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주역의 정화 중용

주역의 정화 중용

  • 이응문
  • |
  • 담디
  • |
  • 2020-05-13 출간
  • |
  • 560페이지
  • |
  • 190 X 258 X 27 mm /1163g
  • |
  • ISBN 9788968010996
판매가

25,000원

즉시할인가

22,5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2,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중용에서 제시하는 천리(天理)와 본성(本性)의 핵심도리
천인합일을 이룬 성인의 도를 가르친 중용에서는 천도의 성(誠)과 천부의 성(性), 성인의 성(聖)이 하나로 일체가 됨을 밝혔다. 글자의 음의(音義)도 서로 통한다.
생명과 본성의 근본진리를 밝힌 중용은 천도의 심오한 비의(秘意)를 담은 천서(天書)이다. 경문에 나오는 오달도(五達道)와 삼달덕(三達德)의 ‘통달 달(達)’도 신비로운 천중의 달과 통하는 글자이다. 한밤중 청명한 달빛이 일체의 강물을 두루 비추는 것이 ‘월인천강(月印千江)’이다. 우주자연과 천지만물의 일체 물상 중(中) 태극의 음양조화(생성변화)를 가장 잘 표상하는 떳떳한(庸) 존재가 이 달(達)이다.
성도교(性道敎)로 시작하는 천명지위성(天命之謂性)과 솔성지위도(率性之謂道), 수도지위교(修道之謂敎)의 첫 문장도 ‘십오야(삼오야) 밝은 달’의 15글자이며, ‘삼위(三謂)’의 이른바 ‘달밭(胃)을 말(言)’하였다. 중용의 글이 달의 운행이치를 담은 달력법도에 기본토대를 두고 있음을 보여주는 은미한 실마리이다.

공자가 주역(周易) 설괘전(說卦傳)에 말씀한 바와 같이 성인의 도는 궁리진성(窮理盡性)을 통하여 천명에 이름에 최종 목적을 둔다. 심성의 근본을 깨우침에 있어서 천지일월의 자연한 수리법도는 지극히 중요하다. 본서 ‘주역의 정화(精華) 중용’도 이에 따라 일반 주해서와 달리 인도의 바탕인 천도의 실체적 근거를 고대 천문역법(달력수리)으로 조명하는데 기본목적을 두었다. 6차원으로 전개되는 재윤법(1)과 삼윤법(2), 칠윤법(3), 손입법(4), 건책법(5), 간배법(6) 등이 그 핵심이다. 제3부 ‘달과 중용’에서 이를 집중적으로 조명한다.
고대 하은주(夏殷周) 시대에 화려한 꽃을 피웠던 유학의 도는 대성 공자(孔子)에 의해 다시 집대성되었지만 분서갱유(焚書坑儒)의 대참화로 인해 그 명맥이 끊기다시피 하였다.
다행히도 공자의 십익(十益)과 역경원문, 서경의 요전(堯典)과 순전(舜典)을 비롯한 홍범(洪範) 등에 천지일월의 주기변화를 오십대연(五十大衍)의 역법수리에 대한 설명이 온전히 들어있다. 이는 필자가 주역경문과 상수리(象數理)로써 중용에 담긴 깊은 뜻을 설명하는 밑바탕이 되다.


목차


010_ 머리말
014_ 일러두기

022_ 서설(序說)
024_ 인문유학의 출현
024_ 유학을 집대성한 공자
025_ 소왕(素王) 공자와 서수획린(西狩獲麟)
026_ 칠서(七書)의 공부순서

028_ 유학의 양 날개, 대학과 중용
028_ 중용의 저자인 자사(子思)
029_ 대동ㆍ중정(주역)과 대학ㆍ중용(예기)
031_ 대학과 중용의 서명(書名)
033_ 성(誠)과 신독(愼獨)
034_ 중용의 경전체계

036_ 중용의 본의(本義)
036_ 정자(程子)와 주자(朱子)의 풀이
037_ 중(中)과 용(庸)의 파자해(破字解)
038_ 얼굴에 담긴 중(中)의 의미
038_ 시중(時中) 처중(處中) 오중(五中)

040_ 유학의 태극사상
040_ 역유태극(易有太極)
042_ 태극(太極)과 팔괘(八卦)
045_ 하도와 팔괘
046_ 유학의 도통연원(道統淵源)과 공문전수(孔門傳受)
047_ 태극(太極)의 중심도리인 중용(中庸)
049_ 수(數)와 중(中)

