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4차 산업혁명기의 IT 미디어법 -개정판

4차 산업혁명기의 IT 미디어법 -개정판

  • 손형섭
  • |
  • 박영사
  • |
  • 2020-03-10 출간
  • |
  • 428페이지
  • |
  • 172 X 245 X 27 mm /656g
  • |
  • ISBN 9791130336206
판매가

25,000원

즉시할인가

24,75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4,75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제1장 4차 산업혁명기 ITㆍ미디어법 기초 1
Ⅰ. 정보통신기술과 미디어의 변화 1
1. 인간과 기술 1
2. 사회 패러다임의 변화와 4차산업혁명 1
(1) 사회 패러다임의 변화 1
(2) 4차 산업혁명 2
(3) 핵심기술 3
Ⅱ. 정보통신 기초 지식 6
1. 정보사회 6
2. 관련 용어의 소개 7
(1)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7
(2)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9
(3) 사물인터넷(Iot) 13
(4) 빅데이터(Big Data) 13
(5) 스마트머신 14
(6)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oftware-Defined Networking) 15
(7)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16
(8) 유비쿼터스 17
(9) 아날로그 데이터/ 디지털 데이터 18
(10) 유/무선 전송 매체 18
(11) 토폴로지(topology) 19
(12) 인터넷과 월드 와이드 웹(WWW, World Wide Web) 19
(13) CMS(Contents Management System) 20
(14) 전자정부 21
3. 미디어법과 정보법 22
4. 향후 정보통신기술의 전망 22
(1) 전자상거래 22
(2) 컴퓨팅의 클라우드화,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24
(3) 미래 인터넷의 변화 25
5. 미래사회의 주체 “기술인가 인간인가?” 28

제2장 정보통신에서의 자유와 규제 31
Ⅰ. 정보통신 기술과 미디어 변화 31
1. 데이터 통신과 정보통신 31
(1) 데이터 통신 31
(2) 정보통신 32
2. 망 중립성 33
3. 인터넷의 기술ㆍ경제적 과제 34
Ⅱ. 정보통신의 기술에 대한 법적 대응 36
1. 인터넷의 자유와 규제 36
(1) 자유와 국가 개입 36
(2) 규제인가 자유인가? 37
2. 규제방법 39
(1) 인터넷 규제이론 39
(2) 규제 모델 41
3. 인터넷 거버넌스와 규제 완화 43
(1) 국제적 인터넷 거버넌스 43
(2) 규제 샌드박스 44

제3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인공지능 49
Ⅰ. 데이터 네트워크의 확대 49
1. 사물인터넷 49
2. 사물인터넷의 가능성 50
3. 취약한 보안성 56
Ⅱ. 빅데이터 분석 57
1. 빅데이터 처리 57
2. 디지털 헬스케어 62
Ⅲ. Iot와 빅데이터의 그림자 64
1. 타케팅과 가치검토 64
2. 빅데이터의 법적 과제 65
(1) 데이터 보호 65
(2) 사생활 침해 66
(3) 차별과 편견으로부터의 보호 68
(3) 빅데이터 실현을 위한 과제 68
Ⅳ. 인공지능 AI(artificial intelligence) 70
1. 인공지능의 구현 70
(1) 생활속의 AI 70
(2) AI에 의한 정치 71
(3) AI와 알고리즘 71
2. 인공지능에 대한 권리 73
(1) AI 알고리즘 설명요구권 73
(2) AI 네트워크와 인권 74
(3) AI의 불법행위 75
(4) AI 계약의 유효성 76
3. 기대와 대비 76

