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COVID-19로 성큼 다가온 ‘원격 의료' 시장 분석
1. COVID-19에 체면 구긴 G2, 원격의료로 반전
2. COVID-19로 주목받는 ‘언택트(Untact)' 시장
3. G2의 의료환경 분석
1) 중국
(1) 중국에서는 의대 진학이 비교적 쉽다
(2) 중국의 의사는 고소득자가 아니다
(3) 열악한 중국의 의료 환경
(4) 중국의 바이오굴기 선언과 성과
가. 바이오굴기의 성과가 하나둘씩 나타나다
나. 국제무대에 화려하게 등장
다. 코로나19, 중국을 강타하다
라. 중국 스마트의료 시장의 급성장
(5) 원격의료의 시대
가. 원격의료 관련 업체가 생겨나기 시작
나. 원격의료에 대한 규제상황
다. 기존 플랫폼 기업이 유리
라. 중국의 원격의료 수혜가 기대되는 기업 리스트
4) 미국
(1) 코로나19 사태로 미국 원격의료는 발전할 것
(2) 미국 의료 시스템의 특수성이 원격 의료를 발전시킨다
(3) 미국 원격의료 대표주자 Teladoc
(4) 미국 원격의료에 대표 IT 기업들의 등장
가. 애플
나. Google
다. Amazon
라. Peloton
Ⅱ.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 및 시장 분석
1. 스마트 헬스케어 개념정의 및 범위
2. 국내외 정책 분석
1) 해외 정책
2) 국내 정책
3. 국내외 시장 및 가치사슬 분석
1) 국내외 시장분석 및 전망
(1) 세계시장
(2) 국내시장
2) 가치사슬 분석
3) 주요 이슈
4. 국내외 기술 분석
1) 해외기술
2) 국내 기술
3) 기술개발 시나리오
5. 기업 시장대응 전략 도출
6. 국내 전략품목 선정
Ⅲ. 국내외 첨단 의료기기 시장 분석
A. 글로벌 의료용품 교역동향
1. 의료용품(Medical Products)의 글로벌 교역 동향
1) 수입
2) 수출
2. 품목별 교역 동향
3. 의료용품에 대한 관세율 동향
B. 의료기기 산업의 주요 특성과 세부시장별 특징
1. 의료기기 산업의 주요 특성
2. 국내 의료기기 기업의 경쟁전략
1) 글로벌 기업을 고객으로 삼는 전략
2) 직접 경쟁 전략
3. 세부시장별 투자아이디어와 Top-picks
C. 세부 시장별 투자 아이디어
1. Dental(치과) 시장
(1) 글로벌 사례분석
(2)투자아이디어와 국내 연관 기업
2. Diabetes Care(당뇨관리) 시장
(1) 글로벌 사례분석
(2) 투자아이디어와 국내 연관 기업
3. Surgical Robot(수술로봇) 시장
(1) 글로벌 사례분석
(2) 투자아이디어와 국내 연관 기업
4. NGS(차세대 염기서열분석) 시장
(1) 글로벌 사례분석
(2) 투자아이디어와 국내 연관 기업
5. Aesthetics(미용) 시장
(1) 글로벌 사례분석
(2) 투자아이디어와 국내 연관 기업
6. Diagnostics & Sciences(체외진단) 시장
(1) 글로벌 사례분석
(2) 투자아이디어와 국내 연관 기업
7. Imaging Solutions(영상진단) 시장
(1) 글로벌 사례분석
(2) 투자아이디어와 국내 연관 기업
8. Wearable(웨어러블) 시장
(1) 글로벌 사례분석
(2) 투자아이디어와 국내 연관 기업
9. Sports(관절) 시장
(1) 글로벌 사례분석
(2) 투자아이디어와 국내 연관 기업
10. Advanced Therapies(첨단 치료) 시장
(1) 글로벌 사례분석
(2) 투자아이디어와 국내 연관 기업
11. Circulatory System & General Surgery(순환계) 시장
(1) 글로벌 사례분석
(2) 투자아이디어와 국내 연관 기업
Ⅳ. 국내외 첨단 의료기기의 분야별 시장분석
1. 체외진단기기 분야
1) 세계시장 현황
(1) 고령화와 맞춤의학의 발달로 증가하는 체외진단 시장규모
(2) 글로벌 체외진단시장 경쟁현황
2) 체외진단기기 주요 분야별 시장현황
(1) 다양한 분야로 이루어진 체외진단시장
(2) 분자진단 시장현황
(3) 맞춤의학의 핵심요소 ‘동반진단'
2. 당뇨 의료기기 분야
1) 혈당측정기: BGM은 정체기, CGM은 성장기
2) 인슐린 주입기: 인슐린 패치 · 펌프에 주목
3) 인공췌장: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니다
3. 임플란트 분야
