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공자와 미국의 건국 - 하

공자와 미국의 건국 - 하

  • 황태연
  • |
  • 넥센미디어
  • |
  • 2020-04-26 출간
  • |
  • 864페이지
  • |
  • 150 X 225 mm
  • |
  • ISBN 9791190583053
판매가

66,000원

즉시할인가

59,4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59,4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1.3. 공맹의 민유방본·득민득국론과 반정·혁명론 / 931
■ 민유방본론과 득민득국론 / 931
■ 공맹의 왕권민수론王權民授論과 반정·역성혁명론 / 950

1.4. 공자와 중국의 자유·평등 이념과 제도의 서천西遷 / 966
■ 명대 중국에 대한 포르투갈·스페인·이탈리아인의 보고 / 968
■ 퍼채스에서 뒤알드까지 자유·평등한 중국문화의 확산 / 1034
■ 공자경전의 출판과 공자철학의 확산 / 1145

제2절 「독립선언문」과 유교적 자유·평등·혁명권의 선언
2.1. 영국 청교도혁명과 왕정복고기 자유·평등·관용이념의 왜곡과 망실 / 1203
■ 서구 자유·평등사상과 폭군방벌론의 발아 / 1204
■ 청교도혁명과 그 한계 / 1216
■ 뷰캐넌·벨라르민·수아레즈·밀턴에 대한 격렬한 반동 / 1220

2.2. 명예혁명과 그 한계, 그리고 로크의 위선적 자유·평등론 / 1233
■ 명예혁명의 의미와 그 역사적·정치적 한계 / 1235
■ 로크의 위선적 자유·평등론 / 1249

2.3. 무왕의 혁명선언문 「태서」와 「독립선언문」의 논법적 일치 / 1274
■ 중국과 미국의 법철학적 친화성 / 1274
■ 「미국 독립선언문」은 ‘네덜란드 독립선언문들’(1320, 1581)의 모방작? / 1278
■ 「독립선언문」과 「태서」의 논변구조의 동일성과 유사성 / 1282

2.4. 「독립선언문」과 유교적 평등·자유·행복·혁명론 / 1294
■ 유교적 만인평등의 선언: 성서의 불평등창조론에 대한 부정 / 1294
■ 유교적 자유권 / 314
■ 백성의 혁명권(저항권) / 1323
■ 유교적 행복추구권의 선언 / 1327


제3장 유교적 민주공화국 미국의 탄생

제1절 흄과 매디슨의 대국大國민주주의 기획과 미국의 건국

1.1. 중국 영토·인구의 방대성과 절제·자유 간의 연관에 대한 인식 / 1345
■ 소국=민주정, 대국=군주정이라는 유럽의 전통적 정치공식 / 1346
■ 영토와 인구가 방대한 대국에서의 인민결사체들의 중도적 절제와 자유 / 1347

1.2. 흄의 「완벽한 공화국의 이념」과 북미 민주공화국 연합의 기획 / 1352
■ 「완벽한 공화국의 이념」의 내용분석 / 1352
■ 작은 공화국들의 연합으로서의 대국민주공화국론과 역사적 의미 / 1366

1.3. 제임스 매디슨의 방대한 민주공화국연합 기획과 미국의 건국 / 1368
■ 매디슨의 「제10 페더럴리스트 페이퍼」 분석 / 1370
■ 방대한 민주공화국연합에 관한 이론의 세계사적 의미와 역할 / 1381

제2절 건국 초 미국의 정치위기와 중국의 평등모델을 통한 극복
2.1. 독립전쟁 참전장교들의 귀족칭호 요구와 ‘민주공화국’의 위기 / 1385
■ 신시나티 장교단의 쿠데타 기도와 신시나티의 귀족제 창설 음모 / 1386
■ 시민사회의 민감한 반발과 워싱턴의 고민 / 1388

2.2. ‘귀족 없는 중국’ 모델을 통한 귀족제 요구의 분쇄 / 1394
■ 중국의 평등모델을 통한 프랭클린의 신시나티 음모의 분쇄 / 1395
■ 프랭클린과 제퍼슨에 의한 신시나티협회의 귀족제 창설 기도의 분쇄 / 1406
■ 유럽에서 귀족제 폐지의 어려움과 귀족제의 끈질긴 잔존: 프랑스의 경우 / 1421

