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문학사의 라이벌 의식 (큰글자책)

문학사의 라이벌 의식 (큰글자책)

  • 김윤식
  • |
  • 그린비
  • |
  • 2020-04-10 출간
  • |
  • 368페이지
  • |
  • 203 X 287 mm
  • |
  • ISBN 9788976822208
판매가

32,000원

즉시할인가

28,8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8,8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한국문학사의 문제적 개인들을 만난다!!
작가들의 내면을 지배한 다섯 유형의 ‘라이벌 의식’!!

『문학사의 라이벌 의식』은 원로 비평가 김윤식이 ‘라이벌 의식’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한국문학사의 주요 장면과 한국문학사에 ‘창조력’을 공급한 문제적 개인들을 그려내는 책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한국문학사를 관통하는 다섯 유형의 ‘라이벌 의식’을 그려낸다. ① 경성제국대학의 아카데미시즘에 맞선 무애 양주동과 도남 조윤제의 라이벌 의식, ② 김수영과 이어령 사이에서 벌어진 1960년대의 ‘불온시 논쟁’, ③ 『한국문학사』(1973)를 공동집필한 이후 서로 다른 궤적을 그린 ‘실증주의적 정신’(김윤식)과 ‘실존적 정신분석’(김현)의 관계, ④ 『문학과 지성』과 『창작과 비평』 사이의 라이벌 의식, ⑤ 마지막으로 스승 김동리를 각기 다른 방식으로 넘어서고자 했던 이문구와 박상륭에 이르기까지, 저자는 알게 모르게 작가들을 짓눌렀던 라이벌 의식을 드러내는 것과 동시에 이들이 처했던 시대적 상황과 이들이 한국문학사에 어떤 기여를 했는지를 이 책을 통해 생생하게 그려내고 있다.
이 다섯 유형의 라이벌 의식 중에서도 이 책에서 특히 주목해야 하는 부분은 4장 「‘실증주의 정신’과 ‘실존적 정신분석’의 어떤 궤적」일 것이다. 저자 자신의 표현처럼 “김윤식이 김현에 바치는 찬사”(163쪽)인 이 글에서 저자는 김현의 문학적·비평적 궤적을 추적하는 것과 동시에 자신과 김현이 서로에게 느꼈던 라이벌 의식을 진솔하게 서술하고 있다. 특히 저자는 김현의 유고인 『행복한 책 읽기』에서 “제일 많이, 또 집중적으로 비판의 화살을 쏜 곳”(157쪽)이 자신이었음을 지적하면서, 이러한 김현의 비판에 대한 “때늦은 변명”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한 비판이 바로 “김윤식 자신의 글쓰기의 참모습”(160쪽)이었다는 것, 김현의 비판을 통해 김윤식은 어렴풋하게 느끼고 있었던 자신의 참모습을 이해할 수 있었다는 것. 그것은 바로 ‘실증주의적 정신’이라고 불린 김윤식 안에 ‘짐승스러운 영역’이 도사리고 있었다는 사실이고, 이러한 김윤식의 내면을 김현은 죽음의 시기에 와서야 분석해 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렇듯 지속적으로 ‘실증주의적 정신’ 곧 김윤식의 궤적을 추적해 온 것은 김윤식에 대한 ‘사랑’ 때문이었을 것이라는 진솔한 고백을 들려주고 있다.
이 책은 ‘문학사의 라이벌’이라는 표제로 계간지 『문학의 문학』에 발표되었던 22편의 글들 중 다섯 편을 골라 엮은 것으로, 각 글은 두 사람씩을 묶어 부제로 삼았고, 그들 사이의 “보이지 않는 마주보는 의식”을 엿보고자 했다. 하지만 두 편의 글에서는 예외를 두었는데, 그 하나가 저자 스스로의 라이벌 의식을 다룬 4장 「‘실증주의 정신’과 ‘실존적 정신분석’의 어떤 궤적」이고, 다른 하나는 ‘『창작과 비평』의 초기 위상론’이라는 부제를 달고 있는 5장 「‘논리’로서의 문학, ‘해석’으로서의 문학」이다. 『창작과 비평』의 활동과 그에 대한 『문학과 지성』 쪽에서의 라이벌 의식에 대해 서술하고 있는 이 글은 저자가 직접 이 두 계간지의 활동을 “관찰 또는 구경”한 경험에서 나온 것으로, 한국문학사의 중심에 있었던 이 두 계간지의 역사에 대한 사료적 가치의 측면에서도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 경성제국대학 vs 양주동/조윤제

