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어디로 가야 이 길의 끝이 보입니까

어디로 가야 이 길의 끝이 보입니까

  • 종현
  • |
  • 조계종출판사
  • |
  • 2020-04-01 출간
  • |
  • 252페이지
  • |
  • 110 X 170 X 20 mm /251g
  • |
  • ISBN 9791155801338
판매가

14,000원

즉시할인가

12,6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2,6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포행 길에서 만난 어느 불자가 종현 스님에게 건넨 질문,
“스님, 어디로 가야 이 길의 끝이 보입니까?”

20년 전 범어사 선원 동안거를 보내던 종현 스님은 참선하다가 잠시 멈추고 산책을 하는 포행布行 길에서 한 여인과 마주친다. 처음 보는 여인은 길을 가로막고는 간절한 표정으로 물었다. “스님, 어디로 가야 이 길의 끝이 보입니까?” 갑작스러운 질문에 아무 대답도 못 하고 돌아서며 스님은 얼굴이 뜨거워지고 온몸이 하얗게 얼어붙었다. 이후 스님은 오래도록 그 물음을 곱씹으며 자문해보았고 어느새 화두가 되어버린 그 말을 제목 삼아 2020년 봄, 자신의 수행 여정을 담은 산문집을 펴냈다.
종현 스님은 1993년 가야산 해인사로 출가하여 해인강원을 졸업했다. 2004~2015년 월간 《해인》 편집장과 홍보국장을 맡으며 〈해우소〉라는 코너에 짧은 글을 연재했다. 해인총림을 둘러싼 일화와 수행담, 비밀스러운 구전까지 담아낸 글은 간결하고 위트 있으면서도 독자들의 깊이 있는 성찰을 일깨우는 풍성한 이야기보따리였다. 종현 스님은 “근 20여 년 해인사 밥 축내며 비비고 산 격”이라며 “수구지심首丘之心의 마음으로 이 책을 엮었다”라고 했다.
종현 스님은 현재 대구 팔공산 도림사 주지 소임을 맡고 있다. 산지가람의 면모를 갖춘 도림사는 11, 12대 종정을 지내신 법전 대종사께서 1997년 창건한 이래 20여 년 역사를 지닌 곳이다. 대구 도심지에 인접해 불자들이 언제든 방문하여 기도와 수행을 할 수 있는 대표적 ‘힐링 사찰’이다. 종현 스님은 이 책 또한 대중들이 가볍게 읽고 미소 지을 수 있는 일상의 쉼표 같은 책이 되길 바란다.
청주 마야사 주지 현진 스님은 “이 책에는 촌철살인의 대화도 있고, 폭소를 자아내게 하는 문답도 있다. 이론과 지식을 초월하는 파격도 담겨 있어 통쾌한 삶의 지혜를 보여준다. (……) 법상 위의 법어보다 더 생생한 현장 법문이라 할 만하다. 모두가 비단에 놓인 꽃이라서 그 어느 것도 버릴 게 없다. 행간마다 어리석음을 타파하는 취모검吹毛劍들이 총총하다”라고 극찬했다.

총림 해인사 내 절제되고 엄격한 생활,
함께 불도를 이루어가는 도반들

한국불교의 성지이자 수행의 종가인 해인사. 이 책에는 종현 스님이 직접 겪었던 출가 과정을 토대로 해인사로 출가한 이들의 첫걸음이 생생하게 그려진다. 출가자가 해인사로 들어가면 일주일간 속복俗服 생활을 한다. 삭발하지 않고 행자복도 입지 않은 채 출가한 복장 그대로 대기하는 생활이다. 첫날 보경당에서 삼천배를 하고, 이후 6일간 벽을 보고 서 있는다. 인내와 의지를 시험하는 극한의 시간은 앞으로 다가올 수행 길, 출가 의지를 바로 세우고 새로운 시작을 준비하는 시간이다.

