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미래 모빌리티의 혁명, 플라잉카 자율주행차 핵심기술 개발동향과 상용화 전망

미래 모빌리티의 혁명, 플라잉카 자율주행차 핵심기술 개발동향과 상용화 전망

  • 아이알에스글로벌편집부
  • |
  • IRS Global
  • |
  • 2020-07-01 출간
  • |
  • 511페이지
  • |
  • A4
  • |
  • ISBN 9791190870023
판매가

420,000원

즉시할인가

378,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78,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미래 모빌리티의 혁명, 플라잉카ㆍ자율주행차 핵심기술 개발동향과 상용화 전망

Part 1. 플라잉카(Flying Car)

Ⅰ. 플라잉카(Flying car) 상용화 전망과 정책 추진동향

1. 플라잉카(Flying car) 개요와 외부환경 분석
1-1. 개념
1) 공륙양용차
2) 전동 수직 이착륙기
3) 도시형 항공교통
4) 하늘을 이용하는 Door-to-Door 이동 서비스
1-2. 개발 변천사
1) 공륙양용차
2) eVTOL
1-3. 분류 및 용도별 적합도
1) 분류
2) 용도별 적합도
1-4. 활용 방식
1) 도시의 지상 이동 수단을 대체
2) 소외된 지역의 이동 인프라
3) 관광에서의 활용
4) 물자 운송
1-5. 플라잉카의 외부 환경(PEST) 분석
1) 정치적 외부 환경
2) 기술적 외부 환경
3) 사회적 외부 환경
4) 경제적 외부 환경

2. 플라잉카(Flying car) 시장 동향과 상용화 전망
2-1. 세계 도심항공교통(UAM)ㆍ플라잉카의 시장 동향과 전망
1) 도심항공교통(UAM)의 등장 배경
2) 글로벌 시장규모 및 생태계
(1) 산업생태계 예측
(2) 도심항공교통(UAM) 시장규모 전망
(3) 플라잉카ㆍeVTOL 시장 동향과 전망
3) 글로벌 동향
(1) 업계 및 정부 동향
(2) 주요 업체 동향
4) 국내 현황
(1) 보편적인 인식
(2) 제약 요건
(3) 기회 요인
5) 국내 교통수단 선행 사례
(1) 한강헬기
(2) 수상택시
(3) 경전철(일부)
6) 도심항공교통(UAM)의 상용화 예측
(1) 교통형태
(2) 도시ㆍ환경 특성
(3) 이용자 운임
7) 실용화ㆍ보급을 위한 필요 요건
2-2. 플라잉카 상용화로 인한 변화
1) 하늘의 대중화
(1) 현재의 하늘 이동의 활용
2) 전동화ㆍ자율화ㆍ수직이착륙
3) 기존의 이동/물류 변화
(1) 하늘의 대중화로 인한 사람의 이동/물류의 변화
(2) 사람의 이동/물류의 변화로 인한 가치관의 변화
4) ‘플라잉카’가 실현됨에 따라 생겨나는 새로운 비즈니스
2-3. 플라잉카를 실현하기 위한 과제
1) 기술적인 과제
2) 보안
3) 법 정비
4) 인프라 정비
5) 연구개발 지원
6) 사회적 수용성

