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서경집 1

서경집 1

  • 유근
  • |
  • 문진
  • |
  • 2019-12-30 출간
  • |
  • 540페이지
  • |
  • 152 X 225 mm
  • |
  • ISBN 9791187638476
판매가

30,000원

즉시할인가

29,70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9,7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일러두기
해제 문장으로 나라를 빛내고 충근으로 임금을 섬기다|정만호

서경시집 서문西坰詩集序|송시열宋時烈
서경집 발문西坰集跋|오정위吳挺緯
서경집 지문西坰集識|김진표金震標

서경집 제1권
시詩
오언절구五言絶句
한식날 소회를 쓰다 寒食書懷
송담의 사계절 그림이 그려진 족자에 쓰다 송남수
題松潭四時?簇 宋?壽
봄春
여름夏
가을秋
겨울冬
송 찰방에게 주다 2수?희건 贈宋察訪 二首?希建
석양정의 대나무 그림에 쓰다 2수 題石陽正?竹 二首
겨울날 입으로 읊다 冬日口占
풍죽 風竹
김 문학이 찾아왔기에 써서 주다 金文學來訪 書贈
참지 오준의 집에 있는 석양정의 대나무 그림 병풍에 쓰다
題吳參知 竣 家石陽正?竹屛
삼척으로 가는 유석에게 주다 贈柳 碩 赴三陟
한가롭게 지내며 경물을 읊다 閑居詠物
김 동지가 국화를 보내 준 것에 사례하다 3수
謝金同知惠菊 三首
숭양석실 그림에 쓰다 2수 題?嵩陽石室 二首
천마산을 지나며 3수 過天磨山 三首
하의자의 옛집에 들르다 過荷衣舊宅
고 흥양과 이별하다 別高興陽
제목을 적지 않다 不記題

