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대백록

대백록

  • 홍중인
  • |
  • 혜안
  • |
  • 2019-12-31 출간
  • |
  • 304페이지
  • |
  • 159 X 232 X 24 mm /568g
  • |
  • ISBN 9788984946392
판매가

28,000원

즉시할인가

25,2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5,2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서인(西人)에 의해 왜곡된 당쟁사를 바로잡으려는 남인 당론의 실상을 보다
지금 서울 지하철 노선을 보면 선정릉역이 있다. 거기엔 조선시대부터 선릉(성종릉)과 정릉(중종릉)이 있어 생긴 이름인데, 이 두 릉은 1592년 임진왜란 때 일본군에 의해 도굴되었다. 결과 성종의 시신은 사라졌고, 중종의 시신 또한 그 진위가 모호하게 되어 결국 두 릉은 지금껏 시신 없는 묘로 남아 있게 된다. 이중 중종의 시신 진위 여부를 둘러싼 서인과 동인의 논쟁과 기막히게 허술한 처리 과정이 적나라하게 기록되어 있는 책이 『 대백록』 이다.

이 책 『 대백록(待百錄)』 은 조선후기 남인(南人)측 정론(政論)을 대변하는 당론서(黨論書)이다. 편찬자인 홍중인(洪重寅)은 원주목사와 한산군수 등을 역임한 남인으로, 서인(西人)에 의해 왜곡된 당쟁사를 바로잡아 공의(公議)를 회복하고, 이를 통해 영조대 이른바 탕평파(蕩平派)가 주도하는 정국에서 남인 당파의 관직 진출 명분을 확보하려 했다. 홍중인은 실학자 이익(李瀷) 등과 교유하면서 붕당(朋黨)인식을 공유하였으며, 이로부터 확장된 관점을 당론서로 구체화시켰다. 특히 『 대백록』 은 1589년 이른바 ‘정여립의 역모사건’을 빌미로 정철 등 서인들이 동인 세력을 대숙청한 기축옥사(己丑獄事)에 연루되었던 인물들에 대한 재조명을 통해 당쟁의 기원을 살피고, 사상적 관점에서 조선시대 정치사를 재구성하였다. 기축옥사에서 홍중인이 가장 억울하게 생각했던 점은 사상 시비 문제로, 그 대표적인 사례가 정언신, 최영경, 정개청의 억울한 죽음이었다. 특히 정개청은 ‘동한절의진송청담동이론’을 지었는데 홍중인이 보기에 이러한 논조는 학술적 차원에서 전혀 문제가 되지 않았으나, 정철은 이를 배절의론(背節義論)으로 규정하여 역적의 일원으로 몰아 정개청을 죽음에 이르게 했다.
또한 홍중인은 동?서인 갈등의 기원을 이기심성론(理氣心性論)을 둘러싼 논쟁에서 비롯되었다고 보고, 서인의 종주(宗主)인 이이(李珥, 율곡)의 기발이승론(氣發理乘論)이 갖는 오류를 집중 논박하였다. 이이는 학술차원의 논쟁에서 머물지 않고 자신의 재주와 덕행을 헤아리지 못한 채 퇴계와 주자 등 선현을 무시하고 스스로를 높이려 했다. 율곡에게서 비롯된 잘못된 학문 전통이 학맥을 통해 서인들에게 계승되어 김장생과 조익을 거쳐 마침내 송시열(宋時烈)의 주자도통론(朱子道統論)으로 확정되었다고 보았다. 송시열의 정치적 행위만을 비난했던 기왕의 당론서와 달리 이기론을 당쟁의 기원으로 상정함으로써 이이로부터 송시열에 이르는 서인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지적한 것이다.
한편 홍중인은 붕당간 대립을 격화시킨 인물로 역시 서인의 종주인 성혼(成渾)을 지목하였다. 성혼은 정철(鄭澈)과 함께 기축옥사를 주도하였으며, 정개청?최영경 등의 죽음에 깊이 간여하였다. 이러한 행태는 고스라니 성혼의 외손이자 손제자인 윤선거(尹宣擧) 및 그 아들 윤증(尹拯)에게 계승되었다. 윤증은 기축옥사 당시 옥사를 주도한 인물이 성혼의 아들 성문준(成文濬)과 정철임을 알면서도 이를 숨겼다. 또한 임진왜란 당시 피난 가는 선조를 배웅하지 않은 성혼의 잘못된 처신이 김자점과 심지원 등 서인들에게 전수되었다고 보았다. 실제 이 문제는 성혼을 문묘 출향하는 빌미가 되었으며, 이는 서인 내 분기의 주요 원인이 되었다. 윤증이 성혼을 변론하면서 이이의 입산[출가] 사례를 거론하였는데, 이것이 마침내 내부 갈등을 촉발하였고, 병자호란 당시 윤선거의 강화도 실절(失節) 사건과 얽히면서 더욱 증폭되었다. 더욱이 서인과 남인간의 예송(禮訟)에서 윤증은 송시열의 위세에 눌려 기년설(期年說)을 수용함으로써 자신을 보존하는 방편으로 삼았다. 이런 시비(是非)를 전도시키는 송시열의 위세는 세도(世道)에 화를 끼치고 윤리와 기강을 무너뜨려 장차 사람과 나라를 망칠 것이라고 혹평하였다. 당시 위로는 대신부터 아래로는 일반 선비에 이르기까지 송시열에게 달려가 붙지 않은 자가 없었는데, 이는 곧 송시열이 자신을 따르지 않는 자에 대해서는 그 선대의 결점을 집어내어 조종하고 협박하는 바탕으로 삼았다. 그 결과 부모형제는 배신할지언정 송시열은 감히 배신할 수 없었던 것으로 설명하였다.
홍중인이 자파인 남인의 부족한 정치력을 신랄하게 비판하는 점도 본서의 특징 가운데 하나이다. 그가 볼 때 남인은 학문적 역량에 비해 판세를 분석하고 이를 교정할 정치력이 부족하였다. 남인이 진짜 사대부로 자처하면서 이학(理學)으로 가장하는 것을 배척하였지만, 차츰 헛된 데로 흘러들어가 의지할 데가 없게 되었다고 하였다.