삼천배 마치면 어려운 것은 다 끝난 줄 알았는데 6일간을 계속 벽보고 세워 놓는 것이다. 속복 행자는 벽을 보고 두 시간이건 세 시간이건 세워 놓는다. 이 속복 기간에 많은 행자들이 버티지 못하고 하산을 한다. 출가수행자가 된다는 것은 책 읽고 학문을 많이 본다고 되는 것이 아닌 것이다. (……)
전생에 벽하고 인연이 있었는지 강원에서, 선원에서 수도 없이 벽을 바라보았다. 언젠가 저 벽을 뚫고 나갈 날을 기대하며. (본문에서)

행자는 최소 6개월 이상 생활해야 계를 받고 스님이 된다. 해인사 행자실은 ‘해병대’에 비유될 만큼 엄격하게 규율을 지킨다. 행자 생활 일주일이 되면 삭발식을 한다. 상행자들의 ‘참회진언’ 염송 속에 원주스님이 머리를 깎아주고, 속복들은 기쁨과 슬픔이 담긴 눈물을 흘린다. 삭발을 마치면 선행자 중 막내는 밭에 미리 파둔 구덩이에 행자들의 머리카락을 묻고 ‘반야심경’을 외우며 그들이 무사히 사미계를 받을 수 있도록 기도해준다. 스님들은 평생 승려 생활하는 동안 자신의 머리카락을 묻은 그곳을 잊지 못한다.
삭발한 행자가 행자실에 입실하는 입방식에서는 선행자들 앞에서 행자 수칙을 말하는 시험을 치른다. “예불 철저. 대적광전大寂光殿 앞을 지날 땐 반배半拜. 스님들께 인사 철저. 선배 행자에게 절대복종. 소임, 차수 철저. 스님이 물어보면 반배로써 대답. 삼경 전 취침 금지.” 입방식을 마치면 대중의 하나로 인정받고 오순도순 이야기꽃을 피운다.
취침 전에 매일 하는 반상회에서는 내일의 공지사항과 개인의 지적사항을 얘기하고 부전장 행자가 행자실의 이정표인 ‘대율사 우바리 존자 말씀’을 크게 외치며 하루를 마친다. “신심으로써 욕락을 버리고 일찍 발심한 젊은 출가자들은 영원한 것과 영원하지 않은 것을 똑똑히 분간하면서 걸어가야 할 길만을 고고하게 찾아서 가라.”
이 책에 담긴 2004년부터 2015년까지 해인사의 정경이 현재의 모습과는 괴리감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오늘날까지 변치 않고 이어질 해인사의 굳건하고 엄격한 전통, 그 본질적인 부분을 언뜻 엿보는 것만으로도 이 책은 뜻깊은 의미를 지닌다.

강원과 선원에서 정진하며 만난 인연들……
“당신이 내게 왔던 부처님입니다”

종현 스님은 길에서 만난 인연들, 스승과 도반으로부터 화두와 가르침을 얻었다.
“10년 전 수련회에서 스님 말씀에 감동받아 아직 그 말을 가슴에 품고 산다”라며 한 신도가 스님을 찾아온다. 그 말인즉슨 스님이 수련생들에게 “해인사에는 사시사철 변치 않는 늘 푸른 소나무가 많지만 저는 소나무보다 사계절 자연의 변화를 보이는 활엽수 나무가 좋습니다”라고 한 것이다. 신도는 당시 어떤 감정으로 그렇게 말했던 것인지 묻는다. 당시 스님은 육조 혜능 선사의 “낙엽귀근落葉歸根(잎이 지면 뿌리로 돌아간다)”이란 말씀에 감명받은 후라 그리 말했었다. 스님은 자신의 말을 오래 기억해준 신도에게 감사하면서도 무심코 뱉은 한마디가 누군가에게 번뇌를 일으킬 수 있음을 깨닫고 조심스러워진다. ‘입 열면 착着’이라 했거늘 같은 집착이라도 공부와 인연 지어지는 집착이길 기대하면서 말이다.
한편 해인사에서는 하안거, 동안거 결제 기간 동안 전 총림이 동참하는 용맹정진을 한다. 공부하는 학인들에게 수행의 크나큰 분수령이 되는 전환점이다. 종현 스님은 당시 해인사 주지셨던 지관 큰스님께서 “열심히 해서 득도해라. 좌차座次(자리에 앉는 차례)가 바뀐다”라고 해주신 격려의 말을 듣고 잠이 싹 달아나는 경험을 한다.
그 밖에 전통과 가치를 계승하고 있는 해인총림의 설 풍경, 누룽지로 업장業障을 녹인 승혜 선사 이야기, 홍류동 계곡 길을 복원할 때 새롭게 길 이름을 공모한 일화, 두 스님의 이름이 똑같아서 오해로 일어난 재미난 사연들도 있다.
문득 예기치 못한 데서 소소한 깨달음을 얻는 일도 비일비재했다. 엉뚱한 곳에서 돌발 질문이나 상황들이 벌어져 감동도 받았다. 어느 날 한 꼬마가 종현 스님을 보고 “와! 부처님이다!”라고 외친다. 스님은 들뜨고 기쁘면서도, 부끄러워진다. 수행자의 근본이 확철하게 깨달아 부처가 되는 것인데 그 당시 스님은 아직 깜깜한 상태라고 느꼈기 때문이다. 자신에게 부처님이라고 한 어린아이가 바로 “당신이 내게 왔던 부처님”이었다고 말하며 스님은 오늘도 정진의 길을 걸어 나간다.