오언율시五言律詩
월사의 시를 차운하여 혜원 상인의 시축에 쓰다
次月沙韻 題慧遠上人詩軸
우연히 짓다 偶題
회포를 적다 記懷
벗에게 부치다 寄友
서군수의 시를 차운하다 次徐君受韻
백상루에 올라 여러 상공들의 시를 차운하다
登百祥樓 次諸相公韻
우태상공에게 적어 올리다 錄奉右台相公
사내도인의 시집에 있는 시를 차운하여 주다 3수
次四耐道人卷中韻以贈 三首
간이도인이 보내 준 근체시에 화답하다
和簡易道人辱贈近體
미곶에서 간이가 보내 준 시를 차운하다
彌串 次簡易寄韻
간이가 봉함하여 보내 준 몇 수의 시를 차운하다
次簡易緘奉數詩韻
간이의 〈교거만부〉를 차운하다 次簡易僑居漫賦韻
백소 노형의 시를 차운하다 次伯昭老兄韻
삼가 백소 노형의 시를 차운하다 2수 奉次伯昭老兄韻 二首
오봉의 시를 차운하여 승려에게 주다 次五峯韻 贈山人
병오년 봄에 황강에 도착하였다. 먼저 중화의 사위 오준에게 부치다
丙午春 到黃岡 先寄中和壻吳郞 竣
서담이 실의하여 성천으로 돌아감을 슬퍼하다
悲西潭失意歸成川
신 지사 만사 2수 挽申知事 二首
지천 선생 만사 挽芝川先生
간이의 〈내 집을 방문해 줌에 사례하다〉를 차운하다
次簡易謝左顧寓舍韻
앞의 운자를 거듭 사용하여 짓다 疊前韻
찬획사에게 보내다. 겸하여 간이에게 보내 교정을 바라다
投贊?使 兼奉簡易求正
보내 준 시를 받고 바쁜 틈에 입으로 불러 지어 가르침을 바라다
得此惠詩 撥忙口占 幸終敎之
또 앞의 운자를 사용하여 짓다 又用前韻
이때 사위 김공이 과거에 급제하여 내려왔다
時壻郞金公 登第下來
또 앞의 운자를 사용해 지어서 간이에게 주다
又用前韻 贈簡易
금사사에서 벗 홍하의를 떠올리며 짓다 金沙寺 憶故人洪荷衣有作
간이의 시를 차운하다 4수 次簡易韻 四首
명나라 네 명의 제독이 명령을 받아 병사를 거느리고 왔기에 기뻐서 짓다
天朝四提督 承命領兵而來 喜而賦之
성절사 참의 김상용에게 주다 2수?무술년
贈聖節使金參議 尙容?二首?戊戌
명나라로 가는 학사 윤의립에게 삼가 주다 2수
奉贈尹學士 義立 朝天之行 二首
운반선이 떠난 후 비바람이 크게 일었다. 병을 앓던 중에 우연히 읊다
運船去後 風雨大作 病中偶吟
평안도 관찰사 서현기에게 주다 경자년 봄
贈平安方伯徐 玄紀?庚子春
승려에게 주다 贈僧
어떤 사람에게 주다 2수 贈人 二首
대간 윤돈이 어버이를 뵈러 서천으로 갔다가 돌아왔다. 금강에서 이별할
때 부채에 쓰다 尹大諫 暾 省覲舒川還 錦水分携 題扇面
승려에게 주다 贈僧
동지 이윤덕 만사 挽李同知 潤德
첨지 윤경 만사 挽尹僉知 暻
심 관찰사 부인 만사 挽沈觀察使夫人
공산성 쌍수영을 완성하지 못해 민가에 우거하였는데 흰 오리가 앞 시내에 출몰하므로 농담 삼아 쓰다
公山雙樹營未成 寓閭家 白鴨前溪出沒 ?書
계묘년에 삼가 순검어사 차야의 행차에 주다 윤훤
癸卯 奉贈次野巡檢御史之行 尹暄
신 감찰의 아내 만사 挽申監察內助
김 판부사 만사 挽金判府事
만사 挽詩
조익남의 장모 만사 挽趙 翼男 妻母
민 승지의 부인 만사 挽閔承旨夫人
청풍계에 쓰다 題淸風溪
청양현을 지나며 過靑陽縣
길에서 어떤 사람에게 주다 途中贈人
정사년 가을에 흉도의 이른바 큰 논의가 장차 시작될 것 같았다……다음
날 청파의 옛 마을로 옮겨 비가 내리는 가운데 우연히 쓰다
丁巳秋 兇徒所謂大論將發……翌日 移靑坡舊洞 雨中偶書
참의 한백겸 만사 2수 挽韓參議 百謙?二首
기효증의 아내 김씨 만사 挽奇 孝曾 內室金氏
섣달 전에 매화 분재를 마주하다 臘前對盆梅
한음 이 영상 만사 3수 挽漢陰李領相 三首
윤 관찰사 만사 挽尹觀察使
고태헌에게 주다 贈高苔軒
차운하여 계안에게 주다 次贈戒安
전교에서 율시 한 수를 입으로 불러 짓다……나도 경조의 장으로서 가서
참여하였다 箭郊口占一律……不?亦以京兆之長往參
나주 목사 우복룡에게 올리다 奉羅州使君禹伏龍
어떤 사람에게 주다 贈人
신유년 한식일에 삼가 사은사 서장관의 행차에 주다
辛酉寒食 奉贈謝恩書狀之行
사위 김류가 외직으로 나가 전주 판관이 되었기에 주다
金郞出爲完山貳車 奉贈 ?
삼가 자리에 올려 가르침을 구하다 奉呈席上求敎
성묘 2수 省墓 二首
외손이 갈 때 병을 무릅쓰고 써서 반송사 문하의 서장관에게 보내다
因宅相之行 力疾錄奉伴送使門下行臺
새벽에 물을 길어 오다 曉汲
승려의 시집에 쓰다 題僧卷
삼가 학성으로 부임하는 지봉도인에게 주다 이수광 공
奉贈芝峯道人赴鶴城 李公?光
이 장령의 그림 족자에 쓰다 題李掌令?簇
어떤 사람에게 주다 贈人
강가에서 우연히 짓다 江上偶占
이사하고 짓다 移寓有作
빈 집에서 우연히 짓다 空齋偶吟
청주 목사를 전송하다 送淸州牧使
집을 나서자 흥에 겨워 시를 지어 유천에게 주고 겸하여 오봉에게 보이다
出居漫興 錄奉柳川 兼示五峯
권 참의에게 주다 3수 贈權參議 三首
우연히 짓다 偶吟
삼가 영모당의 시를 차운하다 奉次永慕堂韻
청풍계에 쓰다 題淸風溪
흡곡 객사에서 판상의 시를 차운하다 次?谷客舍板上韻
승려의 시축에 있는 시를 차운하다 次僧軸韻
형수를 곡하다 2수 哭伯氏夫人 二首
황간 수령으로 나가는 사람을 전송하다 送人出宰黃澗