1
이 책에서 처음 다루고 있는 문인들은 경성제국대학의 아카데미시즘에 맞선 무애 양주동과 도남 조윤제이다. 일제가 식민지에 두번째로 세운 경성제국대학은 조선문화의 연구를 통해 중국문화와 일본문화의 연구에 빛을 줄 수 있는 ‘동양학 연구의 중심점’이 될 것을 그 설립 목표로 하고 있는데, 그러한 설립 목표를 가장 전형적으로 드러내 준 것이 오구라 신페이(小倉進平)의 「향가 및 이두의 연구」(1929)였다. 이는 국문학 연구의 학문적 원점의 하나라고 할 수 있는 것이며, 동양사적 사건성을 말해 주는 것이었다. 중국의 고대시가집에 『시경』이 있고, 그에 준하는 것으로 일본에는 『만엽집』이 있다면, 조선에는 신라의 『삼대목』이 있었으나 유실되어 조선의 고대시가만이 공백으로 남은 형국이었다는 것. 이런 상황에서 『삼대목』의 발굴 및 해독에 준하는 오구라 신페이의 「향가 및 이두의 연구」로 『시경』, 『삼대목』, 『만엽집』의 위치가 확보될 수 있었고, 따라서 오구라의 연구가 동양사적 사건성을 지닐 수 있었다는 것이다. 이렇게 경성제국대학의 아카데미시즘을 대표하는 오구라의 연구에 도전한 것이 바로 무애 양주동과 도남 조윤제였다.
시인이자 비평가이며 와세다 대학 영문과 출신인 무애는 「향가의 해독, 특히 ‘원왕생가’에 취하여」를 통해 오구라의 연구에 도전했는데, 이 논문은 한문에 대한 판독력, 조선인만이 가질 수 있는 생리적 능력, 시적 자질을 기반으로 되어 있어 있다는 것이 저자의 분석이다. 이 중 가장 무애다운 자질은 ‘시적 직관력’이라고 볼 수 있는데, 향가 연구가 겨우 출발하는 시점에서 무애는 동시에 그 해석을 시도했으며, 이는 학문과는 별개인 창조적 문학의 영역
2
이라는 것이다. 이와는 달리 도남의 경우, 경성제대의 아카데미시즘으로부터 배운 근대적 학문의 방법론을 기반으로 하여 오구라에게 도전했다. 근대적 학문의 방법론을 통해 조선고대시가의 형식을 분석하여 향가에서 시조에까지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체계, 곧 ‘반절성’과 ‘전절대 후절소’ 이론을 정립했던 것이다. 하지만 도남은 개개의 작품 연구나 시가의 형식론을 훨씬 넘어선 영역으로 나아가는데, 이는 민족주의와 ‘정신과학으로서의 국문학 연구’였고, 해방공간에서야 비로소 간행될 수 있었던 『국문학사』에서 그 학문적 위업이 드러날 수 있었다는 것이다.