1) 다시 빛이 보이는 임플란트 시장
(1) 잃었던 신뢰성을 찾아가는 과정 중
(2) 1분기에 입증한 개선된 실적 성장세
(3) 향후 전망
2) 임플란트 그 다음을 준비하는 중
(1) 과거 국내업체의 급성장은 정책효과
(2) 수출 중심의 성장세는 유지
(3) 국내외 주요 업체들의 사업다각화 전략
가. Straumann과 Dentsply
나. 국내 3사의 사업다각화 현황과 업체별 사업전략
(4) 임플란트와 시너지가 가능한 디지털 장비
(5) Total solution provider – 가격 경쟁없이 시장에서 살아남기
3) 치과용 임플란트 개요 및 시장현황 및 전망
(1) 치과용 임플란트 개요
(2) 치과용 임플란트 시장 규모 및 전망
(3) 일회성 비용 이슈는 과거대비 제한적일 전망
(4) 수출로 지속되는 성장 모멘텀
가. 국내 신제품 출시를 통한 가격 인상은 제한적
나. Value 수요 증가로 임플란트 글로벌 시장 전체 평균판매단가(ASP)는 하락 중
다. 수출 확대로 가격인상 효과를
(5) 수요의 구조적 성장은 필연, 그중 신흥국에 주목
가. 노령인구 증가: 결손치아 수복 치료 수요 증가
나. 소득 증가: 결손치아 수복 치료 중 임플란트 시술 증가
다. 임플란트 시술 가능의사 증가: 시술 수요 충족, 시술가 하락으로 추가 수요 자극
4. 현장 검사용 면역진단 키트 분야
1) 개념 정의 및 범위
2) 국내외 산업 및 시장분석
(1) 산업 분석
가. 산업 특징
나. 산업 구조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3) 기술 시장
(1) 기술개발 이슈
가. 기술개발 트렌드
나. 기술 환경
(2) 주요업체 동향
가. 해외업체
나. 국내업체
4) R&D 현황
(1) 연구개발 기관 및 자원
(2) 연구개발 인력
(3) 이전 가능한 기술
5)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SWOT 분석
(2) 중소기업 핵심기술
(3) 기술개발 전략
가. 국내 현황
나. 국내 기술개발 로드맵
5. 웨어러블 헬스케어 기기 분야
1) 개념 정의 및 범위
2) 국내외 산업 및 시장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3) 국내외 기술 분석
(1) 기술개발 이슈
(2) 국내외 업체 기술 분석
가. 해외업체
나. 국내업체
(3) 국내 연구기관 동향
가. 연구개발 기관
나. 기관 기술개발 동향
4)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핵심기술
(2) 기업 기술개발 전략
(3) 국내 중기 기술개발 로드맵
(4) 기술개발 목표
6. 가정용 의료기기 분야
1) 개념 정의 및 범위
2) 국내외 산업 및 시장분석
(1) 산업 분석
가. 산업 특징
나. 산업 구조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3) 국내외 기술 분석
(1) 기술개발 이슈
가. 기술개발 트렌드
나. 기술개발 동향
(2) 주요업체 동향
가. 해외업체
나. 국내업체
4) R&D 현황
(1) R&D 기관/자원
(2) R&D 인력
(3) 이전 가능한 기술
5)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SWOT 분석
(2) 핵심기술 선정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가. 국내 현황
나. 국내 기술개발 로드맵
7. 유전체 분석 의료기기 분야
1) 개념 정의 및 범위
2) 국내외 산업 및 시장분석
(1) 산업 분석
가. 산업 특징
나. 산업 구조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3) 국내외 기술 분석
(1) 기술개발 동향
가. 기술개발 트렌드
나. 기술시장 동향
(2) 주요업체 동향
가. 해외업체
나. 국내업체
4) R&D 현황
(1) R&D 기관 및 자원
(2) R&D 인력
(3) 이전 가능 기술
5)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SWOT 분석
(2) 핵심기술 선정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가. 국내 현황
나. 국내 기술개발 로드맵