목차


추천의 글 ㆍ 4
들어가며 ㆍ 8

1장 무작타관無作他觀
-행자실 이야기
개구집착開口執着-1. 어디로 가야 이 길의 끝이 보입니까 ㆍ 18
2. 스님! 성불하십시오 ㆍ 21
출가 인연 ㆍ 23
인내와 의지를 시험하는 속복 생활 ㆍ 27
피의 삭발식 ㆍ 31
행자실 입방식 ㆍ 37
행자실 반상회 ㆍ 43
낯선 행자실 소임 ㆍ 47
1번 시자 ㆍ 51
벽 보고 앉아 있어! ㆍ 55
내가 어간이다, 이놈아! ㆍ 58

2장 끽휴시복喫虧是福
-강원 이야기
개구즉착開口卽錯-늘 푸른 소나무 ㆍ 64
빨래 건조대 풍경 ㆍ 69
무념무상절일체無念無想絶一切-건망증 ㆍ 73
해인사 스님들만 아는 것-조반석지朝般夕至 ㆍ 77
화대 소임자의 비애 ㆍ 81
3분三分 정근 ㆍ 86
사다라니四陀羅尼 ㆍ 88

3장 미언대의微言大義
-선원 정진 이야기
향전일소보向前一小步 문명일대보文明一大步 ㆍ 92
용맹정진 1-좌차座次가 바뀐다 ㆍ 94
용맹정진 2-그래, 한마디 일러라! ㆍ 99
깨달은 이도 부처님께 절을 합니까? ㆍ 104
바로 이 자리가 수행처 ㆍ 105
나 완전히 새 됐어-홀딱 벗고 새 ㆍ 107
노처녀 공주님 ㆍ 113
누룽지로 업장을 녹인 승혜 선사 이야기 ㆍ 117
대중공양 ㆍ 120
잘못했습니다 ㆍ 125
신창원이 나타났다 ㆍ 129
공양금 보냈소! ㆍ 133

4장 일자포폄一字褒貶
-해인사 이야기
총림의 설 ㆍ 138
스님을 찾습니다 ㆍ 145
해인사 소리蘇利길 ㆍ 148
절에서 사시미? ㆍ 155
산은 산이요…… ㆍ 158
《해인》 지와 보현 스님 ㆍ 161
삼본 화엄경 ㆍ 166
잠은 잤는데 하진 않았어요 ㆍ 170
이름 속에 대안 있다 ㆍ 173
정해년 돈피豚皮 이야기 ㆍ 175

5장 난득호도難得糊塗
-생활 이야기
개 조심 ㆍ 182
내 곁에 왔던 부처 ㆍ 184
도롯가 풍경 ㆍ 188
마당에 곰 있어유? ㆍ 190
만나는 사람을 세 번 놀라게 하는 진명 스님 ㆍ 193
배달 사고 ㆍ 197
부처님오신날 봉축 표어 ㆍ 201
빌보드의 추억 1 ㆍ 206
빌보드의 추억 2-『Pop pm 2:00』와 『Poko』 ㆍ 210
빌보드의 추억 3 ㆍ 214
Temple Of The King-왕사王寺 ㆍ 218
어느 날 ㆍ 223
어록語錄 ㆍ 226
언어유희言語遊戱 ㆍ 228
이름이 없습니다-무명 스님 ㆍ 231
이 속에 모든 것이 있다! ㆍ 235
일대일 ㆍ 240
전화 사기 주의 멘트 ㆍ 244
축원, 설마설마 조마조마 ㆍ 247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