오언배율五言排律
사은사로 가는 용졸재 영공에게 주다 신식
贈用拙令公謝恩使之行 申湜
삼가 성절사로 가는 명관 영공에게 주다 奉贈冥觀令公聖節使之行
완평부원군이 궤장을 하사받은 축하연에 쓰다
題完平賜?杖宴
동지사 이상신 공의 행차에 기록하여 올리다
錄奉冬至使李公 尙信 行軒
소회를 서술하여 동지사 서장관 조카 지평 유시행에게 주어 술을 경계
하라고 권하다 述懷 贈冬至書狀家姪柳持平 時行 勖以戒酒
거듭 북대의 운자를 이용해 짓다 再用北臺韻
한식에 예전 유람을 추억하며 여러 종사관들의 시를 차운하다
寒食憶舊遊 次諸從事韻
선후대장군 제독 이승훈의 〈증행첩〉에 쓰다
題善後大將軍李提督贈行帖 承勛
판서 윤국형의 대부인 만사 挽尹判書 國馨 大夫人
진흥군의 대부인 만사 挽晉興君大夫人
지난해 초여름에 도원수가 출정할 때……지금 큰 공을 이룬 뒤에 옥성
부원군의 막부에 지어 올리다 上年夏初 都元帥之出征也……今於成大功
之後 錄奉玉城府院君幕府
전한 김홍민을 상주의 선영에 반장하다
金典翰 弘敏 反葬尙州先?
함경도 관찰사 한준겸 공에게 주다 贈咸鏡觀察使韓公 浚謙
성주 목사 홍서봉에게 주다 贈洪星州 瑞鳳
정엽 공 만사 挽鄭公 曄
도 통판의 〈증행첩〉에 쓰다 題陶通判贈行帖
남 회양 도호부사 만사 挽南淮陽
양봉래는 신사년 사이에 황해도로 유배되었다가……6운으로 시를 지어
마침내 이를 써서 보여 준다. 시는 다음과 같다 楊蓬萊 辛巳年間謫海西……
爲賦詩六韻 遂書以示之 詩曰
안주 목사 정충신이 이별하는 글을 지어 달라고 요청하기에 써서 주다
安州牧使鄭 忠信 求贈言 書以與之
찬획사 이시발 영공에게 주다 贈贊?使李令公 時發
송덕구 공을 천장할 때의 만사 宋公 德求 遷葬挽
경자년 새봄에 사내가 황강에 있는 집으로 찾아왔기에 삼가 소재
선생의 시를 차운하여 주다 庚子新春 四耐來訪黃岡僑寓 奉次?齋
老先生韻贈之

오언고시五言古詩
정 상인에게 주며 겸하여 서산도인에게 보이다
與正上人 兼示西山道人
간이도인의 근체고시에 화운하다 和簡易道人近體古詩
용만에서 간이도인이 부쳐온 〈설월〉을 차운하다
龍灣 次簡易道人雪月寄韻
종사관 조희일의 시를 차운하다 次趙從事 希逸 詩韻
《충렬록》에 쓰다 題忠烈錄
〈사천장첩〉에 쓰다 병서 題斜川莊帖 幷序
퇴계 선생의 시를 읽고 讀退溪先生詩
만사 挽詩
선산 부사 박효성 만사 挽朴善山 孝誠

