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미야모토 무사시 세트 (전10권)

미야모토 무사시 세트 (전10권)

  • 요시카와에이지
  • |
  • 잇북
  • |
  • 2020-05-01 출간
  • |
  • 3288페이지
  • |
  • 128 X 188 mm
  • |
  • ISBN 9791185370255
판매가

100,000원

즉시할인가

90,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90,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요시카와 에이지의 대표작 《미야모토 무사시》
일본 최강의 검객을 소설로 만난다

미야모토 무사시는 자타가 공인하는 일본 최강의 검객이다. 그는 스물아홉 살 때까지 60여 차례의 결투에서 단 한 번도 패한 적이 없고, 쌍검을 동시에 사용하는 니텐이치류二天一流(이도류二刀流)의 창시자이자 손자의 《손자병법》,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과 함께 세계 3대 병법서로 불리는 《오륜서》의 저자이기도 하다. 그런 그의 이야기는 그동안 사람들 사이에서 구전으로만 전해지다 요시카와 에이지의 소설 《미야모토 무사시》를 통해 세상에 알려지면서 일본인들 사이에 무사시 신드롬을 일으킬 정도로 큰 사랑을 받고 있다.
소설 《미야모토 무사시》는 1935년 8월 23일부터 1939년 7월 11일까지 4년에 걸쳐〈아사히신문〉에 연재되었다. 다케조(무사시의 아명)가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패하고 시체들 사이에 누워서 자기의 얼굴 위로 지나가는 수많은 군마의 질주를 바라보는 장면으로 시작되는 이 소설은 미야모토 무사시가 각지를 돌아다니며 자기 외의 모든 것을 스승으로 삼아 무사의 길을 깨닫고 참다운 무사로 성장해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아울러 기존의 전기물과는 달리 위인이나 위정자가 아닌 민초들의 삶을 민초들의 시각에서 다룸으로써 우리나라의 조선시대에 해당하는 1600년대 일본 서민들의 삶을 날것 그대로 오롯이 느낄 수 있게 해준다.
이 소설이 탄생하게 된 배경 또한 흥미롭다. 일본의 소설가이자 아쿠타가와 상, 나오키 상의 설정자인 기쿠치 칸菊池?과 나오키 산주고直木三十五 사이에 미야모토 무사시의 명인론에 대한 논쟁이 벌어진 것이 그 계기였다.
1932년 나오키가 무사시는 ‘명인(검의 고수)이 아니다’라는 주장을 내놓자 기쿠치가 그에 반대하며 무사시는 ‘명인이다’라고 주장했다. 이에 나오키가 요시카와 에이지에게 어느 쪽 주장을 지지하느냐고 묻자 요시카와는 기쿠치의 주장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나오키가 다시 ‘요시카와가 무사시를 명인으로 생각하는 이유를 발표하라’고 촉구했지만, 이 요구에 대해서 요시카와는 침묵을 지켰다. 그러다 1935년에 요시카와는 이 작품을 발표함으로써 간접적으로나마 나오키의 요구에 대한 답을 내놓았고, 이 작품이 그야말로 신드롬급에 가까운 인기를 모으자 자연스럽게 ‘무사시는 명인’이라는 설이 많은 사람들의 지지를 받게 되었다.
이후 이 작품이 책으로 출간된 것은 물론 이 작품을 원작으로 하는 수많은 영화와 드라마, 애니메이션, 만화 등이 현재까지도 활발하게 제작되고 있다.
소설 《미야모토 무사시》는 일본에서 단행본으로 총 3종이 출간되었다. 문고판으로는 5종 이상이 출간되어 현재도 판매되고 있고, 이 작품을 원작으로 한 영화는 20편, 라디오 드라마는 3편, 텔레비전 드라마는 7편, 연극은 두 편, 만화는 《배가본드》가 있다.
이 소설은 17세의 무사시가 친구와 함께 세키가하라 전투에 참전했다가 패잔병이 되어 시체들 사이에 누워 있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그러나 일반 전기 소설이나 위인전과는 달리 29세 때 무사시 인생의 최대 라이벌인 사사키 고지로와의 후나시마(간류지마) 결투를 끝으로 소설도 끝을 맺는데, 이는 그 후로 무사시가 간혹 대규모 전투에는 참전한 기록이 보이지만 개인적인 결투에 나선 기록은 보이지 않기 때문에 저자가 소설적인 재미를 위해서 과감하게 생략한 듯 보인다.