2.3. 노예제와 미국의 정치적 위기: ‘민주정’이냐, ‘참주정’이냐? / 1429
■ 미주 노예제의 개관 / 1430
■ 흑백분리(세그리게이션)제도 / 1433
■ 혁명프랑스의 노예제 문제 / 1436
■ 천민 없는 중국 평등사회 모델과 미국의 노예제 철폐 / 1437

제3절 중국과의 직접통상과 미국 경제위기의 타개
3.1. 미국의 파산위기와 구명선 Empress of China 호의 출항 / 1444
■ 엠프리스 오브 차이나 호의 출항 / 1445
■ 엠프리스 호의 제원과 선원 구성, 그리고 선적화물 / 1447

3.2. 대對중국 직접무역의 타개와 경제파탄 상태의 미국의 구조 / 1450
■ 미중무역의 번창과 미국경제의 회복 / 1451
■ 제퍼슨과 중국무역의 지속적 확대 / 1453

제4장 미국의 유교적 국가제도와 시장경제

제1절 중국의 3단계 학교제도와 근대적 미국 학교의 탄생
1.1. 중국의 교육제도와 3단계 교육제도의 서천西遷 / 1461
■ 중국의 공립초등학교 사학社學과 사립 초등교육기관 사숙私塾(학숙學塾) / 1462
■ 중고등학교로서의 부학府學·주학州學·현학縣學 / 1464
■ 대학교로서의 국자감 / 1465
■ 중국의 신사제도 / 1468
■ 중국 학교제도의 서천西遷 / 1472

1.2. 토마스 제퍼슨과 버지니아의 근대적 교육제도의 발전 / 1480
■ 토마스 제퍼슨의 근대적 교육혁명 시도 / 1481
■ 제퍼슨에 의한 버지니아대학교의 창립과 운영 / 1500
■ 버지니아 주의 3단계 교육제도의 확립 / 1509

제2절 중국 민병제도와 미국 민병대 및 시민의 총기소유권
2.1. 중국의 농병일치農兵一致 민병제도 / 1515
■ 공자의 민병일치 군제 / 1515
■ 중국의 병농일치 징병제 / 1516
■ 조선의 오가작통제와 병농일치 징병제 / 1517

2.2. 미국의 민병대와 개인의 총기소유권 / 1519
■ 중국 민병제도의 정치적 중요성에 대한 흄의 분석과 민병대 강화방안 / 1519
■ 흄의 중국 민병대 분석과 강화방안에 대한 토마스 제퍼슨의 숙지 / 1523
■ 흄의 민병대론과 상비군 비판의 미국적 적용 / 1524

제3절 미국의 중국식 관료제와 문관우위 군사원칙의 확립
3.1. 중국식 관료제의 도입 / 1530
■ 관료제는 서양 고유의 제도인가? / 1531
■ 필기시험의 도입 / 1535
■ 중국 과거제와 영국 공무원임용고시의 도입 / 1538
■ 미국의 중국식 관료제의 도입 / 1540

3.2. 중국식 문관우위(문민통제) 군사원칙의 확립 / 1544
■ 군軍에 대한 문민통제 군사원칙의 중국적 기원 / 1544
■ 영국으로의 중국식 문관우위·문민통제 군사원칙의 이식 / 1546
■ 미국의 중국식 문관우위·문민통제 군사원칙의 전면적 관철 / 1548

제4절 유럽의 유교적 ‘계몽군주정’을 본뜬 미국 대통령제
4.1 중국 황제정의 유럽적 리메이크로서의 계몽군주정의 발전 / 1551
■ 중국의 제한군주정에 대한 유럽인들의 인지와 중국의 철인치자론 / 1551
■ 신新존왕주의와 절대주의(절대군주제) / 1558
■ 중국 제한군주정을 모방한 절대군주제 개혁 모델로서의 계몽군주제 / 1569

4.2. 유럽 계몽군주의 공화제적 리메이크로서의 미국 대통령 / 1617
■ 미국의 공화제적 신존왕주의: 대통령제의 확립 / 1618
■ 프랑스 대통령제 / 1625

제5절 공자의 ‘무위이치無爲而治’와 미국의 자유시장제도
5.1. 공맹의 무위시장론과 중농주의적 자유방임경제론의 미국 전파 / 1631
■ 공맹의 무위시장론과 다르장송의 중농주의적 자유방임경제론의 확산 / 1631
■ 벤저민 프랭클린과 조지 웨이틀리: 프랑스 자유방임경제론의 도입 / 1635

