moovel Group 142
4.6) mobil 143
4.7) Citymapper 144
4.8) Conduent 145
4.9) TAGO 146
3) 서울형 MaaS 추진계획 및 MaaS Korea 148
(1) 서울형 MaaS 추진현황 148
1.1) 도입여건 148
1.2) 추진방향 149
1.3) 추진계획 150
1.3.1) 통합 모빌리티 플랫폼 151
1.3.2) 연계 수단 및 정보 151
1.3.3) 제공서비스 152
1.3.4) 서울시-민간 역할 153
1.3.5) 사회적 공감대 형성 153
(2) 단계별 추진전략 및 생태계 조성 현황 154
2.1) 단계별 추진전략 154
2.2) 생태계 조성 현황 155
2.2.1) 생태계 조성 방안 155
2.2.2) 단계별 접근 방안 157
2.2.3) 미래 MaaS 모습 158
(3) MaaS Korea 시나리오 160
5. CES 2020으로 본 차세대 모빌리티 혁명 161
1) CES 2020으로 본 미래 운송수단 161
2) 업계별 미래 모빌리티 전략 163
(1) 가전업체 163
(2) 완성차업체 167
2.1) 현대차 167
2.2) 도요타 169
2.3) 다임러 171
(3) 부품업체 172
3) 스마트시티와 모빌리티 솔루션 전망 176

Ⅱ. 퍼스널 모빌리티/마이크로 모빌리티 시장분석 및 전망 181

1. 퍼스널 모빌리티 개념 및 제품 유형별 시장동향 181
1) 개요 181
(1) 개념 181
(2) 특성 183
(3) 제품 유형 185
2) 확산 배경 186
(1) 환경규제 186
(2) 메가시티 187
(3) 신교통수단 188
3) 제품 유형별 시장동향 189
(1) 전동킥보드 189
1.1) 시장동향 189
1.1.1) 글로벌 시장전망 189
1.1.2) 제조사별 점유율 현황 189
1.2) 제품 및 소비자 트렌드 190
1.3) 공유 스타트업 현황 193
1.3.1) 버드(Birds rides) 193
1.3.2) 스핀(Spin) 194
1.3.3) 라임(Lime) 195
(2) 전동휠 196
2.1) 시장동향 196
2.2) 제품유형 197
2.3) 제품 트렌드 198
(3) 전기자전거 200
3.1) 시장동향 200
3.2) 제품 트렌드 202
3.3) 주요 참여자 현황 204
2. 국내외 퍼스널 모빌리티 시장분석 206
1) 국내 206
(1) 시장현황 206
(2) 시장 수요 현황 207
(3) 규제 및 서비스 사례 209
3.1) 규제 현황 209
3.2) 규제혁파 로드맵 211
3.3) 대표 서비스 사례 213
3.3.1) 공유: 킥고잉(KICKGOING) 213
3.3.2) 보험 214
(4) 자율주행 관련 연구동향 218
2) 국외 220
(1) 시장현황 220
(2) 주요국 시장 특성 및 트렌드 분석 223
2.1) 독일 223
2.1.1) 시장현황 223
2.1.2) 소비자 트렌드 225
2.1.3) 제품 트렌드 226
2.1.4) 시장전망 227
2.1.5) 유망시장: 전동스케이트보드 228
2.2) 폴란드 229
2.2.1) 시장 트렌드 229
2.2.2) 시장 SWOT 분석 230
2.2.3) 유통구조 231
2.2.4) 제품 및 가격 트렌드 232
2.2.5) 인증 및 규정 현황 235
2.3) 벨기에 236
2.3.1) 시장현황 236
2.3.2) 소비자 트렌드 237
2.3.3) 제품 트렌드 238
2.3.4) 유통채널 240
2.3.5) 인증 및 규제현황 240
2.4) 뉴질랜드 241
2.4.1) 시장현황 241
2.4.2) 공유 서비스 현황 242
2.4.3) 제품 트렌드 243
2.5) 벨라루스 245
2.5.1) 시장 트렌드 245
2.5.2) 수입동향 246
2.5.3) 제품 트렌드 248
2.5.4) 시장진입 고려사항 249
2.6) 오스트리아 250
2.6.1) 시장현황 250
2.6.2) 수입동향 252
2.6.3) 관련 규정 253
2.6.4) 공유서비스 업체현황 254
2.6.5) 인기제품 동향 255
2.7) 세르비아 256
2.7.1) 시장현황 256
2.7.2) 소비자 트렌드 257
2.7.3) 제품 트렌드 257
2.7.4) 어플리케이션 현황 259
2.7.5) 규제 현황 260
2.8) 이스라엘 261
2.8.1) 일반 자전거 시장현황 261
2.8.2) 전기자전거 시장현황 262
a) 수입 대상국 262
b) 배터리 수입동향 262
c) 수요 전망 263
2.8.3) 전동킥보드 시장현황 264
2.9) UAE 264
2.9.1) 제품 및 시장 트렌드 264
2.9.2) 규제현황 266
2.9.3) 시사점 267
2.10) 중국 267
2.10.1) 시장현황 267
2.10.2) 수입동향 268
2.10.3) 제품 트렌드 269
2.10.4) 소비자 트렌드 270
2.10.5) 시사점 272
(3) 규제 및 서비스 사례 273
3.1) 주요국 규제현황 273
3.2) 대표 서비스 사례 276
3.2.1) 공유 276
3.2.2) MaaS 277
3.2.3) 렌탈 279
3.2.4) 보험 280
(4) 자율주행 관련 연구동향 282
3. 마이크로 모빌리티 산업동향 및 전망 284
1) 개요 284
(1) 정의 284
(2) 분류 286
(3) 제원 및 특징 287
2) 국내외 시장동향 분석 289
(1) 국내 289
(2) 국외 291
2.1) 글로벌 시장전망 291
2.2) 글로벌 주요 업체동향 291
2.3) 주요국 시장동향 분석 292
2.3.1) 미국 293
a) 주요 도시별 시장잠재력 293
b) 이용 건수 및 현황 294
c) 주요 기술개발 동향 295
2.3.2) 유럽 296
2.3.3) 일본 297
3) 수익모델 트렌드 298
(1) 도크리스 스쿠터 공유업체의 新사업모델 298
1.1) 기존 수익구조와 새로운 수익모델 사례 298
1.2) 방치문제 해결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사례 300
(2) 시장 확산 한계에 따른 전기자동차 적용 방안 301
(3) 신기술 접목을 통한 수익모델 창출 303
4) 시장전망 305