052_ 중용역해(中庸易解)
054_ 1장 천명(天命)
054_ 天命之謂性
057_ 率性之謂道
061_ 修道之謂敎
063_ 대학중용의 삼재삼위(三在三謂)
067_ 천도의 주기(周期)와 달의 역수(曆數)
069_ 하늘의 자강불식(自彊不息)
073_ 신독(愼獨)
076_ 절(節)과 중부(中孚)
077_ 달(達)과 화(和)
080_ 주역의 이간덕업(易簡德業)
083_ 주역의 소과대과(小過大過)
084_ 주역의 기제미제(旣濟未濟)
085_ 역수의 중화(中和) → 혁괘(革卦)의 치역명시(治歷明時)

090_ 2장 군자중용(君子中庸)
092_ 군자와 소인
092_ 군자와 소인에 대한 경전의 문구 사례

094_ 3장 선능(鮮能)
094_ 민선능(民鮮能)

096_ 4장 아지(我知)
098_ 서합(??)의 음미(吟味)

101_ 5장 도불행(道不行)
102_ 하도에 나타난 삼재오행의 도
103_ 주역의 도

106_ 6장 대지(大知)
108_ 대인(大人)과 지(知)
109_ 중(中) 지(知) 혁(革)

110_ 7장 여지(予知)

112_ 8장 복응(服膺)
112_ 복성공(復聖公) 안자(顔子)의 부활(復活)

114_ 9장 불가능(不可能)
115_ 지인용(智仁勇)과 3남괘
116_ 둔(屯)과 정(鼎)

119_ 10장 문강(問强)
122_ 화이부동(和而不同)과 동이이(同而異)

124_ 11장 색은(索隱)
126_ 군자의 은둔(隱遯)

128_ 12장 비이은(費而隱)
128_ 비이은(費而隱)과 칭이은(稱而隱)
132_ 관아생(觀我生) 관기생(觀其生)
134_ 중부(中孚)의 신급돈어(信及豚魚)

135_ 13장 도불원인(道不遠人)
137_ 대학의 효제자(孝弟慈)
138_ 충서(忠恕)의 혈구지도(?矩之道)
139_ 왕용삼구(王用三驅)
140_ 육합(六合)과 충서(忠恕)

145_ 14장 소기위(素其位)
145_ 사불출기위(思不出其位)와 소리(素履)
147_ 존비(尊卑)와 귀천(貴賤)
149_ 궁이통(窮而通)과 치명수지(致命遂志)

152_ 15장 자이(自邇)
152_ 인사(人易)의 흐름질서 → 선후본말 내외생성

156_ 16장 귀신(鬼神)
156_ 귀신(鬼神)과 혼백(魂魄)
160_ 공자의 신묘문(神妙文)
163_ 보본(報本)의 제례(祭禮) → 예(豫)

165_ 17장 대효(大孝)
167_ 孝(효)와 부모자녀
169_ 德(큰 덕)
173_ 自天祐之(자천우지)

176_ 18장 무우(無憂)

183_ 19장 달효(達孝)

191_ 20장 문정(問政)
193_ 무왕의 정치대법과 홍범(洪範)
200_ 원형이정(元亨利貞)과 인예의지(仁禮義智)
202_ 인의(仁義)의 정치
209_ 학이각(學而覺)
210_ 궁이통(窮而通)
219_ 고요(皐陶)의 구덕(九德)
220_ 주역의 구덕삼진(九德三陳)과 중용의 구경삼술(九經三述)
223_ 書經(서경)의 홍범구주(洪範九疇)
224_ 예(豫)의 파자해
225_ 예측(豫測)과 지기(知幾)
229_ 무망지성(?妄之性)
234_ 十十之百(십십지백) 百百之萬(백백지만)
235_ 노겸(勞謙)의 군자유종(君子有終)

239_ 21장 성명(誠明)

242_ 22장 지성진성(至誠盡性)
244_ 성인(聖人)과 대인(大人)

246_ 23장 치곡(致曲)

249_ 24장 지성전지(至誠前知)
251_ 화복(禍福)
252_ 수신위본(修身爲本)과 이상견빙(履霜堅氷)

254_ 25장 자성자도(自成自道)
256_ 신외무물(身外?物)
258_ 중앙 무기(戊己) 토 → 성기(成己) 성물(成物)

259_ 26장 지성무식(至誠無息)
262_ 땅의 삼무강(三無疆)과 하늘의 자강불식(自彊不息)
271_ 사문(斯文)의 文(문)
272_ 대축(大畜, 26)의 황우(黃牛)와 정(鼎, 50)의 현우(玄牛)