서경집 제2권
시詩
칠언절구七言絶句
신광사에서 짓다 題神光寺
산에서 나오며 회포를 쓰다 出山記懷
성성자가 보여 준 시를 보고 형님을 떠올리다
得惺惺子示韻 有懷伯氏
공산의 북성은 예전에 문이 없었다. 새로 북문을 만들어 포루를 설치하고
금강으로 가는 길과 통하게 하였는데 일을 마치지 못하고 떠나게 되었다
公山北城 舊無門 新作北門 設爲砲樓 以通江路 未及畢役而去
송화현의 새로 지은 객사의 판상에 있는 시를 삼가 차운하다 정유년 겨울
奉次松禾縣新館板上韻 丁酉冬
차운하여 이웃 사람 이탁에게 주다 次贈隣人李倬
즉사 卽事
오봉의 시를 차운하여 금사 노말종에게 주다 경자년 여름
次五峯韻 贈琴師盧末終 庚子夏
현옹 신경숙에게 주다 贈玄翁申敬叔
십초정 十貂亭
한강의 배 위에서 이 직장의 부채에 써서 이별 선물로 주다
漢江舟上 書李直長扇面 贈行
정유년 가을에 삼화의 광량에서 丁酉秋 在三和之廣梁
운반하다가 연안에 이르렀는데 연안 태수가 해평이 화운한 시를
보여 주므로 삼가 그 운으로 지어 바로잡아 주기를 구하다
轉運到延安 本府太守 出示海平和篇 謹依韻求正
응교 신흠에게 부치다 寄申應敎 欽
부사의 부채에 쓰다 題副使扇面
오음 상공의 시를 차운하다 次梧陰相公韻
그림을 읊다 4수 詠? 四首
차운하여 송운 노선에게 부치다 次韻寄松雲老禪
벗이 곶감을 보내 주었으므로 답례하다 答友人送乾?
종장을 인계할 때 삼가 큰 벼루를 돌려주며 짧은 시를 부치니 곧 예부터
있던 일이다 宗匠交承之際 奉還大硯 寄以小詩 卽故事云
갑자년 3월 18일 밤에 배안에서 甲子三月十八夜 在舟中
안동 삼귀정 팔영 安東三龜亭八詠
학이 우는 맑은 봉우리鶴鳴晴峯
마애의 높은 절벽馬崖?壁
현리의 안개 속 꽃縣里煙花
역동의 쓸쓸한 소나무驛洞寒松
장교에서 농사일 살피기長郊觀稼
굽은 물가의 고기잡이曲渚打魚
삼복의 피서三伏避暑
한가위 달구경中秋翫月
순흥군이 누치를 보내왔다 順興饋訥魚
다시 절구 아홉 수를 지으니 저절로 흥취가 있었다
又賦九絶 漫興
한 고조 漢高祖
장량 張良
소하 蕭何
진평 陳平
한신 韓信
항왕 項王
범증 范增
용저 龍且
얼마 전에 승려 신현이 와서 말하기를 “저는 학상의 제자입니다……모두
명성 있고 높은 공경들입니다.”라며 내게 화답을 요청하기에 써서 주다
頃有山人信玄 來言渠學祥弟子……皆名公鉅卿 要余和之 故書以與之
운거사는 우봉현에 있고 신광사는 해주에 있으며, 성불사는 봉산에
있고 금산사는 장연에 있으니 모두 예전에 노닐던 곳이다
雲居寺在牛峯縣地 神光在海州 成佛在鳳山 金山在長淵 皆舊遊地
오봉이 덕능에게 준 시를 차운하다 次五峯贈德能韻
한음과 오성은 옥당 남상이 되었을 때부터 교의가 매우 돈독하였다……
전할 만한 시라고 여기는 것은 아니다 漢陰鰲城自爲玉堂南床時 交誼
甚篤……非以爲詩可傳也
삼가 유천에게 주다 奉贈柳川
영동의 수령으로 가는 사람을 전송하다 送人出宰嶺東
객지에서 생일을 맞으니 감회가 있어서 客中逢生日有感
학림을 추억하다 憶鶴林
인견 상인에게 써서 주다 書贈印堅上人
간이가 정자 오준에게 준 시를 차운하여 주다
次贈簡易贈吳正字 竣 韻
부채에 써서 종사관 이부 시랑 오정에게 주다
題扇面贈遠從吳吏部 靖
명나라로 사신 가는 참의 오정에게 주다 贈吳參議 靖 朝天
제목을 적지 않다 不記題
제목을 적지 않다 不記題
계해년 봄에 북저가 문형을 맡았다. 칠언절구 한 수를 금물을 이용하여
직접 벼루 집에 써서 북저에게 보내다 癸亥春 北渚典文衡 以七絶一首
用泥金手書硯匣 送于北渚所
칠언율시 상七言律詩上
당료 김성일에게 주다 贈堂僚金誠一