3. 주요국별 플라잉카(Flying car) 관련 정책 추진 동향과 최근 이슈
3-1. 미국
1) 정책 추진 동향
(1) 인증 동향
(2) 무인항공기용 교통관리체계(UTM)
(3) 인프라
2) 연료전지 eVTOL
(1) 새로운 디자인
(2) 수소의 장점
(3) 연방항공국(FAA)의 인증
(4) 연료전지의 비용
(5) 다양한 라인업
3-2. 유럽
1) UAM용 eVTOL 기체 인증 가이드라인
3-3. 일본
1) 플라잉카의 실증실험
2) 산업에 미치는 영향
3) 플라잉카 로드맵
4) 플라잉카를 구명 의료에 활용하는 등의 비즈니스 모델 공표
5) 무인항공기용 교통관리체계(UTM)
3-4. 한국
1) 목표 및 추진전략
2) 주요과제
(1) 안전 확보를 위한 합리적 제도 설정
(2) 민간역량 확보ㆍ강화를 위한 환경조성
(3) 대중수용성 확대를 위한 단계적 서비스 실현
(4) 이용 편의를 위한 인프라 및 연계교통 구축
(5) 공정ㆍ지속가능하고 건전한 산업생태계 조성
(6) 글로벌스탠다드와 나란히 하는 국제협력 확대
3) 기대효과
(1) 도시교통 이용형태의 변화
(2) 산업 부가가치 창출
4) 추진체계 및 일정

Ⅱ. 플라잉카 핵심기술 개발 및 참여업체별 대응전략 분석

1. 플라잉카(Flying car) 핵심기술 개발동향
1-1. eVTOL 개발 동향과 전망
1) 新모빌리티 eVTOL
2) 신규 참여가 증가하는 기체 개발 분야
3) eVTOL 활용서비스를 확대하는 움직임
4) eVTOL 산업의 발전에 따른 과제
(1) 배터리
(2) 서비스
5) 향후 전망
1-2. 주요업체별 플라잉카 대응 동향
1) 항공기 제조사
(1) Boeing
(2) Air bus
2) 완성차 업체
(1) Hyundai
(2) Toyata
(3) Audi
(4) Benz
(5) 포르쉐
3) 스타트업
(1) Uber
(2) Ehang
(3) Joby Aviation
(4) Wisk Aero
(5) Volocopter
(6) SkyDrive
(7) Lilium
(8) Skyryse
(9) AutoFlightX
4) 기관 및 단체
(1) 미항공우주국
(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3) 전기연구원
(4) CARTIVATOR
1-3. 주요 모델별 개발 사례 분석
1) Transition
2) PAL-V
3) Vahana
4) Bell Nexus
5) EHang 184
6) SureFly
7) E-Volo
8) Blackfly
9) EVTOL Concept
10) Volante Vision Concept
11) Workhorse
12) Aero Mobil
13) S-A1

2. 드론의 국내외 개발동향과 시장전망
2-1. 드론 기술 변천과 주요국별 시장 동향 및 전망
1) 드론 기술의 변천
(1) 드론의 기원
(2) 원격조종형 드론의 등장
(3) 자율비행형 드론의 등장
(4) 취미용 드론의 보급
(5) 산업에서의 드론 이용
2) 글로벌 시장 동향과 전망
3) 중국 시장 동향과 전망
(1) 민수용 드론 시장
(2) 밸류체인
(3) 세계 시장에서의 중국업체 입지
4) 미국 시장 동향과 전망
(1) 시장 규모
(2) 분야별 활용 동향
(3) 주요 드론 기업 및 제품 동향
5) 프랑스 시장 동향과 전망
6) 인도 시장 동향과 전망
(1) 시장 규모
(2) 공공분야 활용 동향
(3) 제조업체 현황
7) 일본 시장 동향과 전망
(1) 시장 규모
(2) 수입 동향
(3) 참여업체 동향 및 유통구조
8) 국내 시장 규모와 기술력 수준
(1) 시장규모 및 기술력 수준
(2) 정책 추진 동향
(3) 가치사슬 현황
9) 안티드론 시장동향
2-2. 드론 플랫폼 시장 동향
1) 시장 동향
2) 주요 플랫폼별 동향
(1) 에어웨어(Airware)
(2) 오픈파일럿(OpenPilot)
(3) 드론코드(Dronecode)
(4) DJI
(5)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3) 국내 주요업체별 개발동향
2-3. 드론 산업 세부 분야별 국내외 동향
1) 사업용 드론 산업
(1) 국내
(2) 해외
2) 산업 생태계
(1) 국내
(2) 해외
3) 공공 수요
(1) 국내
(2) 해외
4) 운영 환경
(1) 국내
(2) 해외
5) 인프라 구축
(1) 국내
(2) 해외
6) 기술 경쟁력
(1) 국내
(2) 해외
7) 추진 기반
(1) 국내
(2) 해외

