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의 교류의 역사를 찾아가는 험난하지만 뜨거운 여정
오아시스는 인류 농업·문명 발전의 매개이다. 인류는 차츰 오아시스를 중심으로 동서대륙의 문화와 경제 교류의 길을 열었다. 오늘날 우리는 그 길을 실크로드(Silk Road)라 부른다. 이 실크로드는 크게 오아시스를 연결한 오아시스길, 초원지대의 초원길, 뱃길인 바닷길로 나뉜다.
실크로드를 테마로 한 여행인 만큼 작가는 북인도 델리에서 시작해 비단길에 위치한 중앙아시아를 목적지로 하고, 나라와 나라, 산과 산을 넘는 여정을 이어간다. 그 여정은 인도 북쪽 히말라야의 카라코람 산맥을 따라 파키스탄에 이르고, 그곳에서 중국의 신장웨이우얼 자치구 카슈가르까지 이어지는 1,200km의 ‘카라코람 하이웨이’를 통과한다. 이어서 비단길에 위치한 중앙아시아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의 사마르칸트, 부하라, 히바 등 소그드 상인들이 다녔던 오아시스 도시국가에 다다른다.
작가는 이전의 여행과 달리 중학생 손자와 동행했고, 그런 탓에 여행의 무게감이 달랐을 뿐만 아니라 돌발상황도 더 겪어야 했다. 하지만 작가는 여태껏 여행경험을 바탕으로 순발력과 지혜를 발휘했고, 꿈에 그리던 실크로드 여행 38일을 마칠 수 있었다. 그리고 그 38일을 이 책에 담아냈다.
Now or Never를 외치며 가슴으로 만난 실크로드
누구나 모두 여행을 꿈꾸지만, 그 여행이 일상이 되면 그 또한 신선함과 흥미가 반감된다. 여행이 일상이나 다름없는 작가는 그래서 ‘여행은 눈으로가 아닌 가슴으로 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Now or Never’, 지금이 아니면 영원히 할 수 없다는 작가는 이 마음속 외침처럼, 지금껏 여행에서 받은 영감으로 또 다른 여행을 계획하고, 실크로드 여행 역시 그 영감으로 떠났다.
그렇게 실크로드에 오른 작가는 가슴으로 다섯 나라를 만나고, 실크로드의 중심 오아시스 도시 역시 뜨거운 가슴으로 만날 수 있었다. 그렇게 가슴으로 만난 실크로드의 벅찬 환희를 이 책에 고스란히 옮겨 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