제4장 개인정보의 보호와 이용 79
Ⅰ. 개인정보의 처리와 관련한 프라이버시 보호체계 79
1. 데이터 활용과 보호ㆍ보안 79
2. 프라이버시 80
3. 각국의 개인정보 보호 82
(1) 유럽 82
(2) 미국 84
(3) 일본 87
(4) 대한민국 89
Ⅱ. 프라이버시와 개인정보의 영역 분석 92
1. 정보프라이버시의 보호영역 92
2. 홈페이지에 공개된 개인정보 94
Ⅲ. 개인정보 보호법 96
1. 개인정보보호위원회 96
2. 개인정보보호 범위의 확대 96
3. 손해배상의 입증책임 전환 97
4. 개인정보 자기통제권의 실현 98
5. 집단분쟁조정과 단체소송 등 99
Ⅳ. 개인정보 보호법의 재검토 100
1. 개인정보 개념 축소의견 100
2. 개인정보 수집 ‘동의’ 101
3. 익명정보, 가명정보 105
Ⅴ. 국제 기준에 따른 보호와 활용 106
1. 개인정보보호법제의 향방 106
2. EU의 데이터이전 적정성 평가 107

제5장 법정보학과 법정보 AI 109
Ⅰ. 법정보학과 정보검색의 기초 109
1. 정보사회에서의 자료 검색 109
2. 법정보학 110
3. 법률정보 시스템 111
4. 검색의 중립성 113
Ⅱ. 법원(legal sources) 114
1. 법령 114
2. 판례 116
3. 문헌 116
4. 전자자료 117
Ⅲ. 법률 데이터베이스 검색 118
1. 헌법재판소 118
2. 국회 119
3. 대법원 120
4. 법무부(검찰) 형사사법포털 121
5. 특허청 122
6. 고용노동부 122
7. 한국인터넷진흥원 122
8. 유료 법률 포털사이트 로앤비 122
Ⅳ. 법정보 AI 124

제6장 방송의 자유와 언론중재 127
Ⅰ. 방송통신 미디어의 변화 127
1. 방송과 통신의 융합 127
2. 1인 미디어와 SNS 128
Ⅱ. 전통적 표현의 자유와 미디어의 규제 129
1. 헌법상의 표현의 자유 129
2. 미국에서 표현의 자유 130
(1) 젠가 사건 130
(2) 이중심사 기준 131
(3) 언론 자유의 확대 132
(4) 미디어 채널 규제 132
3. 독일에서 표현의 자유 133
4. 국제적인 표현의 자유 134
5. 표현의 자유와 규제 135
Ⅲ. 사전검열 금지 136
1. 사전검열 금지 136
2. 사전검열 심의 137
Ⅳ. 인격권과 명예권 138
1. 인격권 138
2. 명예훼손죄 139
(1) 각국의 입법례 139
(2) 형법 141
(3) 전기통신기본법 143
(4) 정보통신망법 143
(5) 최신 이론과 판례 149
(6) 가짜뉴스가 아니라 허위정보(disinformation) 150
Ⅴ. 언론중재제도 151
1. 언론중재위원회 151
2. 정정보도 청구 154
3. 반론보도청구권 155
4. 조정신청 156
5. 평가 159

제7장 인터넷상 허위사실 유포와 명예훼손 161
Ⅰ. 인터넷상 민주주의와 사상의 자유시장 161
1. 인터넷의 분극화 161
2. 사상의 자유시장 163
Ⅱ. 표현의 자유와의 조화 165
1. 인터넷 소셜미디어 165
2. 인터넷 악플 167
(1) 대항언론 167
(2) 악플과 인터넷 윤리 168
3. 정보통신망법의 임시조치 169
(1) 임시조치의 내용 169
(2) 법적 지위와 성격 172
(3) 임시조치의 개선방향 175
Ⅲ. 정보통신사회의 법적 쟁점 178
1. 회피연아 사건 178
2. 판결의 경과 180
3. 통신자료와 통신사실확인자료 181
4. 판결에 대한 비판적 대안 183
(1) 판결의 문제점 183
(2) 정책적 대안 검토 184

제8장 사이버범죄 189
Ⅰ. 사이버 시대의 법적 과제 189
1. 규제의 필요성 189
2. 사이버 범죄 개념 190
Ⅱ. 사이버 범죄의 유형 191
1. 사이버 범죄의 구분 191
2. 사이버범죄의 형태 193
(1) 형법상의 범죄 193
(2) 개별법상 범죄 199