[줄거리]
1. 땅의 권
열일곱 살의 다케조는 죽마고우인 마타하치와 함께 일본의 패권이 갈린 세키가하라 전투에 도요토미 쪽 병졸로 참전했다가 패잔병이 되어 죽을 고비를 넘기며 전장에서 탈출한다. 산속을 헤매던 다케조와 마타하치는 전장에 널브러져 있는 시체에서 투구와 무기 등을 훔치고 있는 아케미를 우연히 만나 그녀의 양어머니인 오코의 허락으로 그녀의 집에서 숨어 지내게 된다.
1년 가까이 모녀의 집에서 숨어 지내던 다케조와 마타하치는 모녀의 집을 약탈하러 온 쓰지카제 덴마를 때려죽인 일을 계기로 함께 고향으로 돌아가자고 약속한다. 그러나 마타하치가 오코의 유혹에 넘어가 고향으로 돌아가기로 한 날 도망쳐버리고 다케조만 혼자 고향으로 돌아오는데…….

2. 물의 권
3년간의 감금 생활을 마치고 본격적으로 무사 수련 길에 나선 미야모토 무사시. 각지의 고수들을 찾아 이른바 ‘도장 깨기’에 들어간 무사시가 첫 상대로 선택한 인물은 천하제일검이라 불리는 요시오카류의 2대 당주 요시오카 세이주로다. 그러나 세이주로가 마침 도장을 비운 탓에 그의 제자들만 상대한 뒤 훗날을 기약하고 다시 길을 나선 무사시는 창술로 유명한 호조인을 찾아가 또다시 결투를 청한다.
한편 오쓰는 하나다 다리에서 자신을 남겨두고 가 버린 무사시를 찾아 정처 없이 길을 떠나지만 두 사람은 만날 듯 만날 듯 만나지 못하고 계속 엇갈리기만 한다. 심지어 무사시의 제자가 된 조타로를 길가에서 우연히 만나 길동무가 되어 한동안 같은 길을 가면서도 조타로가 무사시의 제자라고는 꿈에도 생각하지 못한다.

3. 불의 권
무사 수련의 길은 멀고도 험난했다. 무사시가 가는 길에는 과거의 악연으로 깊은 원한을 품은 쇄겸의 고수 시시도 바이켄, 가문의 명예를 걸고 복수를 맹세한 요시오카 도장의 요시오카 세이주로, 그리고 형보다 검술 실력이 뛰어나다는 요시오카 덴시치로 등의 난적이 줄줄이 기다리고 있었다.
그들과 오로지 홀로 맞서서 싸워야 하는 무사시는 또 여전히 자신을 죽이려고 혈안이 되어 있는 오스기를 피해 다니느라 애를 먹는다. 친구의 어머니이자 연로한 노파를 다른 사람처럼 힘으로 제압하지도 못하고 그저 오해가 풀리기만을 바라지만, 오스기는 무사시를 잡아서 죽일 때까지는 결코 멈출 기색을 보이지 않는다.

4. 바람의 권 上
마침내 요시오카 세이주로와 결투를 하게 된 무사시는 자신을 일개 떠돌이 무사라고 얕잡아보고 별다른 전략 없이 덤벼드는 세이주로를 단 일격에 외팔이 불구로 만들어버린다. 교토에서 검술로는 최고라는 평가를 받고 문하생만도 천 명에 달한다는 요시오카 도장의 당주를 보란 듯이 제압하고 승리를 쟁취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요시오카 일족과 문하생들 전부를 적으로 돌리는 결과를 낳고, 또다시 세이주로의 동생 덴시치로에게 결투장을 받는다.
한편, 사사키 고지로를 사칭하고 다니던 마타하치는 당사자인 고지로에게 발각되어 죽을 고비를 넘기고 우여곡절 끝에 오쓰를 만나 같이 도망가자고 유혹하지만 거부당하자 그녀를 죽이기로 결심한다.