Ⅲ. 도심항공 모빌리티(UAM) 산업동향 및 추진 로드맵 전망 309

1. 개요 309
1) 도심항공 모빌리티(UAM) 309
2) 플라잉카(Flying Car) 313
3) 개인용비행체(PAV) 316
4) 전기동력수직이착륙기(eVTOL) 319
2. UAM 시장현황 및 미래전망 322
1) 시장 형성의 조건 322
(1) 기술 322
1.1) 개요 322
1.2) 핵심기술 요소 및 동향 323
1.2.1) 추진계통 324
1.2.2) 배터리 326
1.2.3) 기타 327
(2) 규제 328
(3) 인프라 330
3.1) Uber 330
3.2) Volocopter 332
3.3) 현대자동차 333
(4) 사회적 수용성 증대 335
4.1) 합리적 가격 336
4.2) 높은 안전 수준 338
4.3) 저소음 및 친환경성 339
2) 시장동향 및 전망 340
(1) 시장규모 및 전망 340
(2) 시장가치 전망 342
(3) 시장 도전 과제 343
3) PAV 비즈니스 모델 및 초기 구매 비용 345
(1) 비즈니스 모델 적합도 345
(2) 초기 구매 비용 예측 346
4) 주요 업종별 수혜 전망 347
(1) 인터넷 플랫폼 업체 347
(2) 항공기 제조업체 349
(3) 반도체 및 센서 업체 350
(4) 기타 352
3. UAM 산업동향 및 주요 플레이어 동향 354
1) 성장 가능성 354
2) 관련 투자 동향 358
3) 산업 트렌드 전망 360
(1) 배경 360
(2) Last-mile Delivery 361
2.1) 드론 배송 서비스 361
2.2) Last-mile Delivery 363
(3) Air Metro 365
(4) Air Taxi 367
4) 업계별 UAM을 활용한 모빌리티 솔루션 370
(1) 개요 370
(2) 스타트업 372
(3) 항공·자동차 기업 376
3.1) 항공기 OEM 376
3.2) 완성차 OEM 377
3.3) 기타 379
(4) 플랫폼 기업 381
5)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로드맵 385
(1) 개요 385
(2) 비전 및 목표 387
(3) 주요 추진내용 389
3.1) 안전 확보를 위한 합리적 제도 설정 389
3.2) 민간역량 확보·강화를 위한 환경조성 390
3.3) 대중수용성 확대를 위한 단계적 서비스 실현 393
3.4) 이용 편의를 위한 인프라·연계교통 구축 394
3.5) 공정·지속 가능하고 건전한 산업생태계 조성 395
3.6) 국제협력 확대 396
(4) 추진체계 및 일정 398
(5) 기대효과 402
5.1) 도시교통 이용 형태의 변화 402
5.2) 산업 부가가치 창출 402

Ⅳ. 우버 vs. 현대자동차 차세대 모빌리티 전략 분석 407

1. 우버 407
1) 기업 개요 407
2) 사업구조 및 전략 409
3) 미래 모빌리티 솔루션 411
(1) 마이크로 모빌리티 411
(2) 음식배달 서비스: Uber Eats 412
(3) 물류: Uber Freight 414
(4) Air Taxi: Uber Elevat 416
2. 현대자동차 418
1) 기업 개요 418
2) 사업구조 및 전략 419
(1) 지능형 모빌리티 제품(Smart Mobility Device) 421
1.1) 지역 및 제품 관점의 최적화 성장 전략 421
1.2) 3대 스마트 차별화 요소 423
1.3) 구조적·근본적인 원가경쟁력 확보 체계 구축 424
(2) 지능형 모빌리티 서비스(Smart Mobility Service) 425
(3) 3대 핵심 재무 목표 427
3) 미래 모빌리티 솔루션 429
(1) UAM: PAV 컨셉트 모델 S-A1 430
(2) PBV: 맞춤형 이동형 모빌리티 컨셉트 432
2.1) 개념 432
2.2) 형태 및 기능 432
2.3) 활용성 434
(3) Hub: 모빌리티 환승 거점 435

Ⅴ. 부 록 439

1. 모빌리티 생태계 변화에 따른 보험산업 전망 439
2.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모빌리티 441
1) 포스트 코로나 모빌리티 변화 441
2) 포스트 코로나 시대 영역별 유망기술 전망 442
(1) 8대 영역별 미래모습 및 시나리오 442
(2) 8대 영역별 유망기술 도출 449
3. 공유 모빌리티 트렌드 Survey 454
1) 전반적인 교통수단 이용 행태 454
(1) 평소 이용 교통수단 454
(2) 자동차 소유에 대한 인식 456
(3) 퍼스널 모빌리티 이용 의향 458
2) 이동수단 공유 서비스 이용 행태 460
(1) 서비스 인지 및 설치 460
(2) 서비스 이용 경험 461
(3) 서비스별 이용 상황 463
(4) 서비스별 만족도 464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