5.2. 미국헌법의 자유교역 규정과 미국정부의 자유방임 시장경제론 / 1638
■ 미국헌법의 자유경제 조항들 / 1639
■ 토마스 제퍼슨의 자유방임경제론 / 1640

▶결어 / 1646
▶참고문헌 / 1655
▶찾아보기 / 1749


- 상권 -
▶머리말 / 17
▶서론 ­ ‘미국예외주의’의 비밀 / 27

제1장 공자와 미국의 국부들

제1절 “유교적 혁명가” 벤저민 프랭클린의 공자 학습과 중국연구
1.1. 프랭클린의 유교적 수신과 공자철학의 보급 활동 / 77
■ 프랭클린의 중국학습 노력 / 78
■ 프랭클린의 「자유와 필연, 쾌락과 고통에 관한 논고」 / 80
■ 프랭클린의 최초의 유교적 수신 시도 / 87
■ 『중국철학자 공자의 도덕?의 내용분석 / 90
■ 자기도야를 위한 프랭클린의 13개 덕목 리스트 / 97
■ 식민지 주민에 대한 프랭클린의 도덕·정치철학 교육과 수신기술의 보급 / 121
■ 유교적 덕성주의에 대한 프랭클린의 확신과 덕성철학의 보급 노력 / 139
■ ‘미국유생’ 프랭클린의 ‘효제·효자’·‘신상紳商’으로서의 삶 / 143

1.2. 공자의 “정자정야政者正也”와 프랭클린의 “정직은 최선의 정치다” / 145
■ “Honesty is the best policy”의 유교적 전의: ‘진실’에서 ‘도의’로 / 156
■ “Honest is the best policy”는 개신교 윤리인가? / 169

1.3. 프랭클린의 중국통치제도 연구와 활용 / 182
■ 「중국으로부터의 편지(A Letter from China)」(1788) / 183
■ 중국사법司法에 대한 프랭클린의 관심과 중국법전 입수를 위한 외교 구상 / 189
■ 중국의 국가통계제도에 대한 프랭클린의 관심과 통계제도 도입 촉구 / 192
■ 중국의 영예상향 원칙을 활용한 프랭클린의 ‘귀족공화국’의 저지 / 193
■ 중국의 경제정책에 대한 프랭클린의 관심과 도입노력 / 209
■ 노예해방의 원칙수립과 관철노력 / 211

1.4. 프랭클린의 중국농업·산업기술 연구와 보급 / 220
■ 프랭클린의 중국식물 도입 / 221
■ 도자기와 도예기술에 대한 프랭클린의 관심과 연구 / 230
■ 중국 양잠기술의 연구와 도입 / 232
■ 중국식 난방시스템의 도입과 개량 / 239
■ 중국 항해·제지기술의 연구와 만리장성의 축성 계획 및 중국 연鳶의 모방 / 244

제2절토마스 제퍼슨의 공자철학과 시누아즈리
2.1. 토마스 제퍼슨의 공자철학과의 접촉 / 251
■ 토마스 제퍼슨의 정치철학과 공자철학의 연속성과 친화성 / 252
■ 제퍼슨과 공자철학의 이른 조우와 활용 / 254
2.2. 공자철학과 제퍼슨의 계몽철학 간의 구체적 연관 / 261
■ 공자의 “정자정야”와 제퍼슨의 “통치의 전 기술은 정직함의 기술에 있다” / 261
■ 대통령 취임연설에서 개진된 유교적 도덕원칙 / 270
■ 제퍼슨의 유교적 종교관 / 276
■ 제퍼슨의 유교적 종교자유론 / 292
■ “A Benign Religion”의 정체 / 298
■ 제퍼슨의 유교적 선정善政 개념 / 305
■ 제퍼슨의 유교적 행복국가론 / 311
■ 대통령 제퍼슨의 스크랩북과 「아주 오래된 중국 송시」 / 313

2.3. 중국 신사제도와 제퍼슨의 ‘자연적 귀족’ 개념 및 교육이론 / 327
■ 중국의 ‘신사’와 제퍼슨의 ‘자연적 귀족’ / 328
■ 신시나티협회의 귀족제 도입 기도에 대한 제퍼슨의 저지 / 358
■ 제퍼슨의 중국식 근대 교육제도 법안 / 376
■ 제퍼슨의 버지니아대학교 설립 / 400
■ 제퍼슨의 근대적 학교제도 법안의 전위적 성격과 사후적 실현 / 408