5. 바람의 권 下
자신들의 당주와 그의 동생까지 잃은 요시오카 가문의 일족과 문하생들은 무사시에게 복수하겠다며 혈안이 되어 그를 찾아다닌다. 결국 무사시를 결투 장소까지 끌어내는 데 성공한 요시오카 측 사람들은 이번에야말로 기필코 무사시를 죽여서 실추된 가문의 명예를 되찾겠다며 동원할 수 있는 병력과 무기를 총동원하여 만반의 준비를 갖추고 나서 무사시가 오기만을 기다린다.
한편 무사시는 수십 명, 아니 백 명이 넘을지도 모르는 적을 상대하게 될 것이라는 것을 뻔히 알면서도, 또 상대가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자신을 죽이려고 들 것이라고 예상하면서도 단신으로 결투 장소로 향한다.

6. 공空의 권 上
새로운 삶을 꿈꾸며 오쓰와 조타로를 데리고 에도로 가던 무사시는 자신의 뒤에서 따라오는 줄만 알았던 두 사람의 행방이 묘연해지자 크게 당황한다. 결국 오쓰가 괴한에게 납치된 사실을 알고 그녀의 행방을 수소문해보지만 끝내 그녀를 찾지 못한다. 대신 조타로가 나라이의 다이조라는 사람을 쫓아갔다는 소식을 들은 무사시는 오쓰의 행방에 대한 작은 실마리라도 잡기 위해 그를 찾아 길을 나선다.
한편 조타로는 납치된 오쓰를 구해내기 위해 나라이의 다이조라는 사람에게 도움을 청하러 간다. 마침 여행길에 나서려던 다이조는 조타로에게 사정 이야기를 듣고 조타로를 여행길에 동행시키며 같이 오쓰를 찾아보기로 한다.

7. 공空의 권 下
에도로 가던 중 우연히 들른 호덴가하라라는 벌판에서 두 번째 제자인 이오리를 만난 무사시는 그곳에 정착하여 황무지였던 벌판을 개간하고 산적의 습격을 받은 마을 사람들을 구해내면서 검술 수련만으로는 자신이 생각하는 진정한 무사가 될 수 없다는 것을 절실히 깨닫는다.
무엇보다도 열심히 검술 실력을 갈고닦아야 하는 것도 무사라면 당연히 갖춰야 할 자세이지만, 자연의 섭리를 거스르지 않으면서 자연을 다스리는 법을 배우는 것, 인간이라면 귀천을 불문하고 평등하게 그들을 존중하면서 그들로부터 존중을 받는 법을 배우는 것 또한 진정한 무사가 되기 위해서는 빼놓을 수 없는 자세라는 것을 깨닫는다.

8. 니텐二天의 권
북을 치는 채는 두 개, 두 개의 채가 내는 소리는 하나…… 저것이 이도二刀다. 이도와 같은 원리다.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두 개의 손이 있지만 검을 잡을 때는 한 손밖에 사용하지 않는다. 적도 그러했고, 모든 사람들이 그것을 습성인 양 받아들이고 있었기 때문이지만, 만일 두 손으로 두 개의 검을 완벽하게 다룰 수 있게 된다면 하나의 검만을 든 사람은 어떻게 될까?
무사시는 비로소 이도의 진리를 깨달았다. 그것은 무애자유無?自由의 경지였다. 두 자루의 검을 양손에 들고 동시에 사용할 때 왼쪽과 오른쪽, 오른쪽과 왼쪽을 의식하지만 의식하지 않는 것이다. 오른손에 든 검도, 왼손에 든 검도 서로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 각각의 역할을 자유자재로 수행할 수 있을 때 진정한 이도가 완성된다.