274_ 27장 대재성인(大哉聖人)
275_ 신언어(愼言語) 절음식(節飮食)
278_ 정위응명(正位凝命)
281_ 6단계의 치지(致知)
284_ 종일건건(終日乾乾)

285_ 28장 반고지도(反古之道)
288_ 풍(?)과 예(禮)
291_ 역법의 혁신

294_ 29장 왕천하(王天下)

301_ 30장 조술(祖述)

306_ 31장 지성(至聖)
307_ 함림(咸臨)

312_ 32장 지성경륜(至誠經綸)

316_ 33장 의금상경(衣錦尙絅)
319_ 용회이명(用晦而明)과 자소명덕(自昭明德)

334_ 달과 중용(中庸)
336_ 해와 달의 운행주기
336_ 中庸(중용) 33장에 실은 하늘의 달(達)
337_ 태음태양력(달력)
340_ 달의 삭망주기 → 삭망월(29일 499/940 )
342_ 주역괘서와 달
345_ 삭망윤일(朔望閏日)과 연대월(連大月)
347_ 윤달과 무중치윤(無中置閏)
348_ 역수의 중문(中門)
348_ 하늘의 원형이정(元亨利貞)
350_ 건(乾)에 담긴 하늘세계

352_ 周易(주역) 원리에 기초한 달력
352_ 일월주기(日月周期)와 기영삭허(氣盈朔虛)
353_ 삼천양지(參天兩地)
355_ 주천상수(周天常數) 360과 60간지(干支)
355_ 천간(天干)을 나타내는 하도(河圖)와 행신문(行神文)
358_ 간지(干支)와 간지(幹枝)
360_ 간지(干支)에 담긴 뜻(數와 手)
360_ 하늘이 베푸는 십간(十干)
363_ 땅이 펼치는 십이지(十二支)
365_ 천간(天干, 10干)의 파자해(破字解)
368_ 지지(地支, 12地支)의 파자해(破字解)

374_ 고대동양의 윤법(閏法)을 찾아서
374_ 재윤(再閏)과 삼윤(三閏)
377_ 3윤법에 의한 달의 진공삭허(眞空朔虛)→ 주천상수의 1/64
378 칠윤(七閏)의 장법(章法)
379_ 손입(巽入)과 건책(乾策)
381_ 간배(艮背) → 황건유극(皇建有極)

388_ 50대연(大衍)의 역수법도
388_ 만물의 책수인 11,520(360x32)
389_ 1600년을 주기로 한 황건유극(皇建有極)
394_ 황상원길(黃裳元吉)과 황중통리(黃中通理)
395_ 역수의 함장(含章)
397_ 치역명시(治歷明時)에 의한 섭천대과(涉川大過)
399_ 현비(顯比)의 왕용삼구(王用三驅)
401_ 128년 주기의 윤일공제

404_ 정전(?田)의 교역원리와 후천변혁
404_ 팔괘방위도의 기틀인 정(?)
405_ 〈선천팔괘방위도〉의 사상오행
409_ 고조선의 신지비사(神誌?詞) → 정전도(?田圖)
412_ 정전(?田) 오덕지, 삼한(三韓)
413_ 훈민정음(訓民正音)과 간지(干支)
417_ 천도변화 → 선천(남녀) 중천(부부) 후천(자녀)
418_ 오행의 상생(相生)과 상극(相克)

422_ 건구오(乾九五)
422_ 비룡재천(飛龍在天) 이견대인(利見大人)
423_ 야산선생의 건구오도설(乾九五圖說)
427_ 동성문(同聲文) 45자와 합덕문(合德文) 55자

432_ 부록
434_ 독중용법(讀中庸法)

439_ 주자의 중용장구서(中庸章句序)

448_ 중용장구대전(中庸章句大全)
449_ 제 1장
455_ 제 2장
457_ 제 3장
458_ 제 4장
459_ 제 5장
460_ 제 6장
461_ 제 7장
462_ 제 8장
463_ 제 9장
434_ 제 10장
468_ 제 11장
470_ 제 12장
473_ 제 13장
478_ 제 14장
480_ 제 15장
481_ 제 16장
485_ 제 17장
487_ 제 18장
490_ 제 19장
494_ 제 20장
514_ 제 21장
515_ 제 22장
516_ 제 23장
517_ 제 24장
519_ 제 25장
521_ 제 26장
526_ 제 27장
530_ 제 28장
533_ 제 29장
536_ 제 30장
538_ 제 31장
540_ 제 32장
543_ 제 33장

550_ 색인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