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메타형이상학 입문

메타형이상학 입문

  • 투마스타코
  • |
  • 서광사
  • |
  • 2020-03-30 출간
  • |
  • 388페이지
  • |
  • 153 X 224 X 22 mm /567g
  • |
  • ISBN 9788930623315
판매가

29,000원

즉시할인가

28,13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8,13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메타형이상학 입문』은 2015년 케임브리지대학교(University of Cambridge) 출판부에서 출간한 An Introduction to Metametaphysics를 박준호 교수가 우리말로 옮긴 책이다. 국내에서도 생소하게 여겨질 수 있지만 세계적으로도 메타형이상학 분야에서 교재 수준의 단행본으로서는 거의 처음으로 집필된 저작으로, 저자 투마스 타코(Tuomas E. Tahko)는 브리스틀대학교에서 철학을 가르치면서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제목의 metametaphysic는 형이상학(metaphysics)‘에 관한(meta-)’ 탐구를 뜻하며, 이는 2000년대에 들어서서야 사용된 용어이다. 박준호 교수는 이전부터 이를 ‘상위형이상학’으로 칭하고, 처음으로 ‘형이상학’과 ‘형이상학에 관한 탐구’의 구분을 명확히 한 라제로비츠(Morris Lazerowitz)의 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한 논문을 쓰기도 하였다. 언중의 사용 언어 현실을 고려하여 본 역서의 제목은 『메타형이상학 입문』으로 정했다.
이 책은 학생을 위해 저술된 최초의 체계적인 메타형이상학 입문서로서 형이상학의 본성, 즉 형이상학의 방법론, 인식론, 존재론, 형이상학적 지식에 도달하는 방법을 논의한다. 또한 실존, 양화, 존재론적 개입, 존재론적 실재론 등 메타존재론의 쟁점을 소개하면서 메타형이상학의 토대 논쟁을 확실하게 전달한다. 나아가 메타존재론 이외에도 근거부여, 존재론적 의존, 근본성, 양상 인식론, 직관, 사고실험, 형이상학과 과학의 관계 등 메타형이상학의 새로운 주제를 본격적으로 다루고 있다.

책은 모두 9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은 철학을 탐구하는 이들이 메타형이상학을 연구해야 할 동기를 다루고, 더 일반적으로 메타형이상학이 형이상학과 연관해서 어떤 의의를 갖는지 논한다. 또한 메타형이상학과 메타존재론(metaontology) 사이의 관계를 명료화하고 있다.
2장에서는 메타형이상학적 탐구의 시초라고 할 수 있는 ‘실존 질문’에 관한 콰인(Willard Van Orman Quine)과 카르납(Rudolf Carnap)의 논쟁을 중심으로 마이농(Alexius Meinong)의 견해를 살피고 최근의 시도들을 논의한다.
3장은 ‘실존 양화사’의 역사와 명칭을 포함하여 그 격위와 의미를 논한다. 콰인의 존재론적 개입 기준, 허쉬(Eli Hirsch)와 사이더(Ted Sider)의 ‘양화사 변이’의 가능성 논쟁, 파인(Kit Fine)의 또 다른 견해 등이 논의되고 있다.
4장은 허쉬와 사이더의 논쟁을 다른 관점에서 살피고 존재론적 실재론, 존재론적 반실재론, 수축주의, 약정주의 등 다양한 상위형이상학적 입장을 개관한다.
5장은 아리스토텔레스의 탐구로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는 개념인 근거부여(grounding)와 존재론적 의존을 논한다. 인과, 환원, 양상성(modality), 진리제조(truthmaking) 등도 논의 대상이다.
6장에서는 실재가 ‘여러 수준’(levels)으로 이루어진 위계 구조로 되어 있다는 견해를 다룬다. 부분과 전체의 관계를 다루는 부분전체론(mereology)과, 위계 구조에 끝이나 시작이 있는지, 동등하게 연관된 의존의 사슬이 있는지를 메타형이상학적으로 탐구할 때 도출되는 근본성 개념을 살피고, ‘형이상학적 근본주의’와 ‘형이상학적 무한주의’의 견해를 분석한다.
7장은 논란의 여지가 있는 선천성(a priori)과 후천성(a posteriori)의 구분을 명료하게 할 방도를 검토하고, 형이상학적 인식론의 사례로 가능성과 필연성에 관한 지식, 양상적 지식을 어떻게 획득하는지를 설명하는 두 입장인 양상 이성주의와 양상 경험주의 및 대안을 다룬다.
8장에서는 형이상학적 지식의 원천으로 간주되지만 논란이 있는 주제인 직관과 사고실험을 다룬다. 형이상학적 직관과 형이상학적 탐구에서 직관의 역할을 이해하는 방안을 검토할 것이다. 또한 철학적 사고실험과 과학적 사고실험의 유사성과 차이점뿐 아니라 사고실험과 직관 사이의 관계를 논의한다.
9장은 과학과 형이상학의 관계를 논한다. 형이상학은 과학과는 별개로 자율적이며 실재의 근본 구조에 관한 형이상학적 탐구는 과학적 실재론을 밑받침할 수 있다는 견해와 그 반대 극단에서 형이상학이란 실재에 관해서 어떤 것도 말할 수 없다는 견해가 있다. 레디먼(James Ladyman)과 로스(Don Ross)의 견해는 형이상학의 제한적인 역할, 주로 통합의 역할을 제안한다. 과학과 형이상학의 방법론적 가교를 만들 가능성 역시 검토된다. 마지막으로 과학과 형이상학 사이의 관계에 관해서 ‘온건하게 자연주의적인 형이상학’을 제안한다.

