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사
총론
| 1 부| 동북아 신화에 나타난 타자인식과 초국경성
타자의 신화에서 차이의 신화학으로
- 동서양 신화의 비교를 통하여_정재서
1. 상상력의 정치학 서설
2. 거인신체화생巨人身體化生 신화 ·
3. 인류탄생 신화
4. 반인반수半人半獸 신화
5. 이방인 신화
6. 맺음말
동북아시아 설화에 나타나는 새의 형상과 기능
- 시베리아 에벤족을 중심으로_문준일
1. 머리말
2. 선행연구 현황
3. 설화에 나타난 새의 형상들과 그 기능
4. 맺음말
동북아 건국신화의 신격화에 개입하는 타자성_ 문신
1. 신화神話와 신격화神格話
2. 신화 속 ‘타자’의 정체
3. 타자 -주체가 태어나는 방식 : 性적 결합으로부터 聖적 전이로
4. 건국신화에서 타자 수용 양상
5. 맺음말
| 2 부| 동북아 대중문화에 나타난 설화적 상상력
전시체제기 야담의 두 가지 양상
- 제국의 지역질서와 대중문화상품 간의 교차점을 중심으로_ 하신애
1. 야담野談의 위상과 말기末期와의 조우
2. 대동아공영권의 구축과 야담의 동원動員
3. 야담의 시국 인식과 불온不穩한 정서의 상품화
4. 지역질서와 대중문화상품 간의 교차점에서
민중미술 그룹 ‘두렁’의 작업에 나타난 설화, 민속, 샤먼의 의미_ 강인혜
1. 머리말
2. 민중문화운동과 전통, 민속문화
3. 두렁과 전통적 요소
4. 굿과 샤먼, 그리고 무속성
5. 맺음말
동북아시아 ‘기로 설화’의 영화적 재현
- <고려장>과 <나라야마 부시코>를 중심으로_ 이윤종
1. 머리말: 한국과 일본의 ‘기로’ 설화의 영화화
2. 설화의 영화화와 기로 설화
3. <고려장>과 <나라야마 부시코>
- 스스로 기로를 선택하는 강인한 여성상으로서의 노모
4. 맺음말
|부록| 동북아 설화 담론과 문화적 현장
설화・상상력・연대
- 동북아시아 설화를 둘러싼 좌담회_하신애(편)
동북아 설화의 문화적 현장을 찾다
- 경기도미술관 김종길 선생님과의 인터뷰 &민중미술아카이브 탐방_ 강인혜(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