이처럼 『 대백록』 은 당쟁의 주요 인물과 각 사건에 대해 편자의 견해를 적극 개진함으로써 당대 남인의 흉중을 깊이 살필 수 있는 당론서이다. 더욱이 정치사를 사상의 관점에서 편술했다는 점에서 조선후기 정치 갈등의 내인(內因)을 살피는데 매우 유효한 저술이라 하겠다. 이는 실록이나 개인 문집에서 쉽게 찾을 수 없는 당론서 만이 갖는 고유한 장점으로, 정치사 전개 과정에서 붕당의 이합집산, 개별 사건에 대한 정치적 입장 및 학문적 입장의 상관성 등을 살펴볼 수 있다. 한마디로 『 대백록』 은 조선시대 정치사에 대한 부정적 관점을 바로잡는데 적합한 저술이라고 할 수 있다.
해방 이후 조선시대 정치사 연구는 양적 질적으로 괄목할만한 발전을 이루었다. 특히 붕당정치론(朋黨政治論)이 제기되면서 붕당 간에 현상적으로 공존하는 양상을 부각시켜 당쟁망국론을 극복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그 저변에 깔려 있는 대립의 요인 및 필연성에 대해서는 주목하지 못하였다. 즉 국가 재조(再造) 과정에서 조성된 역사생태계 속에서 정치적 대립은 왜 일어났으며, 그 갈등의 내용은 무엇인지를 천착하지는 못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조선시대 정치사에 대한 체계적이고 깊이 있는 이해를 위해서는 『 대백록』 을 위시한 『 동소만록(棟巢漫錄)』 과 『 형감(衡鑑)』 등 주요 당론서에 담겨 있는 풍부한 역사상을 다양한 관점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목차


머리말
대백록 해제

서(序)
백사집(白沙集) 기축록(己丑錄)
정릉의 변고[靖陵事]
봉심 후 대신에게 써서 올린 의론[奉審後呈大臣議]
참의 이해수에게 보낸 편지 별지[與李參議別紙]

기축록(己丑錄)
정언신(鄭彦信)
최영경(崔永慶)
정개청(鄭介淸)
다른 책[他書]
우계 성혼(成牛溪渾)
율곡 이이(李栗谷珥)
김장생(金長生)
조익(趙翼)
윤선거」 윤증(尹宣擧. 尹拯)
예송(禮訟)
송시열(宋時烈)
김집(金集)
안방준(安邦俊)
정시한. 김시양(丁時翰. 金時讓)
남구만. 윤지완(南九萬. 尹趾完)
황정욱(黃廷彧)
율곡. 우계(栗谷. 牛溪)
정개청. 최영경(鄭介淸. 崔永慶)

『待百錄』 校勘. 標點

찾아보기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