8.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기기 및 서비스 분야
1) 개념 정의 및 범위
2) 국내외 산업 및 시장분석
(1) 산업 분석
가. 산업 특징
나. 산업 구조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3) 국내외 기술 분석
(1) 기술개발 동향
가. 기술개발 트렌드
나. 기술시장 동향
(2) 주요업체 동향
가. 해외업체
나. 국내업체
4) R&D 현황
(1) R&D 기관 및 자원
(2) R&D 인력
(3) 이전 가능 기술
가. 기술이전가능 기관 및 세부내용
5)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SWOT 분석
(2) 핵심기술 선정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가. 국내 현황
나. 국내 기술개발 로드맵
9. 인공지능을 통한 헬스케어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 분야
1) 개념 정의 및 범위
2) 국내외 산업 및 시장분석
(1) 산업 분석
가. 산업 특징
나. 산업 구조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3) 국내외 기술 분석
(1) 기술개발 동향
가. 기술개발 트렌드
나. 기술시장 동향
(2) 주요업체 동향
가. 해외업체
나. 국내업체
4) R&D 현황
(1) R&D 기관 및 자원
(2) R&D 인력
(3) 이전 가능 기술
5)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SWOT 분석
(2) 핵심기술 선정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가. 국내 현황
나. 국내 기술개발 로드맵
10. 바이오 융합 섬유 분야
1) 개념정의 및 범위
2) 국내외 산업 및 시장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3) 국내외 기술 분석
(1) 기술개발 이슈
(2) 국내외 업체 기술 분석
가. 해외업체
나. 국내업체
(3) 국내 연구기관 동향
가. 연구개발 기관
나. 기관 기술개발 동향
4)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핵심기술
(2) 기업 기술개발 전략
(3) 국내 중기 기술개발 로드맵
11. 스마트 안티 폴루션(Anti Pollution) 시스템 분야
1) 개념 정의 및 범위
2) 국내외 산업 및 시장분석
(1) 산업 분석
가. 산업 특징
나. 산업 구조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3) 국내외 기술 분석
(1) 기술개발 동향
가. 기술개발 트렌드
나. 기술시장 동향
(2) 주요업체 동향
4) R&D 현황
(1) R&D 기관 및 자원
(2) R&D 인력
(3) 이전 가능 기술
5)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SWOT 분석
(2) 핵심기술 선정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가. 국내 현황
나. 국내 기술개발 로드맵
12. 개인 맞춤형 3D프린팅 의료기기 분야
1) 개념 정의 및 분류
2) 국내외 산업 및 시장분석
(1) 산업 분석
가. 산업 특징
나. 산업 구조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3) 국내외 기술 분석
(1) 기술개발 동향
가. 기술개발 트렌드
나. 기술 동향
(2) 주요업체 동향
가. 해외업체
나. 국내업체
4) R&D 현황
(1) R&D 기관 및 자원
(2) R&D 인력
(3) 이전 가능 기술
5)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SWOT 분석
(2) 핵심기술 선정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가. 국내 현황
나. 국내 기술개발 로드맵
13. 재활 및 고령친화 기기 분야
1) 개념정의 및 범위
2)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3) 국내외 기술 분석