박준호 교수에 따르면 메타형이상학은 형이상학의 근본 개념‘에 관한’ 물음이다. 메타형이상학은 형이상학의 본성, 임무, 방법에 관하여 논쟁하고, 형이상학이 무의미한 탐구를 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형이상학은 과학과 어떻게 유사하고 다른지를 파고든다. 형이상학이 자신의 주제에 접근하는 특별한 방법론을 갖고 있는지, 갖는다면 그것이 무엇인지 질문한다. 탐구의 결과가 선천적인지, 필연적인지에도 관심을 갖는다. 더불어 형이상학이 다루는 개념의 의미를 묻기도 한다. 역자는 메타형이상학이 “자신의 맨 얼굴을 보려는 철학자의 노력”이라고 말한다. 철학이 지닌 자기반성적 특성, 철학 자신을 성찰하려는 철학의 노력을 이 책을 통해 접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형이상학의 고급 과정과 철학 방법론, 메타형이상학, 인식론, 과학철학을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필수적인 자료 역할을 할 것이다.


목차


옮긴이의 말 … 5
서문 … 25

제1장 상위형이상학의 필요성 … 29
1.1 상위형이상학 또는 상위존재론? … 32
1.2 이 책을 읽는 방법 … 36
1.3 각 장의 개요 … 38
1.4 더 읽어야 할 책 … 43

제2장 콰인 대 카르납: 존재하는 것과 존재하지 않는 것 … 47
2.1 존재하는 것에 관하여 … 50
2.2 플라톤의 수염 … 54
2.3 마이농의 등장 … 57
2.4 외적 질문과 내적 질문 … 67
2.5 언어 다원주의 … 79

제3장 양화와 존재론적 개입 … 83
3.1 실존 양화사의 의미 … 86
3.2 실존 양화와 존재론적 개입 … 91
3.3 양화사 변이와 언어상 논쟁 … 97
3.4 실존 질문만 있는 것은 아니다 … 108
제4장 대안 확인: 존재론적 실재론, 수축주의, 약정주의 … 117
4.1 존재론적 실재론과 반실재론 … 119
4.2 존재론적 수축주의 … 127
4.3 극단적 약정주의 … 134
4.4 사례연구: 사이더의 존재론적 실재론 … 142
4.5 중간 평가 … 153

제5장 근거와 존재론적 의존 … 157
5.1 존재론적 의존: 세밀한 개념 … 159
5.2 정체성의존과 본질의존 … 164
5.3 근거부여는 존재론적 의존인가? … 173
5.4 근거의 형식적 특징 … 175
5.5 근거부여, 인과, 환원, 양상성 … 185
5.6 근거부여와 진리제조 … 190

제6장 근본성과 실재의 여러 수준 … 195
6.1 ‘수준’ 비유 … 201
6.2 부분전체론적 근본성 … 205
6.3 추가 해명: 적정토대와 의존성 … 213
6.4 일반적인 존재론적 근본성 … 217
6.5 근본성과 물리학 … 224

제7장 형이상학의 인식론: 선천성 또는 후천성? … 237
7.1 선천성 대 후천성 … 239
7.2 양상 이성주의와 선천적 방법 … 243
7.3 본질 인식론 … 253
7.4 양상 경험주의와 안락의자 방법 … 258
7.5 선천적 방법과 후천적 방법의 결합 … 265

제8장 형이상학에서 직관과 사고실험 … 273
8.1 ‘직관’의 명료화 … 276
8.2 직관과 실험철학 … 284
8.3 경험 기반 직관 … 287
8.4 이성적 직관 … 290
8.5 과학의 사고실험 … 296
8.6 철학의 사고실험 … 299

제9장 형이상학과 과학의 구분: 형이상학은 자연화가능한가? … 307
9.1 형이상학의 자율성 … 311
9.2 전면적 자연주의 형이상학 … 318
9.3 자연주의적 폐쇄성 원리와 물리학의 우선성 … 326
9.4 방법론적 유사성 … 337
9.5 온건한 자연주의 형이상학 … 344

용어집 … 353
참고문헌 … 363
찾아보기 … 383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