▶ 불온시 논쟁 : 김수영/이어령
이 책의 3장에서 다루고 있는 것은 평론가 이어령과 시인 김수영 사이에서 벌어진 ‘불온시 논쟁’이다. 이 논쟁은 4·19가 가져온 문화사적 현상 중 하나로, 화려한 겉모양을 취하고 있었다. 논쟁에 뛰어든 두 논자가 4·19를 대표하는 문단의 총아였으며, 『사상계』와 『조선일보』라는 매체를 중심으로 벌어져 대중적 관심을 끌었기 때문인데, 저자는 이 논쟁이 화려한 겉모양에 비해 그 결과는 매우 미미한 말꼬리 잡기 식 논쟁이었다고 평가한다.
논쟁은 이어령이 1967년을 두고 ‘에비’가 지배한 문화계라고 비판한 데서 시작되었다(「‘에비’가 지배하는 문화」). 있지도 않은 ‘정치 에비’, 있지도 않은 ‘상업주의의 에비’, 있지도 않은 소피스티케이트(sophisticate)해진 ‘대중의 에비’를 설정해 놓고 그것에 겁먹고 주눅들어, 이런 반문화적 풍토와 싸워 그 ‘에비’의 가면을 벗기지 않고 주저 앉아버렸다는 것이 이어령의 진단이었다. 이에 대해 김수영은 5·16군사혁명이 일어나 군부독재가 7년이나 강제한 언론통제 속임을 염두에 둔다면, 창작의 빈곤을 문화인 자신 쪽으로 돌리는 것은 일방적이라는 내용의 「지식인의 사회참여」(1968)를 『사상계』에 발표했다. 이 이후에도 많은 글들이 오고 갔지만, 사실상 처음 발표된 두 글의 부록 또는 보충설명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 저자의 평가다. 이어령이 문인의 내면의 치열성을 문제 삼으며 창작의 내부문제를 거론했다면, 김수영은 창작의 외부문제에 기울어져 있었는데, 참된 창작이란 이 둘이 결합되었을 때 가능하다는 면에서 양쪽 모두 일면적이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이 논쟁을 통해 이어령이 잃은 것이 많았다는 평가는 가능하다. ‘저항의 문학’의 기수로서 비평가적 힘과 권위를 발휘하고 있었던 이어령이 이 논쟁 이후 간판 격인 ‘저항의 문학’에서 벗어나 보수주의자로 후퇴한 형국이 되었기 때문이다. 반면 김수영은 이 논쟁에서 전위주의적인 뚜렷한 깃발을 잃는 대신, 시와 시론의 발전에서 새로운 진전을 가져올 수 있었고, 그 성과물이 「시여, 침을 뱉어라」로 드러났다는 것이다.

▶ ‘샤머니즘의 세계화’와 ‘샤머니즘의 움막 짓기’ : 박상륭/이문구
이 책에서 마지막으로 다루고 있는 라이벌 의식의 유형은 바로 박상륭과 이문구 사이에서 작용했던 것이었다. 앞서의 네 가지 유형의 라이벌 의식 또한 당대의 ‘장관’ 혹은 ‘기적’이라 부를 만한 것이었지만, 박상륭과 이문구 사이의 그것은 다른 라이벌 의식과는 그 사상적 무게나 깊이에서 별개의 유형이라 할 수 있으며, 가장 극적인 양상을 띠고 있는 것이었다. 서라벌예대 동급생으로서 전북 장수면에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난 박상륭과 한산 이씨의 터전인 관촌 마을에서 지식인의 아들로 태어난 이문구. 이들 사이의 라이벌 의식은 스승인 김동리를 꼭지점으로 하는 이등변 삼각형의 모습을 하고 있다는 것이 저자의 해석이다. 박상륭이 『칠조어론』에서 『잡설품』에 이르는 작품들을 통해 스승 김동리의 ‘자기 동네식 샤머니즘’을 ‘샤머니즘의 세계화’로 밀고 나갔다면, 이문구는 『관촌수필』을 통해 스승의 ‘지방성’ 샤머니즘을 더욱 ‘지방성으로 특권화하기’로 나아간 것. 이로써 샴쌍둥이의 모습을 한 서라벌예대의 두 수제자가 스승을 배신하면서 스승을 빛낸 결과를 빚었다는 점에서 ‘기적’이고 ‘장관’이 아닐 수 없다는 것이다.
3


목차


1장 _ 다섯 가지의 유형론 : 서론을 대신하여
위신을 위한 투쟁 | 경성제대 아카데미시즘에 맞선 도남과 무애 | 『창작과 비평』의 취약점과 강점 | 하버드 대학과 백낙청의 자기모순의 지속성 | 말꼬리잡기 식 논쟁의 대중성 | 문학사의 라이벌 의식에 가장 접근한 박상륭·이문구 | 문학사란 추상인가 주체성인가