(1) 기술개발 이슈
(2) 국내외 업체 기술 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다. 국내 연구개발 기관 및 동향
4)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핵심기술
(2) 중소기업 기술개발 전략
(3) 국내 기술개발 로드맵
가. 중기 기술개발 로드맵
나. 기술개발 목표
14. 뷰티케어 디바이스 분야
1) 개념정의 및 범위
2)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3) 국내외 기술 개발 분석
(1) 기술개발 이슈
(2) 국내외 업체 기술 동향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3) 국내 연구개발 기관 및 동향
가. 연구개발 기관
나. 기관 기술개발 동향
4)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핵심기술
(2) 기업 기술개발 전략
(3) 국내 기술개발 로드맵
가. 중기 기술개발 로드맵
나. 기술개발 목표
Ⅴ. 바이오 헬스케어용 반도체 시장 및 기술분석
1. 바이오 헬스케어용 반도체 기술
2. 바이오 헬스케어용 반도체 산업의 특성
3. 국내외 기술동향
1) 해외 기술동향
2) 국내 기술동향
3) 의료기기 인증 동향
4. 국내외 시장 분석
1) 이미징, 진단, 치료, 홈 헬스케어 등의 분야로 반도체 기반 기술 확대
2) 반도체 기반 바이오-센서 칩
3) 헬스케어용 반도체
4) 의료기기용 반도체
5. 바이오 헬스케어용 반도체 산업 육성 필요성
Ⅵ. 스마트 헬스케어 소재 분야 시장분석
1. 보건의료용 기능성 소재 분야
1) 개념 정의 및 범위
2) 국내외 산업 및 시장분석
(1) 산업 분석
가. 산업 특징
나. 산업 구조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3) 기술 분석
(1) 기술개발 동향
가. 기술개발 트렌드
나. 기술 환경
(2) 주요업체 동향
가. 해외업체
나. 국내업체
4) R&D 현황
(1) R&D 기관 및 자원
(2) 이전 가능 기술
5)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SWOT분석
(2) 핵심기술 선정
(3) 국내 기술개발 동향
가. 국내 현황
나. 국내 기술개발 로드맵
2. 의료용 화학소재 분야
1) 개념 정의 및 범위
2) 국내외 산업 및 시장분석
(1) 산업 분석
가. 산업 특징
나. 산업 구조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3) 국내외 기술 분석
(1) 기술개발 동향
(2) 주요 업체 동향
가. 주요업체별 시장동향
나. 주요업체별 기술개발동향
4) R&D 현황
(1) R&D 기관 및 자원
(2) R&D 인력
(3) 이전 가능 기술
5)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SWOT 분석
(2) 핵심기술 선정
(3) 국내 기술개발 분석
가. 국내 현황
나. 국내 기술개발 로드맵
3. 생체 친화적 바이오 세라믹 소재 분야
1) 개념 정의 및 범위
2) 국내외 산업 및 시장분석
(1) 산업 분석
가. 산업 특징
나. 산업 구조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3) 국내외 기술 분석
(1) 기술개발 동향
가. 기술개발 트렌드
나. 기술 환경
(2) 주요업체 동향
가. 해외업체
나. 국내업체
4) R&D 현황
(1) R&D 기관 및 자원
(2) R&D 인력
(3) 이전 가능 기술
5)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SWOT분석
(2) 핵심기술 선정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가. 국내 현황
나. 국내 기술개발 로드맵
Ⅶ. 바이오헬스 기술개발 정부 지원사업 및 기술동향
1. 2019년 바이오헬스 관련 기술개발 지원 사업
1) 현장수요반영 의료기기 고도화 기술개발사업
(1) 의료영상 진단/치료기기
(2) 생체계측 진단/치료기기
(3) 체외진단용기기
(4) Health-IT기기