제9장 온라인 섹스와 사이버 포르노 그래픽 209
Ⅰ. 버추얼 섹스 또는 사이버 섹스 209
Ⅱ. 성적인 표현물 211
1. 음란물의 개념 211
2. 형법 등 규정 214
3. 음란의 표현물성 215
Ⅲ. 사이버 성폭력 216
1. 사이버 성폭력의 의미 216
2. 법적 규제 218
(1) 성폭력범죄처벌법 218
(2) 정보통신망법 220
(3) ‘풍속영업의 규제에 관한 법률’ 222
Ⅳ. 아동음란물 규제 222
1. 미국 223
(1) CPPA 223
(2) 통신품위법 226
(3) Ashcroft v. ACLU 227
2. 아청법 229
(1) 규정 229
(2) 아동포르노 규제 취지 230
(3) 검토 230
3. 디지털 성범죄 수사 231

제10장 인터넷 광고 235
Ⅰ. IT기업과 인터넷 광고의 의미 235
1. IT기업의 수익과 광고 235
2. 인터넷 광고의 의의 236
3. 인터넷 광고 현황 238
Ⅱ. 인터넷 광고와 리뷰사이트 240
1. 미국 옐프(Yelp.com) 사이트 240
2. 일본 타베로크(tabelog.com) 243
3. 일본 라면프랜차이즈 사건 245
4. 독일 교사 리뷰사이트 248
(1) 사건의 경위 248
(2) 판결의 내용 249
5. 로마켓 사건 250
(1) 사건의 개요 250
(2) 판결의 논증구조 251
(3) 판결의 검토 253
6. 기타 최근 사례 257
(1) 미국 온라인 콘택트렌드 업체 사건 257
(2) 기프트 카드 사기 사건 258
Ⅲ. 인터넷 광고 관련 법제 259
1. 표현의 자유와 광고 자율심의기구 259
2. 인터넷 광고에 관한 법적 문제 260
(1) 표시광고법 260
(2) 인터넷 광고 심사지침 260

제11장 인터넷 정치활동 265
Ⅰ. 인터넷 정치 265
1. 폴리테크(PoliTech) 265
2. 인터넷 정치 변화 267
(1) 정치변화와 인터넷 267
(2) AI를 통한 정치와 정책 결정 269
(3) e-청원시스템 270
3. 한국에서 디지털 청원제도 272
4. 입법의 두 가지 접근 방식 273
(1) 톱다운(top down) 방식 273
(2) 바텀업(bottom-up) 방식: 청원 274
Ⅱ. 인터넷 선거운동 278
1. 인터넷 선거운동의 법적 수용 278
(1) 인터넷 언론 278
(2) 인터넷 선거운동의 형태 278
2. 인터넷과 SNS 선거운동의 전면허용 280
(1) 헌법재판소의 한정위헌 결정 280
(2) 중앙선관위의 허용기준 282
3. 공직선거법상 본인실명제 284
(1) 실명확인제 284
(2) 헌법재판소의 결정 285
4. 인터넷 선거운동 양태 288
(1) 인터넷과 SNS 선거운동의 유형 288
(2) 활용과 선거환경 289
5. 인터넷 관련 선거부정방지제도 290
Ⅲ. 인터넷과 SNS를 이용한 선거운동의 한계 291
1. 헌법 및 법률유보 291
2. 표현의 자유 292

제12장 인터넷상 저작권과 특허권 297
Ⅰ. ICT와 지적재산 환경의 변화 297
1. 저작권과 산업재산권 297
2. 인터넷 이용자의 변화 298
3. 저작권 저촉여부 299
Ⅱ. 저작권과 표현의 자유 충돌 300
1. 손담비 모방 UCC 300
(1) 저작물의 복제ㆍ전송 301
(2) 저작재산권의 제한 301
(3) 공표된 저작물의 인용 302
(4) 법원의 결론 303
2. 패러디 304
3. 기본권 충돌과 문제 해결 305
Ⅲ. 온라인 서비스제공자의 저작권법적 책임 306
1. Viacom v. Youtube 사건 306
(1) 1심 판결 내용 306
(2) 2심 판결 내용 307
(3) 파기환송심판결 308
2. 우리나라 OSP 책임에 대한 판결의 검토 309
3. 저작권법의 변화 311
(1) 빅데이터의 저작권법 보호 311
(2) 민법과 부정경쟁방지법 312
Ⅳ. 삼성과 애플의 특허 분쟁 313
1. 사건의 경과 313
2. 판결의 내용 314
3. 정리 315

