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고전의 필사

고전의 필사

  • 정도전 , 정몽주, 이방원, 박팽년, 성상문, 윤선도, 조광조, 유응부, 김굉필
  • |
  • 소와다리
  • |
  • 2014-11-10 출간
  • |
  • 224페이지
  • |
  • ISBN 9788998046392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12,000원

즉시할인가

10,8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0,8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제1장 : 풍류의 장 마흔아홉 수
재 너머 성권농 집의 - 정철
말 업슨 청산이요 - 성혼
대쵸 볼 불근 골에 - 황희
자내 집의 술 익거든 - 김육
달이 두렷하여 - 이덕형
집방석 내지 마라 - 한호
매암이 맵다 울고 - 이정신
추강에 밤이 드니 - 월산대군
나뷔야 청산 가쟈 - 작자 미상
산촌에 눈이 오니 - 신흠
두류산 양단수를 - 조식
거문고 타쟈 하니 - 작자 미상
십 년을 경영하야 - 송순
떳떳 상 평할 평 - 작자 미상
빈천을 팔랴 하고 - 조찬한
백일은 서산의 지고 - 최충
비 오난대 들희 가랴 - 윤선도
동창이 발갓느냐 - 남구만
댁들에 동난지이 사오 - 작자 미상
삿갓셰 되롱의 닙고 - 김굉필
강호사시가(연시조 네 수) - 맹사성
오우가(연시조 여섯 수) - 윤선도
개를 여라믄이나 기르되 - 작자 미상
청산리 벽계수야 - 황진이
내 언제 무신하야 - 황진이
산은 옛 산이로되 - 황진이
청초 우거진 골에 - 임제
공산에 우난 접동 - 박효관
이화에 월백하고 - 이조년
길 우희 두 돌부텨 - 정철
바람도 쉬여 남난 고개 - 작자 미상
한 손에 막대 잡고 - 우탁
춘산에 눈 노긴 바람 - 우탁
훈민가(연시조 네 수) - 정철
반중 조홍감이 - 박인로
태산이 놉다 하되 - 양사언
잘 가노라 닷지 말며 - 김천택
내해 됴타 하고 - 변계량

제2장 : 충신의 장 스물일곱 수
구룸이 무심탄 말이 - 이존오
이 몸이 주거 가셔 - 성삼문
수양산 바라보며 - 성삼문
가마괴 눈비 마자 - 박팽년
금생여수라 한들 - 박팽년
천만 리 머나먼 길에 - 왕방연
방 안에 혓난 촉불 - 이개
이런들 엇더하며 - 이방원
이 몸이 주거 주거 - 정몽주
가마괴 싸호는 골에 - 영천 이씨
이시렴 브디 갈따 - 성종
오면 가랴 하고 - 선조
쓴 나믈 데온 물이 - 정철
삼동에 뵈옷 닙고 - 조식
올해 댜른 다리 - 김구
삭풍은 나모 긋테 불고 - 김종서
장백산에 기를 꼿고 - 김종서
장검을 빠혀 들고 - 남이
적토마 살디게 먹여 - 남이
십 년을 가온 칼이 - 이순신
한산셤 달 발근 밤의 - 이순신
녹이상제 살지게 먹여 - 최영
국화야 너난 어이 - 이정보
어리고 성긴 가지 - 안민영
바람에 휘엿노라 - 인평대군
눈 마자 휘여진 대를 - 원천석
구즌 비 개단 말가 - 윤선도

제3장 : 탄식의 장 스물다섯 수
굼벙이 매암이 되야 - 작자 미상
싸움애 시비만 하고 - 이덕일
옥을 돌이라 하니 - 홍섬
검으면 희다 하고 - 김수장
냇가에 해오라비 - 신흠
노래 삼긴 사람 - 신흠
져 건너 일편석이 - 조광조
노푸나 노픈 남게 - 이양원
철령 노픈 봉을 - 이항복
곳치 딘다 하고 - 송순
엊그제 버힌 솔이 - 김인후
간밤의 부던 바람에 - 유응부
풍파에 놀란 사공 - 장만
나모도 병이 드니 - 정철
가마괴 검다 하고 - 이직
백설이 자자진 골에 - 이색
오백 년 도읍지를 - 길재
선인교 나린 물이 - 정도전
흥망이 유수하니 - 원천석
청강에 비 듯는 소리 - 봉림대군
청석령 디나거냐 - 봉림대군
내라 그리거니 - 인조
풍셜 석거 친 날에 - 이정환
이별하든 날애 - 홍서봉
가노라 삼각산아 - 김상헌

도서소개

이 책에는 3장 12구의 형식이 온전하고 내용이 명료한 시조 중에서도 역사적의로 의미가 있는 101수(연시조 14수 포함)를 우선 가려 실었다. 제1장 <풍류의 장>에는 자연을 벗으로 삼아 안빈낙도하며 때로는 오지 않는 님을 애타게 그리워하고 가는 세월을 아쉬워하는 가객들의 시조 49수를 담았다. 제2장 <충신의 장>에는 부러질지언정 결코 굽지 않는 대나무 같은 절개를 지닌 충신들과 칼 한 자루로 나라의 안녕을 지키는 기개 높은 맹장들의 시조 27수를 실었고 마지막으로 제3장 <탄식의 장>에는 당쟁의 소용돌이에 휘말려 고통스러워하는 선비들과 나라를 잃고 서러워하는 유신들의 시조 25수를 적었다.
"고전을 필사하며 문장의 기본을 다진다"
역사 속 시조로 깨우치는 일곱 자 단문의 묘妙!
종이와 펜이 선사하는 아날로그적인 재미!

고전을 통째로 필사하는 것은 작법을 깨우치는 데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다. 그중에서도 시조는 제한된 수의 글자로 기승전결을 모두 표현해야 하므로 명료한 문장을 익히는 훌륭한 원천이라 할 수 있다. 우리 고유의 시조 형식은 초장 중장 종장의 3장, 각 장은 4구 15자 내외이며 총 45자 안팎, 그리고 종장의 첫 구는 반드시 세 글자여야 한다는 엄격한 규칙이 있을 정도로 정형성이 매우 강하다. 하지만 이렇게 고정된 틀 속에서 시조가 표현하고 있는 내용은 인간사 모든 것을 아우르고 있다. 이러한 시조를 단지 눈으로 보는 것만으로는 그 맛을 온전히 느끼기 힘들다. 직접 읽고 써보면 우리 말의 아름다움과 변화무쌍한 조화를 비로소 알 수 있다.

읽음으로 부족하니 써본들 엇더하료
역사와 함께하니 긔 더욱 반갑고야

이 책에는 3장 12구의 형식이 온전하고 내용이 명료한 시조 중에서도 역사적의로 의미가 있는 101수(연시조 14수 포함)를 우선 가려 실었다. 제1장 <풍류의 장>에는 자연을 벗으로 삼아 안빈낙도하며 때로는 오지 않는 님을 애타게 그리워하고 가는 세월을 아쉬워하는 가객들의 시조 49수를 담았다. 제2장 <충신의 장>에는 부러질지언정 결코 굽지 않는 대나무 같은 절개를 지닌 충신들과 칼 한 자루로 나라의 안녕을 지키는 기개 높은 맹장들의 시조 27수를 실었고 마지막으로 제3장 <탄식의 장>에는 당쟁의 소용돌이에 휘말려 고통스러워하는 선비들과 나라를 잃고 서러워하는 유신들의 시조 25수를 적었다.

필사 연습용 원고지 다운로드 : 소와다리 네이버 카페 http://cafe.naver.com/sowadari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