(5) 수술용 기기
(6) 치과용 기기
(7) 치과 교정치료 플랫폼 개발
(8) 환자맞춤형 재활치료 토탈 솔루션 개발
(9) 의료기기 상시협력 연구개발 지원
2) 2019년도 창의산업미래성장동력사업[PHR] 과제
(1) 개방형 PHR기반 치매 보호자용 건강관리 서비스 개발 및 실증
(2) 고령자 1인 가정 대상 개방형PHR 및 IoMT 연계서비스 개발 및 실증
(3) 개방형 PHR기반 소아 발달장애 관리 서비스 기술개발
(4) 개방형 PHR 기반 IoMT 기기 활용 홈헬스 서비스 개발 및 실증
(5) IoMT기기활용 의료현장서비스 고도화 및 개방형 PHR연계 기술 개발
(6) 개방형 PHR기반 건강관리 서비스를 위한 음성 UI 기술개발
(7) 개방형 PHR기반 염증성 장질환 관리서비스 개발 및 실증
(8) 개방형 PHR기반 만성질환자 응급실용 관리 시스템 개발 및 실증
3) 2019년 3D 프린팅 의료기기 시생산 및 임상실증
(1) 세라믹 소재 또는 하이브리드 소재를 적용한 환자맞춤형 3D프린팅 보형물의 실증
(2) 3D프린팅 공정기반 디지털 투명교정 장치를 이용한 고난이도 치과치료의 임상실증 및 표준화
(3) 수술용 가이드를 포함한 골종양 수술용 임플란트 개발 및 실증
(4) 척추 임플란트 임상실증 및 상용화 (척추, 경추, 요추 디스크 환자용 맞춤형 임플란트 개발)
(5) 3D프린팅 적층제조 기술을 활용한 두개악안면 보형물 개발
(6) 최소 침습 수술을 위한 경하중용 소관절 임플란트의 실증
(7) 고분자 기반의 생분해성 소재를 활용한 두개악안면 수술용 맞춤형 3D프린팅 임플란트 실증
(8) 3D프린팅 수술가이드를 이용한 고위험·고난이 수술 임상적용 및 임상적 유효성 실증
4) 인공지능 바이오 로봇 의료융합기술개발사업
(1) 지능형 인체삽입형 의료기기 개발
(2) 스마트 진단/치료 통합솔루션 개발
(3) 인공지능 기반 로봇 융합 의료기기 개발
(4) 위 3개 사업의 연구개발 총괄지원
2. 바이오헬스 분야의 기술동향
1) 디지털과 의료의 만남, 디지털 치료제 (Digital Therapeutics)
2) 의료산업 분야에서의 블록체인 기술
(1) 블록체인 기술의 의료분야에서의 활용 현황
(2) 의료분야에서의 블록체인 기술 가능성
가. 블록체인 기술의 이해
나. 의료분야에서 블록체인 기술의 활용
다. 블록체인 의료분야 적용을 위한 선결과제
라. 의료분야 블록체인 활성화를 위한 제언
(3) 의료산업 혁신을 위한 블록체인 기술
가. 개요
나. 블록체인과 의료산업
다. 블록체인 기반 의료산업 혁신 방안
라. 결론
3) 환자 맞춤형 재활치료를 위한 인공지능(AI) 활용
(1) 국내외 기술동향
(2) 시장동향 및 의료데이터
(3) 기대효과 및 정책제언
Ⅷ. 스마트 헬스케어 관련 국가별 동향
1. 미국
1) 미국 원격진료 시장규모 및 서비스 시장동향
(1) 미국 내 원격 의료 서비스 수요 증가
(2) 미국 원격의료 서비스 시장 규모 및 전망
(3) 원격 의료 시장 주요 제품 및 서비스
(4) 원격 의료 서비스 활용 분야
(5) 인증 및 규제
(6) 시사점
2) 아마존, 애플, 구글ㆍㆍㆍㆍ 헬스케어에 손 뻗는 Big Tech 기업
(1) 대규모 헬스케어 시장 보유한 미국, 디지털 의료기록의 가속화
(2) 아마존, 거대 유통망과 데이터를 이용한 시장 진입
(3) 애플(Apple), 전자기기에 집중
(4) 알파벳(Alphabet, 구글 모회사), 데이터를 활용한 헬스케어 개발
(5) 시사점
3) 미국 인구고령화와 디지털헬스 및 홈케어 시장동향
(1) 디지털 헬스, 미국 사회에 해법을 제시하다
가. 인구 고령화와 헬스케어 비용의 증가
나. 고령자 케어에 도입되는 디지털 헬스
다. 시사점
(2) 홈케어
가. 성장하는 미국 홈케어시장
나. 미국 홈케어 시장동향
다. 홈케어시장 경쟁동향
라. 시사점
2. 중국
1) 중국 의료기기 산업
(1) 2020년 미국 이어 세계 2위 헬스케어 시장될 것
(2) 시장 동향 및 전망 그리고 진출전략
2) 코로나19 진단키트로 보는 중국 체외진단(IVD) 시장
(1) 코로나19로 체외진단 시장에 관심 고조
(2) 중국 체외진단 시장분석
(3) 중국 체외진단 분야별 시장점유율 및 시장 성장률
(4) 중국 체외진단 기업별 시장 점유율
(5) 시사점
3) 中 산시성 '인터넷+의료건강' 산업 발전 정책 동향