9. 엔메이円明의 권 上
호소카와 가문의 검술 사범으로 등용되며 평소 자신의 바람대로 마침내 부와 명예를 동시에 거머쥔 사사키 고지로. 쇼군 가문의 검술 사범으로 추천되었다가 신상에 관한 불미스런 소문이 있다 하여 등용이 취소된 뒤 은둔 생활에 들어간 미야모토 무사시. 두 사람의 엇갈린 운명에 한 사람은 사람들로부터 존경을 받는 편안한 생활에 안주하고, 다른 한 사람은 아직 자신에겐 부족한 점이 많다는 것을 깨달으며 수련에 더욱 정진한다.
그런데 세상 사람들은 이처럼 전혀 다른 환경에서 각자의 길을 걷고 있는 두 사람을 경쟁 관계로 몰아가며 언젠가는 반드시 결투를 벌여야 하는 분위기를 조성한다. 당사자가 원하든 원치 않든 두 사람은 이미 세상 사람들에 의해 결투를 벌여야 하는 운명에 놓이게 된 것이다.

10. 엔메이円明의 권 下
마침내 미야모토 무사시와 사사키 고지로의 대결이 성사되었다. 장소는 후나시마, 일시는 게이초 17년(1612) 4월 13일 진시 상각(오전 7시). 무사시는 결투가 벌어지기 며칠 전에 배를 타고 결투 장소인 후나시마 인근의 아카마가세키에 도착했고, 고지로는 검술 지도를 위해 하루걸러 나가던 도장에도 나가지 않고 자신의 집에서 정양하며 결투에 대비한다.
한편 두 사람의 대결이 성사되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세간의 이목이 단숨에 집중되었다. 오쓰와 조타로, 이오리, 마타하치, 아케미 등 무사시와 헤어져 그의 소식을 궁금해하던 사람들을 비롯해 무사시를 응원하는 사람들은 전국 각지에서 후나시마 인근의 고쿠라와 아카마가세키로 속속 모여들었고, 고지로를 응원하는 사람들은 그의 저택으로 몰려가 무사시와의 대결에서 꼭 이겨달라며 선물과 부적을 건네고 밤을 새워가며 기도를 올린다.
그리고 결투 당일, 수백 명이 지켜보는 가운데 두 사람은 마침내 후나시마의 모래톱 위에 마주선다.


목차


1권 저자의 말 - 4 / 방울 - 10 / 독버섯 - 26 / 빗 - 45 / 화어당 - 61 / 들녘의 사람들 - 81 / 가시나무 - 96 / 귀향 - 111 / 유인 - 133 / 천 년 묵은 삼나무 - 162 / 수석문답 - 188 / 미카즈키 찻집 - 202 / 겁쟁이 다케조 - 216 / 광명이 비치는 방 - 227 / 하나다 다리 - 242 / 부록 - 254 |세키가하라 전투 전후의 일본 정세|에도 시대의 무사 계급|그림으로 보는 《미야모토 무사시》

2권 요시오카 염색 - 6 / 양지와 음지 - 22 / 치욕의 날 - 49 / 비탈길 - 70 / 제자 - 88 / 봄바람에 날아온 편지 - 114 / 엇갈리는 길 - 125 / 찻물에 만 밥 - 147 / 나라의 숙소 - 170 / 한냐 들판 - 195 / 산간 마을 - 229 / 작약을 든 사자 - 245 / 네 명의 수제자 - 274 / 짚방석 - 287 / 다로 - 303 / 마음의 불 - 322 / 꾀꼬리 - 334 / 여인의 길 - 361

3권 수박 - 6 / 사사키 고지로 - 20 / 여우비 - 50 / 환술 - 60 / 원수 - 91 / 미소년 - 101 / 와스레가이 - 131 / 무상 - 154 / 오래된 약속 - 167 / 모노호시자오 - 177 / 산천무한 - 202 / 신천 - 223 / 겨울 아지랑이 - 238 / 바람개비 - 265 / 엇갈린 길 - 300 / 겨울 나비 - 341 / 심원의마 - 354 / 공개장 - 379 / 고독 속의 깨달음 - 389 / 바늘 - 405 / 미소 - 426 / 물고기 무늬 - 443