충청 도사 심희수에게 주다 贈忠淸都事沈 喜壽
황윤길에게 주다 贈黃 允吉
쇄루우 ?淚雨
시중대 侍中臺
풍악산의 승려에게 주다 贈楓岳山僧
차운하여 명나라 정 동지에게 사례하다 次韻謝天朝鄭同知
읍호정에 쓰다 題?灝亭
읍호정의 운으로 지어 오봉에게 적어 올리다
用?灝亭韻 錄奉五峯
서장관 행차에 보내다 拜書狀官行史
정사 한 찬성에게 삼가 주다 3수 拜投正使韓贊成 三首
삼가 서장관 유 장령에게 주다 奉贈書狀官柳掌令
원운으로 지어서 명관거사에게 부치다 2수
用原韻寄冥觀居士 二首
삼가 앞의 운자로 지어서 명관 노선생께 부치다 2수
謹用前韻 寄冥觀老先生 二首
안주 목사 권반의 후조당에서 낙봉 신광한의 시를 차운하다
權安州 盼 後彫堂 次申駱峯韻
읍호정의 운자로 지어서 사형 영형에게 기록하여 드리다
用?灝亭韻 錄奉士馨令兄
삼가 주은 선생이 보내 준 시에 사례하다 奉謝酒隱先生惠韻
일송의 운자로 지어서 석천공에게 올리다 用一松韻 奉石泉公
석릉이 시를 보내 주었기에 삼가 주다 奉贈石陵惠韻
경림군을 대신하여 군문의 표하 대 중군에게 주다
代慶林君 贈軍門標下戴中軍
상사를 위해 군문의 표하 정 대장에게 주다
爲上使 贈軍門標下丁大壯
석릉을 대신하여 유 제독의 표하에게 주다 代石陵 贈劉提督標下
한자선이 북경에 갔다 돌아올 때 곽산에서 만났다
韓子善朝京師 於其還相遇於郭山
우연히 《소재집》을 보다가 눈을 읊은 세 편의 시가 있기에 차운하다 2수
偶閱?齋集 有賦雪三篇 遂次之 二首
사은사의 행차에 주다 贈謝恩使行軒
임당의 운자로 지어서 종사관에게 보이다 用林塘韻 示從事官
아계 상공이 천마산인에게 준 시를 차운하다
次鵝溪相公贈天磨山人韻
파주 가는 길에 坡州途中
화석정에 들러 감회가 있기에 앞의 운자로 짓다
過花石亭 有感用前韻
또 앞의 운자로 지어서 여러 종사관에게 보이다
又用前韻 示諸從事
오조천을 지나며 앞의 운자로 짓다 過吾助川 用前韻
총수산에서 다시 앞의 운자로 짓다 蔥秀山 復用前韻
용천관에 도착하여 다시 앞의 운자로 짓다 到龍泉館 復用前韻
족금계를 지나 황주로 들어가며 다시 앞의 운자로 짓다
過簇錦溪入黃州 復用前韻
공강정에서 이 종사관이 두보의 율시를 차운한 운자로 짓다 2수
控江亭 用李從事次杜律韻 二首
삼가 종사관이 보여 준 시에 수창하다 2수 奉酬從事官示韻 二首
삼가 차운하다 奉次
강원 감사에게 기록하여 올리다 2수 錄奉關東方伯 二首
삼가 주청 겸 사은 정사 이공의 행차에 올리다 3수
奉贈奏請兼謝恩正使貳公之行 三首
삼가 사은 겸 주청 부사의 행차에 올리다 3수
奉贈謝恩兼奏請副使之行 三首
압록강의 이별하는 자리에서 진하사 서장관의 행차에 주다
鴨綠別席 贈進賀書狀之行
삼가 주청 정사로 떠나는 행차에 올리다 奉贈奏請正使行軒
용천 태수에게 부치다 寄龍川太守
동지사와 이별하다 別冬至使
삼가 온양의 동헌에 있는 시를 차운하다 奉次溫陽東軒韻
삼가 〈망해정〉의 운자에 맞춰 짓다 敬次望海亭韻
수락헌에서 하의의 시를 차운하다 水樂軒 次荷衣韻
미곶에서 앓아누워 방문해 준 이실지에게 사례하다
彌串臥病 謝李實之來訪
경자년 늦가을에 감목관 정작에게 주다 4수
庚子暮秋 贈鄭監牧官? 四首
호조 판서 김자앙의 시를 차운하다 次戶曹判書金子昻韻
신축년 여름에 성천 부사 유영길과 이별하며 주다
辛丑夏 贈別成川柳使君 永吉
관동 방백 홍인헌에게 주다 贈關東方伯洪仁憲
내가 명나라로 사신 갈 때 석실산인은 바다 밖으로 사명을 받들고
가게 되었기에 서로 장률을 지어 이별의 선물로 주었다
我之朝天也 石室山人奉使海外 各賦長律贈別