(1) 중국 의료건강 시장 현황 및 전망
(2) '인터넷+의료건강'을 통한 서비스 발전 방향
(3) 산시성 '인터넷 +의료건강' 발전 정책 내용
(4) 주요 관련 기업 및 산시성 병원
(5) 시사점
3. 일본
1) 일본 의료기기 산업
(1) 산업 개요
(2) 시장 동향
(3) 시장 전망
(4) 진출 전략
4. 인도
1) 꾸준한 성장이 기대되는 인도 의료기기 시장
(1) 인도, 세계 3위 헬스케어 시장 진입 예상
(2) 의료기기 시장, 수입제품이 80% 차지
(3) 제조업 강화 정책으로 현지 생산 확대 추진
(4) 진출 시 검토사항
2) 인도 치과용 의료기기 시장 현황
(1) 시장 동향
(2) 수입 동향
(3) 경쟁 동향
(4) 유통 구조
(5) 관세율 및 수입규제
(6) 시사점
5. 독일
1) 체외진단 의료기기 시장 특성 및 전망
(1) 체외진단 의료기기 시장 특성
(2) 체외진단 의료기기 시장 전망
(3) 독일의 체외진단 의료기기 시장전망 및 수출입 동향
(4) 독일 의료기기 유통구조
(5) 시사점
(6) EU의 체외진단 의료기기 관련 정책
6. 러시아
1) 러시아 e-Health 서비스 추진 현황
2) 러시아 스마트 헬스케어 트렌드
3) 주요 프로젝트 및 수행기관
4) 관련 전시회 정보
5) 시사점
7. 베트남
1) 베트남 의료기기 시장 현황
2) 베트남 의료기기 수출입 동향
3) 베트남 의료기기 제조사 현황
4) 베트남 의료기기 산업 관련 규제
5) 시사점
8. 홍콩
1) 바이오테크 및 보건의료기기 산업특성
(1) 산업 정책 및 규제
(2) 주요 이슈 및 기업현황
2) 의료기기 및 전자진단기기 산업 현황
3) 진출전략
9. 캐나다
1) 캐나다 현지 의료기기 제조산업 현황
2) 코로나19 발발 후 현지 의료 대응동향
3) 우리 기업 진출 기회요인
4) 시사점
10. 말레이시아
1) 의료기기 시장 분석
2) 의료기기 관련 기존 정책 및 규제
3) 최신 기술동향
4) 시장 진입전략
Ⅸ. 스마트 헬스케어 관련 국내 정책 동향
1.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및 연구개발에 4조원 투자키로
1)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전략의 배경과 의미
2)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전략 주요내용
3) 향후 계획 및 기대 효과
<첨부>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전략
Ⅰ. 추진배경
Ⅱ. 바이오헬스 산업 진단
1) 4차 산업혁명과 바이오헬스 트렌드
2) 우리 산업의 역량
Ⅲ. 비전과 전략
Ⅸ. 분야별 주요 정책과제
1) 바이오헬스 기술개발 혁신생태계 조성
(1) 기술혁신을 위한 5대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2) 병원을 생태계 혁신거점으로 육성
(3) 혁신 신약·의료기기 정부 R&D 확대
(4) 바이오헬스 금융·세제 집중 지원
2) 글로벌 수준의 인허가 규제 합리화
(1) 식약청 전문성 강화 및 인허가 신속 처리
(2) 재생의료·바이오의약품 임상연구 활성화 및 안전관리 강화
(3) 글로벌 스탠더드 관점의 규제 선진화
3) 바이오헬스 생산활력 제고 및 동반성장 지원
(1) 선도기업과 창업·벤처기업 협력체계 구축
(2) 제약·바이오 전문인력 양성
(3) 5년 내 원부자재 30% 국산화로 전후방산업 동반성장
4) 시장진입 지원 및 해외진출 촉진
(1) 시장진입 지원
(2) 플랜트 패키지 수출
(3) 해외시장 진출 기반 강화
Ⅴ. 기대 효과
(참고1) 주요 시장별 현황 ‘17
(참고2) 산업계 주요 건의사항
(참고3) 주요과제별 추진일정
2. ‘의료기기산업 육성 및 혁신의료기기 지원법' 제정
3. 인공지능, 3D프린팅, 로봇 등 혁신 의료기술 시장 조기 진입 가능
4. 바이오헬스 분야, 혁신기술 보호 위한 특허 심사제도 개선
5. 특허청, 의료기기 유형별 특허출원 동향 발표
6. 중기부ㆍ특허청, 스타트업 특허 경쟁력 키운다
7. 송도, 세계 일류 바이오클러스터로 확대 조성
8. 바이오-인공지능(AI)-로봇 융합 등 융합기술 개발에 2019년 375억 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