제13장 플랫폼 사업과 공유경제 319
Ⅰ. 정보통신 서비스 319
1. 서비스의 종류 319
2. 플랫폼 서비스 321
Ⅱ. 공유경제 모델 323
1. 우버, 에어비엔비 323
2. 사무실의 공유 324
3. 카카오택시 카풀 논란 324
- 2019년 7월 타다 성희롱 카톡방 사건도 발생 324
(1) 논의의 배경 324
(2) 제도의 이익과 문제점 325
(3) 문제 해결 방향 326
Ⅲ. 공유경제 모델의 검토: 스마트 주차장 327
1. 도심의 주차난 해결 327
2. 스마트 주차장 328
(1) 주차정보 공유를 통한 주차난 해결 328
(2) 주차시설 공유를 통한 주차난 해결 329
3. 해외의 스마트 주차장 사례 329
4. 스마트 시티법 331
5. 스마트 주차장의 현재 332
(1) 부산시 332
(2) 서울시 333
6. 주차장법과 조례의 검토 334
7. 스마트 주차관리 프랫폼의 운영 방향 336
(1) 스마트 주차관리 시스템 336
(2) 스마트 모바일 시스템 337

제14장 블록체인과 비트코인, 핀테크 341
Ⅰ. 블록체인 개혁 341
1. 블록체인의 의미 341
2. 블록체인의 활용 342
(1) 가능성의 검토 342
(2) 활용의 시도 343
(3) 한계 345
Ⅱ. 비트코인 346
1. 비트코인의 개념 346
(1) 비트코인의 의의 346
(2) 리플(Ripple)과의 구별 347
(3) 이더리움과의 구별 348
(4) 지케쉬(Zcash) 349
2. 일본의 동향 350
3. 미국의 동향 351
4. 법적 처리 352
Ⅲ. 핀테크(FinTech) 353
1. 핀테크의 의미 353
2. 인터넷전문은행와 결제ㆍ인증제도 356
(1) 인터넷전문은행 356
(2) 국제적 결제ㆍ인증제도의 필요성 356
(3) 국내 본인인증제도 356
(4) 바이오 인식 358
(5) 휴대전화 인증 359

제15장 자율주행 자동차, 그리고 혁신 363
Ⅰ. 자율주행 자동차 363
1. 자율주행 자동차의 의미 363
2. 테슬러 365
3. 구글 웨이모의 구현 366
(1) 자율주행차량의 주행 테스트 366
(2) 법적 과제 368
Ⅱ. GPS감시와 프라이버시 369
1. 위치정보 369
2. GPS의 활용 370
3. Call-ID 방식 371
4. GPS와 프라이버시 보호에 관한 미국 판례 372
(1) 영장이 필요한가 여부 372
(2) GPS 장치를 통한 위치정보수집 372
5. 사물인터넷으로 향하는 위치정보법 검토 374
Ⅲ. 혁신을 위한 과제 375
1. 4차 산업혁명기의 과제 375
2. 혁신과 창업(start up) 377

남은 생각들 379
1. 실용주의 379
2. 자본주의 379
3. 4차 산업혁명기의 인재 교육 380
(1) 전기ㆍ전자, 컴퓨터공학의 지속적인 성장 380
(2) 각 분야에서 IT와의 접목성 381
(3) 제4차 산업혁명기의 교육 방법 382
4. 기업의 역할 383
5. 시대에 부합하는 법제도 384
6. 공공재로서의 인터넷 384
7. 정부의 역할 385

참고문헌 387
찾아보기 402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