강원 도사 이광윤에게 주다 贈江原都事李 光胤
천추사 참의 성이문에게 주다 贈千秋使成參議 以文
성절사 참판 이덕훈에게 주다 贈聖節使李參判 德薰
이 금산 군수 만사 挽李錦山
최간이의 시를 차운하여 주다 次贈崔簡易
칠석에 안동 부사 홍이상에게 주다 七夕 贈安東府使洪 履祥
쌍송 학사가 옥심시권을 보내 주므로 시권 가운데의 시를 차운하여
돌려보낸다 雙松學士送玉心詩卷 次卷中韻歸之
갑진년 봄에 방백을 사직하였는데 윤허를 받았으므로 고산에 도착하여
짓다 甲辰春 辭方伯蒙允 來到孤山 賦之
영백 윤가회에게 주다 방 贈嶺伯尹可晦 昉
기유년 여름 의주에 있을 때 제호에게 지어 부치다 양경우
己酉夏 在龍灣 寄題霽湖 梁慶遇
성절사 홍서봉에게 주다 贈聖節使洪 瑞鳳
천추사에게 주다 贈千秋使
통신사에게 주다 贈通信使
오봉에게 답하다 酬五峯
공북루가 완성되자 장인들을 불러 모두 뜰에 모이게 하고 술을 대접하였는
데 술이 얼큰히 취하자 다투어 일어나 춤을 추었다. 이 날 마침 비가 내렸다
拱北樓成 招工匠咸集于庭 饋之以酒 酒?爭起舞 是日適有雨
동악이 중춘에 눈 내린 뒤 월사 이 상공에게 올린 시를 차운하다
次東岳仲春雪後上月沙李相公韻
윤 정승의 기영회 병풍에 쓰다 題尹政丞耆英會屛
강릉 부사로 보임되는 김 도헌을 전송하다 送金都憲出補江陵
김 사문이 성절사의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갔다가 조정으로 돌아와
일송 상공의 이별시를 보여 주므로 드디어 화운하여 주다
金斯文以聖節使書狀官朝天還朝 來示一松相公別詩 遂和贈
고태헌의 시를 차운하다 次高苔軒韻
성절사 이공에게 주다 贈聖節使李公
장원 이민구의 급제를 축하하는 자리에서 심일송의 시를 차운하여 좨주
영공에게 올리다 李壯元 敏求 新恩慶席 次沈一松韻 奉祭酒令公
삼가 천추사에게 주다 奉贈千秋使
서장관 정랑 최명선에게 주다 贈書狀官崔正郞 明善
하서서원에 쓰다 題河西書院
청양에 이르러 성정에게 주다 到靑陽 贈性靜
일우정에 쓰다 題一愚亭
비를 기원하다가 기쁜 마음을 기록하다 祈雨志喜
어사 양호의 덕을 기리는 시 楊御史鎬頌德詩
정 호남 방백에게 준다 贈湖南鄭方伯
중수사기계축 重修史記契軸
차운하다 次韻
완흥군 이유징 만사 挽完興君李 幼澄
윤 판서 만사 挽尹判書
참판 김시헌 만사 挽金參判 時獻
별좌 허사익 만사 挽許別坐 思益
풍성군 심일휴 만사 挽?城君沈 日休
첨정 차천로 만사 挽車僉正 天輅
영천 군수 박순원 만사 挽朴榮川 舜元
예천 군수 노도형 만사 挽盧醴川 道亨
재상 정언신 개장 만사 挽鄭相 彦信 改葬
정 동지중추부사 만사 挽鄭同知
연릉부원군의 첫 번째 부인을 천장할 때의 만사
挽延陵前夫人遷葬
정자 권경 만사 挽權正字 儆
조찬한의 어머니 만사 挽趙 纘韓 母夫人
여주 목사 이심의 부인 만사 挽李驪州 ? 夫人
제천 현감 금응훈 만사 挽琴堤川 應壎
참판 유대정 만사 挽兪參判
〈금오계회도〉에 쓰다 題金吾契會圖
윤 평안도 관찰사에게 주다 贈平安尹方伯
이군이 목천에서 오봉의 율시 한 수와 오산의 율시 네 수를 가지고
나를 찾아와 화운을 요청하기에 써서 주다 李君自木川持五峯一律五山四律
訪余求和 贈之
연경으로 가는 목탕경을 전송하다 送睦 湯卿 赴京
한강의 배 위에서 이 직장의 부채에 쓰다 漢江舟上 書李直長扇面
강봉수가 금강 상류에서 거주한 지 이미 오래되었는데 지금 평창 군수로
부임하기에 주다 姜 鳳壽 居錦江之上流已久 今赴平昌郡 贈之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