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고된 쓰레기 대란 앞에서
매립지의 수명을 조금이라도 연장하기 위해 환경부와 3개 시·도는 2020년부터 수도권 매립지에 들어오는 생활쓰레기의 양을 지자체별로 제한하는 반입총량제 등을 실시하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최근 코로나19 상황에서 일회용품과 배달 포장재 등 생활쓰레기는 더욱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화성시는 2020년 4월 현재 반입총량제 시행 3개월 만에 1년 반입 총량을 넘겨, 내년에 일정 기간 쓰레기 매립지에 폐기물을 반입하지 못하는 등의 벌칙을 받게 되었다. 게다가 화성시 외에도 반입 총량을 지키지 못하는 지자체가 다수 나오리라는 전망이다.
매립지에 쓰레기 반입을 정지당하면 생활폐기물 대란이 올 수 있다. 집 앞에 내놓기만 하면 다음 날이면 깔끔히 수거되던 쓰레기가 대책 없이 내 집 앞에 쌓여갈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환경부와 서울시와 경기도와 인천시의 책임자들이 어떻게든 문제를 해결할 것이다. 그러나 그들만의 책임이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바로 우리가, 내가 버린 쓰레기이기 때문이다.
건설폐기물의 제대로 된 처리와 재활용이 관건이다
매립지에 반입되는 물량의 50퍼센트 가까이가 건설폐기물임을 상기하면, 이에 대한 대책 없이는 매립지의 수명을 연장하기 어렵다는 결론에 이른다. 그런데 건설폐기물 문제는 매립지 포화에서 그치지 않는다. 국토교통부의 ‘제5차 골재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앞으로 사용 가능한 골재가 70년 치밖에 남지 않았다. 70년 뒤면 후손들이 집을 지을 모래와 자갈을 구할 수 없는 상황이라는 말이다.
이를 위해 건설폐기물의 발생부터 재활용에 이르기까지 주도면밀한 계획과 실천이 필요하다고 저자는 주장한다. 먼저 건축물 해체 단계에서 분리 선별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건설폐기물에 유리와 석고보드, 헌 옷 등 다량의 혼합폐기물이 섞여 (건설폐기물을 재활용해 만드는) 순환골재의 품질이 떨어져 결과적으로 제대로 된 재활용이 어렵다. 또한 순환골재 안에 든 시멘트의 독성으로 인해 2008년 시화호에서 1000여 마리의 철새가 떼죽음한 것에서 알 수 있듯, 무엇보다 재활용을 위한 재활용은 또 다른 피해를 유발할 수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건설폐기물 재활용에 정부가 정책 지원뿐 아니라 기술개발에도 적극 나서야 하는 이유다.
소비는 곧 쓰레기다. 오늘 내가 구입한 물건은 언젠가 쓰레기로 변한다.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는 최선의 길은 당장 나부터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는 것에서 시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