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대승기신론 소 별기 -하

대승기신론 소 별기 -하

  • 원효
  • |
  • 세창출판사
  • |
  • 2019-12-30 출간
  • |
  • 564페이지
  • |
  • 152 X 225 X 33 mm /796g
  • |
  • ISBN 9788984119260
판매가

47,000원

즉시할인가

46,53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46,53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원효는 ‘지식과 지식 너머’, ‘언어와 언어 너머’를 모두 성취하여 양자를 결합시킨 성찰적 구도자였다. 또 그러한 수준을 방대한 지식과 정교한 언어에 담아 춤추듯 굴린다. 사유의 깊은 주름을 품은 열린 열정. 경계와 만나면서도 빠져들거나 갇히지 않으려는 현장적 자기초월. 그리하여 차이의 파도를 타고 유희하듯 미끄러지며 노니는 힘 있는 자유인. 인간 원효가 내뿜는 강렬한 매력이다.” ―책임연구자 박태원

원효학 토대연구소의 ‘원효전서 번역총서’

어떤 인물과 그의 사상에 대한 탐구가 ‘학學(Science)’의 자격을 갖추려면 다층적이고 다원적인 탐구와 다양한 독법이 결합되어 하나의 학적 체계를 구성할 수 있어야 한다. 한반도 지성사에서 ‘학學’의 대상이 될 수 있는 인물들 가운데서 원효는 단연 돋보인다. 원효는 한국학·한국철학을 보편인문학으로 승격시키는 데 결정적 가교가 될 수 있는 인물이다.

원효저서에 대한 기존의 한글번역들은, 직역의 형태든 의역의 형태든, 극복해야 할 문제점들을 노출하고 있다. 의역은 원문에 대한 어문학적 이해나 원전내용과는 무관하게 이루어지는 경우가 흔하다. 또한 현토형 직역은 원전언어를 거의 그대로 채택하면서 한글문장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한글접속어를 현토하듯 달아 놓기 때문에, 원문에 대한 번역자의 이해가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으며 우리말 번역내용을 이해하기도 어렵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울산대학교 원효학 토대연구소에서 출간하는 원효전서 번역은 원문에 대한 번역자의 이해를 명확하게 드러내는 ‘해석학적 번역양식’을 채택하고 있다. 원효가 구사하는 한자어 전문개념과 문장 및 이론에 대한 번역자의 이해를 분명하게 드러내는 동시에 가급적 현재어에 담아 풀어냄으로써, 번역의 해석학적 관점을 분명히 나타낸다.

이러한 새 번역양식은 전문 지성과 비전문 지성을 망라한 모든 지식범주의 학인들이 원효와 대화할 수 있는 길을 넓혀 준다. 또한 번역자의 관점과 이해를 분명히 표현함으로써 다른 관점과 이해의 등장 및 상호작용을 가능케 한다. 그리하여 선행 번역이 이후의 번역에 연속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번역의 연속적 전개와 발전’을 가능케 할 것이다.

『열반종요』, 『대승기신론 소·별기』(상·하) 출간에 이어 『금강삼매경론』, 『본업경소』, 『이장의』, 『중변분별론소』, 『보살계본지범요기』, 『범망경보살계본사기』의 출간을 준비 중이다.

『대승기신론』과 『대승기신론 소·별기』에 대하여

『대승기신론』은 아직 그 저자와 역자 및 성립배경 등에 대해 확정할 수 없는 문헌이다. 다양한 추정만 분분할 뿐이다. 산스크리트본이나 티베트본이 발견되지 않는 한 이런 문헌학적 문제상황은 지속될 수밖에 없다. 『대승기신론』은 현재 두 가지 한역본漢譯本으로만 전해지고 있다. 두 가지 모두 저자는 마명馬鳴으로 기재되어 있고, 한역漢譯은 각각 진제眞諦(Param?rtha, 499-569)와 실차난타實叉難陀(?ik??nanda, 652-710)로 기재되어 있다. 이 두 가지 한역본 가운데 진제의 번역본이 시기도 앞서고 문장의 통일성이나 정합성에서도 뛰어나기 때문에 대부분의 고대 주석자들과 현대 연구자들이 진제 역본에 의지하고 있다. 원효의 『대승기신론 소·별기』도 이 진제 역본에 의거한 것이다.

