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계적인 경영 관리로 부동산 가치를 높여라!<.b>
우리는 인터넷에서 클릭 한 번으로 집을 구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부동산 관련 사업은 새로운 패러다임에 발맞춰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데, 부동산을 관리하는 사업은 아직도 옛 방식을 고수하는 곳이 많다. 지은이는 이제는 옛날처럼 발로 뛰는 건물 관리가 아닌, 체계적인 건물 관리 시스템의 도입이 시급하다고 말한다. 실제로 건물 관리 시스템 분야의 특허를 보유한 저자는 풍부한 실무 경험에서 얻은 효율적인 부동산 관리 노하우는 물론, 선진국형 부동산 종합서비스의 사례를 이 책에서 제시한다. 또한 우리나라 부동산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지만 아직 관리 체계가 부족해 블루오션이라고 할 수 있는 중소형 건물의 관리 방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각도에서 부동산 종합 관리를 살펴본다.
개업 공인중개사가 10만 명을 넘어선 요즘, 안정적인 수입을 원하는 공인중개사, 부동산 종합 서비스를 제공해서 경쟁력을 갖추고 싶은 시설보수업 종사자, 부동산 중개사무소 창업을 준비하며 남보다 앞선 서비스와 수익을 창출하고 싶은 예비 창업자들에게 이 책은 맞춤형 정보를 제공해줄 것이다.
건물 관리에서 선진형 종합서비스에 이르기까지
부동산 종합 관리 분야의 모든 것
부동산 시장이 개발에서 임대, 임대에서 관리 중심으로 변화하면서 부동산의 가치를 높여줄 종합 관리 분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 책은 부동산 종합서비스의 전반을 총 7장에 걸쳐 자세하게 다루고 있다. 1장 ‘이제는 관리도 경영의 시대’에서는 시설, 건물, 부동산의 경영 관리의 필요성을 설명한다. 2장 ‘부동산 관리와 부동산 종합서비스’에서는 종합서비스의 탄생 배경과 선진사례 등을 살펴보고, 2018년 시행된 부동산서비스산업진흥법에 발맞춰 종합서비스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안한다. 3장 ‘투명하고 안전한 건물 관리를 위해’에서는 중소형 건물의 관리 실태와 통합 관리의 필요성, 효율적인 관리 방안 등을 제시한다. 4장 ‘부동산 종합 관리와 협력사업 종합서비스’에서는 관리비의 징수와 체납 시 대책, 가칭관리단에 의한 피해 사례 등을 살펴본다. 5장 ‘부동산 종합 관리의 효율성’에서는 부동산 관리 시장의 현황과 집합 건물의 관리비 절감 방안을 알아본다. 6장 ‘골목 시장 중소형 부동산 관리’에서는 실제 현장에서 도움이 될 관리비 관련 안내문, 관리단 추인 동의서, 관리업체 선정 동의서, 반상회 회의록, 관리 용역계약서 등의 샘플을 실었다. 마지막 7장 ‘수익형 공동주택 하자보수 실무’에서는 하자판정의 기준과 관련 소송의 장단점, 하자보수 이권 상황 등을 자세히 살펴본다. 이외에도 부록 코너를 마련해 각 관리비 항목을 분석할 수 있는 서식 샘플을 제공해 현장에서 실제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