Part 2. 자율주행차(Autonomous Vehicle)

Ⅲ. 자율주행차 상용화 전망과 정책 추진 동향

1. 자율주행차 시장 동향과 상용화 전망
1-1. 자율주행차 개요
1) 정의 및 개념
2) 기술 수준의 분류
(1) 개요
(2) 미국, 자동차공학회(SAE)의 분류기준
(3) 자율주행차 도입의 타임 스케줄
3) 모빌리티 비즈니스 환경 변화
4) 향후 경제적 가치 평가
1-2. 국내외 자율주행차 시장 동향과 전망
1) 상용화 시기 전망
2) 글로벌 시장 규모 전망
(1) 시장 규모 전망
(2) 향후 산업 전망
3) 레벨별(Lx3/Lx4) 시장규모 전망
4) 자율주행차용 센서 및 반도체 시장
(1) 완전 자율주행차를 위한 2가지 접근방법
(2) 자율주행 시대에 요구되는 차량용 센서
(3) 센서 처리를 담당하는 반도체 시장
5) ‘AI 스타트업’ M&A 증가
(1) 자율주행차에 필수불가결한 AI
(2) 소규모 AI 개발업체 M&A 현황
(3) 자동차 업계의 주목할 만한 AI 스타트업 기업 일람
6) 자율주행 기반 상용차 등장 전망
(1) 자율주행 트럭
(2) 자율주행 버스
1-3. 자율배송과 자율주행 택시 상용화 동향
1) 자율주행 배송
(1) 개요
(2) 물류ㆍ창고 업계에서의 기대
(3) 주요 기업별 참여 동향
2) 자율주행 택시
(1) Waymo
(2) 테슬라
(3) GM×Cruise Automation
(4) 바이두
(5) 다임러 × 보쉬
(6) ZMP × 히노마루 교통
(7) Hyundai
1-4. 철궤도 자율주행 개발 동향
1) 분야별 도입사례 현황
(1) 철궤도
(2) LRT
(3) 가상레일 버스
2) CBTC(무선열차 제어시스템)
2. 주요국별 자율주행차 활성화를 위한 대응 현황 비교
2-1. 조사 개요 및 주요 결과
1) 조사 개요
2) 주요 결과
(1) 국가별 자율주행차 대응력 순위
(2) 신규로 순위에 포함된 5개국
2-2. 주요국별 대응 동향과 지수
1) 네덜란드
2) 싱가포르
3) 노르웨이
4) 미국
5) 스웨덴
6) 핀란드
7) 영국
8) 독일
9) 아랍에미리트
10) 일본
11) 뉴질랜드
12) 캐나다
13) 한국
14) 이스라엘
15) 호주
16) 오스트리아
17) 프랑스
18) 스페인
19) 체코공화국
20) 중국

3. 주요국별 자율주행차 관련 정책 추진 현황
3-1. 유럽
1) 관련 법규 정비
2) 테스트 인프라
3-2. 독일
1) 허용 법안 발효
2) 윤리 가이드라인
3-3. 미국
1) Automated Driving systems
(1) 자발적 지침 - 차량 성능 지침
(2) 주정부에 대한 기술지원
2) 자율주행법(SDA)
3) 주정부 입법 현황
3-4. 중국
1) 자율주행 자동차 주행 시험장
2) 실도로 개방
3-5. 일본
1) 그간의 정책 추진 동향
2) 관민 ITS구상 로드맵 2019
(1) 일본 정부 목표(자가용)에 관한 현재 상황
(2) 일본 정부 목표(이동 서비스)에 관한 현재 상황
3-6. 한국
1) 입법 동향
2) 그간의 정책 추진 동향
3) 미래 자동차 산업 발전 전략 중 ‘자율주행차 미래시장 선점’
(1) 핵심 인프라
(2) 제도 기반
(3) 완전자율주행차 개발 방향