2장 _ 정신과학의 유연성과 실증주의의 시적 직관 : 경성제대의 아카데미시즘에 도전한 무애와 도남
제국 일본이 세운 6번째 대학 | 경성제대 아카데미시즘에 대한 무애의 도전 | 몰방향성의 실증주의와 시적 자질의 빛남 | 조선어문학 전공에 혼자 입학, 혼자 졸업한 도남 | 넘어야 할 세 가지 관문 | 정신과학으로서의 해석학에 이른 길 | 국민국가라는 절대기준 | 경성제대 아카데미시즘에 대한 도남과 무애의 도전의 의의

3장 _ 불온시 논쟁에서 얻은 것과 잃은 것 : 김수영과 이어령의 경우
그림자 없는 적 | 사르트르를 오해한 시적 비유법의 빛남 | 시적 비유법으로서의 저항의 문학 | 전전세대, 전후세대 그리고 4·19세대의 4·19관 | 불온시 논쟁 전말 | 사상계와 조선일보 틈에 낀 자유인의 초상 | 시인·비평가의 얻은 것, 비평가의 잃은 것

4장 _ ‘실증주의 정신’과 ‘실존적 정신분석’의 어떤 궤적 : 책읽기의 괴로움과 책쓰기의 행복론
『문학과 지성』의 창간사 | 영문학도 백낙청의 『창작과 비평』의 창간사 | 프랑스 문학도가 아는 한국문학사의 한계 | 한국문학사는 실체일까 | 『산문시대』·『68문학』·『문학과 지성』 | 4K의 『현대 한국 문학의 이론』의 위상 | 맞서기 위한 방편으로서의 한국문학사 | 선험적 문학 선험적 가난 : 이청준이라는 벽 | ‘실증주의적 정신’과 ‘실존적 정신분석’의 만남 : 『한국문학사』 | ‘문학사’는 하나의 작품이어야 한다 : 『한국문학의 위상』 | 『책읽기의 괴로움』이 실존적 정신분석인 곡절 | ‘책읽기의 괴로움’과 ‘행복한 책읽기’ 사이 | 어떤 때늦은 변명

5장 _ ‘논리’로서의 문학, ‘해석’으로서의 문학 : 『창작과비평』의 초기 위상론
‘초근목피’에 대한 죄의식·사명감 | 사르트르의 『현대』지 창간사의 사정권 속에서 | 비대한 비평, 빈곤한 창작 | 4K의 『현대 한국 문학의 이론』과 하우저의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의 맞섬 | 인간적인 것, 인류적인 것 : 양지(良知)와 양심(良心) | 두 계간지 문학사의 라이벌 의식 | 독백으로서의 고백체 | 대담으로서의 고백체 | 이론과 실천 : 두 거울의 왜곡화의 경사면 | 두 개의 기적 : 논리 탐구와 해석학

6장 _ 밴쿠버 어떤 동굴에 비친 물빛 무늬 : 이문구와 박상륭
제2회 김동리문학상 시상식 장면 | 교주 김동리의 문하에 들기 | 끝장을 보고야 만다는 두 독종 | 형이상에 대한 지향성 | ‘연구와 공부’의 독각(獨覺) | 키 큰 비평가의 개입과 『칠조어론』 | 전(傳)의 형식과 ‘모란꽃 무늬’의 발견 | 망명객의 공허한 수사학 | ‘모란꽃 무늬’의 ‘물빛 무늬’화 과정 | 밴쿠버 책장수 파크 씨의 화려한 귀향 | 차라투스트라의 목소리를 빌린 자이나교도의 설법 | 카인과 아담의 장엄한 상봉 | 동굴에 비친 ‘물빛 무늬’

7장 _ 인간성의 두 유형, ‘논리’와 ‘해석’ : 결론을 대신하여

찾아보기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