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공기업 채용 과정에서 직업기초능력을 학습하는 데 있어서 하나의 테마로 등장한 것이 PSAT 유형이다. PSAT은 공직적격성검사로 현재 5급 공채, 5급 특채, 7급 공채, 7급 지역인재 시험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PSAT 유형이 직업기초능력을 평가하는 문항에서 빈번하게 출제되고 있는 것은 직업기초능력과 PSAT의 본질이 유사하기 때문이다. 단순히 지식을 테스트하는 것이 아니라 빠르고 다양하게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이를 이해하고, 해석하며 적용/분석할 수 있는 실무형 인재를 선발하는 평가도구이기 때문이다.
직업기초능력 10개 영역 중 의사소통능력, 수리능력, 문제해결능력, 자원관리능력 등은 실제 PSAT언어논리, 자료해석, 상황판단과 유사한 측면을 갖는다.
언어논리는 주어진 글의 이해, 표현, 추론, 비판과 논리적 사고 등의 능력을 평가하는 것으로 의사소통능력의 문서이해능력, 문서작성능력과 평가하고자 하는 내용이 유사하다.
자료해석은 수치자료의 정리와 이해, 처리와 응용계산, 자료의 분석과 새로운 정보를 도출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는 것으로 수리능력의 기초연산능력, 기초통계능력, 도표분석능력, 도표작성능력과 평가하고자 하는 내용이 유사하다.
상황판단은 주어진 상황의 이해, 주어진 상황의 추론과 분석 및 이에 대한 판단과 의사결정 능력을 평가하는 것으로 문제해결능력의 사고력, 문제처리능력과 평가하고자 하는 내용이 유사하다. 자원관리능력이나 조직이해능력에서 주어진 자료의 이해나 계산 유형 등은 상황판단 영역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PSAT는 직업기초능력에서 요구하는 능력과 많은 유사점을 갖기 때문에 앞으로 직업기초능력평가에서 출제되는 비중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 교재는 직업기초능력평가를 수험생들이 효율적으로 대비할 수 있도록 과거 PSAT 기출 문제를 엄선하여 수록하였다. 특히 의사소통능력과 수리능력, 문제해결능력, 조직이해능력, 자원관리능력 등 직업기초능력 기출 유형과 문항을 철저하게 분석하여 이를 철저하게 대비할 수 있는 문항들을 선별하여 수록하였으며 특정 공기업에만 한정된 학습이 아닌 모든 공기업 시험에 대비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