Ⅳ. 자율주행차 요소기술 개발 및 참여업체별 대응전략 분석

1. 자율주행차의 기술 요소별 개발 및 적용 동향
1-1. ADAS와 센서
1) ADAS 개요
2) 센서별 장단점 및 비교
3) ADAS의 ECU 역할과 성능
(1) 차량탑재 ECU 개념
(2) ADAS의 ECU 개념
(3) 차량용 ECU의 종류
(4) ADAS에서의 ECU의 역할
1-2. 인지 및 판단 시스템
1) 개요
(1) 개념
(2) 필요성
2) 최근 기술개발 이슈
(1) 서라운드 센서융합 중심 인지 및 판단시스템
(2) 자율협력주행(도로인프라)연계 인지 및 판단시스템
3) 국내외 주요업체별 개발 동향
(1) 해외 동향
(2) 국내 동향
1-3. 라이다(LiDAR) 센서
1) 자동차용 라이다 시장
(1) Audi(운전지원시스템)와 Waymo(자율주행)가 리드
(2) 주목받는‘하마마츠 호트닉스’
2) 라이다 및 반도체 개발동향
(1) 라이다의 원리와 구성
(2) 라이다를 위한 반도체 제품의 기술 개발 동향
(3) 영상 인식 프로세서 Visconti
1-4. 인공지능(AI)
1-5. 차량 통신
1) C-V2X
(1) C-V2X 개념 및 현황
(2) 2020년, 5G-V2X 상용화
2) C-V2X 응용 및 서비스 분야
(1) 정보서비스 분야
(2) 주행안전 분야
(3) 교통효율화 분야
(4) 협력 자율주행 서비스 분야
3) 주요국 V2X 적용 및 개발 현황
4) 중국 C-V2X 개발 및 산업 동향
(1) C-V2X 개발 및 표준 현황
(2) C-V2X 산업 생태계 및 기업별 현황
(3) C-V2X 상용화 로드맵
(4) C-V2X 응용 시연 현황
1-6. 5G 이동통신
1-7. 시스템 반도체
1) 산업 및 개발 동향
2) 자율주행차 영상 분석용 SoC
(1) Embedded Vision System과 SoC의 필요성
(2) 영상처리 알고리즘 개요
(3) 자동차 비전용 SoC 개발 현황
1-8. 초고정밀 지도
1) 개요
2) 주요 업체별 개발 동향
1-9. 차량 측위 기술
1) GPS / GNSS
2) 측위 기술 기반 센서 융합
3) 실내 측위 기술
1-10. 보안
1) 보안 위협 현황
(1) 내부 보안 위협
(2) 외부 보안 위협
2) 보안 선결 과제
3) 국내외 기술개발 동향
(1) 자율주행차 보안체계 기술
(2) V2X 통신 보안위협 및 보안 가이드라인
(3) 차내망 침임탐지시스템 구현 방법 표준

2. 주요업체별 자율주행차 관련 개발 및 비즈니스 추진 동향
2-1. ITㆍ부품업체
1) Google(Waymo)
2) Apple
3) Baidu
4) Intel
5) NVIDIA
6) IBM
7) Uber
8) Naver
9) Delphi(Aptiv)
10) Continental
11) Bosch
12) Denso
2-2. 완성차 업체
1) GM
2) Daimler
(1) BMW와 공동개발 제휴
(2) 로봇 메르세데스(Robot Mercedes) 택시 런칭
(3) 자율주행차 스타트업 "토크 로보틱스" 지분 인수
(4) 자율주행차 도입 연기
3) Ford
4) VolkswagenㆍAudi
5) BMWㆍIntelㆍFCA
6) Renault Nissan
7) Volvo
8) PSA
9) Hyundai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