4권 메마른 들판 - 6 / 살아 있는 달인 - 44 / 밤길 - 69 / 두 명의 고지로 - 85 / 동생 덴시치로 - 120 / 막다른 골목 - 152 / 어둠 속의 처단 - 168 / 괭이 - 200 / 조닌 - 214 / 봄눈 - 242 / 눈밭의 결투 - 264 / 술내기 - 297 / 모란을 태우다 - 319 / 비파 - 332

5권 봄을 앓는 두 사람 - 6 / 침향 - 25 / 뒷문 - 46 / 내일을 기다리며 마시는 술 - 81 / 필살의 땅 - 98 / 하나의 달 - 117 / 생사의 갈림길 - 133 / 길 잃은 기러기 - 165 / 생사일로 - 179 / 안개 바람 - 198 / 관음상 - 219 / 젖 - 245 / 나비와 바람 - 260 / 도청도설 - 272 / 연리지 - 284 / 천둥 - 300 / 남녀 폭포 - 317

6권 보현보살 - 6 / 기소의 젊은이 - 22 / 독니 - 46 / 멀어지는 인연 - 59 / 어머니의 훈수 - 73 / 하룻밤의 벗 - 98 / 돈 - 118 / 함정 - 145 / 에도로 가는 기녀들 - 163 / 불장난 - 173 / 양아들 - 196 / 개척자들 - 212 / 강가의 결투 - 228 / 대팻밥 - 248 / 올빼미 - 267

7권 칼을 가는 소년 - 6 / 또 다른 수련 - 26 / 그 스승에 그 제자 - 42 / 산사람들 - 56 / 토벌 - 72 / 4월 무렵 - 94 / 에도로 - 110 / 파리 떼 - 126 / 검담 - 140 / 심부름 - 159 / 식객 - 180 / 급보 - 188 / 부모은중경 - 207 / 핏빛 달무리 - 229 / 마음 조각 - 250 / 기울어가는 문 - 268 / 귀가 - 281

8권 소문과 진실 - 6 / 벌레 소리 - 18 / 독수리와 매 - 36 / 풋감 - 56 / 날다람쥐 - 74 / 취중 좌담 - 94 / 회화나무 문 - 116 / 사이카치 언덕 - 132 / 다다아키의 깨달음 - 145 / 백골 - 169 / 북채 - 182 / 마귀의 권속 - 194 / 이도류 대 야에가키류 - 209 / 누명 - 234 / 옻칠 상자 - 246 / 두 제자 - 254 / 천하의 대사 - 269 / 석류 - 290 / 몽토 - 299 / 꽃이 지고, 꽃이 피다 - 320 / 신기루 - 335 / 출세의 문 - 361 / 천음 - 380

9권 봄을 알리는 새 - 6 / 성난 소 - 20 / 삼씨 - 33 / 야외 시합 - 54 / 소년과 소년 - 69 / 대일여래 - 81 / 어제와 오늘 - 93 / 끈 - 107 / 봄비, 쏟아지다 - 119 / 항구 - 148 / 새 출발 - 168 / 무가 선생 - 187 / 무위의 껍질 - 199 / 구도 - 214 / 원 - 243

10권 뜻밖의 소식 - 6 / 풍문 - 21 / 관음보살 - 50 / 뱃길 - 69 / 기다리는 사람 - 87 / 매와 여인 - 107 / 폭풍 전야 - 122 / 말편자 - 140 / 동틀 무렵 - 164 / 그 사람과 이 사람 - 177 / 후나시마 결투 - 210 / 옮긴이의 말 : 재미와 교훈이 있는 완벽한 소설 《미야모토 무사시》 - 239 / 부록 : 검성 미야모토 무사시의 생애, 미야모토 무사시와 《오륜서》, 독행도, 예술가 미야모토 무사시,《미야모토 무사시》 용어 사전 - 246

도서소개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