2.4. 봉건적 장원 청산과 노예제 폐지를 위한 제퍼슨의 분투 / 412
■ 제퍼슨이 읽은 르콩트와 뒤알드의 중국론: “노비 없는 소농사회” / 413
■ 17-18세기 중국의 “노예 없는 소농사회”, 그 형성과 발전 / 423
■ 버지니아 토지개혁과 소농체계 수립을 위한 제퍼슨의 분투 / 437
■ 노예제 폐지를 위한 제퍼슨의 입법화 투쟁 / 453

2.5. 제퍼슨의 시누아즈리와 중국정원의 애호 / 473
■ 제퍼슨의 시누아즈리 건물과 정원 / 475
■ 시누아즈리 농작물 코친차이나산 산도(밭벼)의 도입 / 481

제3절 다른 국부들의 공자숭배와 시누아즈리
3.1. 조지 워싱턴과 존 애덤스의 중국애호심과 시누아즈리 / 491
■ 조지 워싱턴의 대對중국 직접교역과 중국모방적 고립주의 및 시누아즈리 / 491
■ 위싱턴의 중국적 미감과 시누아즈리 / 501
■ 존 애덤스의 중국애호주의와 공자철학 지식 / 509

3.2. 존 제이와 알렉산더 해밀턴의 중국중시론과 공자숭배 / 516
■ 존 제이의 은연한 공자숭배와 중국관심 / 516
■ 알렉산더 해밀턴의 중국중시론 / 525

3.3. 제임스 매디슨, 토마스 페인과 벤저민 러시의 중국열광 / 530
■ 제임스 매디슨의 중국지식과 공자추앙 / 530
■ 토마스 페인의 공자숭배 / 533
■ 벤저민 러시의 공자숭배와 중국애호 / 539

제4절 건국 전후 미국 철학자·과학자·문인들의 공자추앙
4.1. 바트램, 로건, 발로우, 모스, 드링커의 공자숭배 / 545
■ 식물학자 바트램의 공자숭배 / 546
■ 책을 사랑한 철학자 제임스 로건의 공자숭배 / 549
■ 시를 쓴 법조인 조엘 발로우의 공자 존승 / 551
■ 인문지리학자 제디디어 모스의 공자 찬양 / 552
■ 엘리자베스 드링커의 공자찬양 / 561
■ 익명 또는 가명 필자들의 공자숭배 / 562

4.2. ‘미국의 공자’ 랄프 왈도 에머슨의 유교적 도덕·정치철학 / 565
■ 랄프 에머슨의 초월주의와 공자철학의 결합 / 568
■ 공맹철학과 중국 정치제도에 대한 에머슨의 찬양과 추종 / 583
■ 에머슨의 최초의 저서 『자연본성?에 스며있는 공자 논지들 / 608
■ 에머슨의 공자주의적 우정友情 이론 / 637
■ 에머슨의 총괄적 공자상 / 653

4.3. ‘미국 유자’ 헨리 데이비드 소로와 공자철학 / 660
■ ‘미공간 초고’ 속의 96개 공맹어록의 영역문에 대한 분석 / 663
■ 『시민불복종?의 유교적 본질: ‘무도은둔’으로서의 ‘시민불복종’ / 708

제2장 공자철학과 미국 독립사상의 형성

제1절 공맹의 자유·평등·혁명철학과 귀천 없는 중국사회
1.1. 공자의 태생적 자유철학과 극동의 백성자치 사회 / 745
■ 치자의 ‘무위이치無爲而治’ 이념: 백성의 소극적 자유의 전제 / 746
■ 백성의 적극적 자유로서의 ‘백성자치’ 이념과 자치제도 / 776
■ 무위無爲경제와 자유교역: 자유시장의 이념과 제도 / 799

1.2. 공자의 태생적 평등철학과 귀천 없는 중국사회 / 822
■ 공자의 자연적·태생적 평등이념(무생귀자無生貴者·무류균등無類均等) / 823
■ 교육과 관직의 기회균등(有敎無類·士無世官) 원칙 / 832
■ 노비제의 철폐와 완전 평등사회의 구현 / 844
■ 남녀·부부·부자·군신 간의 구별과 평등 / 846
■ 선후관계·상하관계·지배관계의 구분 / 847
■ 경제적 불평등 문제와 균제 정책 / 898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