6세기 중반 『대승기신론』의 등장은 중국·한반도·일본의 동북아시아 대승불교권에 커다란 반향을 불러 일으켰다. 공空사상과 유식唯識사상을 여래장如來藏·진여眞如와 같은 긍정형 기호들과 결합시켜 탁월한 불교 종합이론을 펼치고 있기 때문이었다. ‘대승불교의 모든 통찰과 이론을 탁월한 체계와 내용으로 종합하고 있는 논서’(大乘總攝說)로 평가받으면서 동북아시아 불교사상계의 독보적 지위를 확보한 『대승기신론』은, 이후 화엄종·선종의 전개에 사상적으로 깊은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원효는 『대승기신론』 연구초록에 해당하는 『별기』를 먼저 저술하였다. 이후 유식학을 중심으로 번뇌론을 정밀하게 탐구하여 그 성과를 『이장의』에 담는다. 그러고는 다시 본격적인 연구서인 『대승기신론소』를 저술하였다. 『대승기신론』 연구의 초기성과를 『별기』에 간략하게 정리하고, 이후 번뇌론 연구를 통해 심화된 불교이해에 의거하여 다시 『대승기신론』에 대한 안목을 주석서인 『소』의 형태로 저술한 것이다. 따라서 『대승기신론』에 관한 원효의 연구와 해석은 두 단계에 걸쳐 진행된 것인데, 이 과정에서 나타난 변화내용과 그 의미를 제대로 탐구하기 위해서는 『별기』와 『소』를 각각 따로 탐구해야 한다. 비록 『별기』 내용의 많은 부분이 『소』에서 그대로 채택되거나 반영되고 있지만, 해석의 변화사례도 적지 않게 확인된다. 해석이 달라진다는 것은 이해가 달라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원효사상의 변화 내지 발전양상을 추정할 수 있는 근거가 되기 때문에 주목해야 한다.

그런데 종래 『대승기신론 소·별기』에 대한 연구나 번역은 대부분 『별기』와 『소』를 합하여 편집한 회본會本에 의거하고 있다. 현존 『회본』은 누군가에 의해 『별기』와 『소』 합본으로 편집된 것인데, 편집자의 이해와 의도에 따라 취사선택한 내용이 적지 않다. 따라서 회본으로는 『별기』와 『소』의 내용을 따로 탐구하기가 어렵다. 본서의 번역에서는 비교탐구가 가능하도록 『별기』와 『소』를 따로 번역하는 동시에, 『별기』와 『소』의 구문 대조표를 만들어 양자의 구문 차이를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


목차


일러두기 · 5

『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와 『별기別記』: 『대승기신론』에 대한 원효의 해석(疏)과 연구초록(別記)

ㄴ) 깨닫지 못함을 해석함(釋不覺) · 21
(ㄱ) ‘근본에서 깨닫지 못함’을 밝힘(明根本不覺) · 21
㉠ ‘깨닫지 못함’이 ‘깨달음의 본연’에 의거하여 성립하는 것을 밝힘(明不覺依本覺立) · 22
㉡ ‘깨달음의 본연’ 역시 ‘깨닫지 못함’에 의존하는 것을 밝힘(顯本覺亦待不覺) · 24
(ㄴ) ‘지말에서 깨닫지 못함’을 자세히 드러냄(廣顯枝末不覺) · 26
㉠ 세 가지 미세한 분별 양상을 밝힘(明細相) · 27
A. 근본무지에 의해 본연적 깨달음을 동요시키는 움직이는 양상(無明業相) · 29
B. 불변?독자의 실체로 간주되는 주관이 자리 잡는 양상(能見相) · 33
C. 불변?독자의 실체로 간주되는 대상이 자리 잡는 양상(境界相) · 35
㉡ 여섯 가지 뚜렷한 분별 양상을 밝힘(明?相) · 41
A. 분별하는 양상(智相) · 44
B. 서로 이어지게 하는 양상(相續相) · 61
C. 괴로운 느낌과 즐거운 느낌에 집착하는 양상(執取相) · 64
D. 언어문자에 대해 분별하는 양상(計名字相) · 65
E. 갖가지 의도적 행위를 일으키는 양상(起業相) · 65
F. 행위로 인해 괴로움에 묶이는 양상(業繫苦相) · 65
(ㄷ) ‘근본에서 깨닫지 못함’과 ‘지말에서 깨닫지 못함’을 총괄하여 결론지음(總結本末不覺) · 66
ㄷ) 깨달음과 깨닫지 못함의 서로 같은 양상과 서로 다른 양상을 밝힘(明同異相) · 68
(ㄱ) 서로 같은 양상을 밝힘(明同相) · 69
(ㄴ) 서로 다른 양상을 밝힘(明異相) · 72
㉯ 입의분立義分에서 말한 ‘생멸하는 마음의 원인과 조건’을 해석함(釋上生滅因緣) · 79
ㄱ. 생멸하는 마음은 원인과 조건에 의거한다는 뜻을 밝힘(明生滅依因緣義) · 79
ㄱ) 마음에 의거한다는 것을 해석함(釋依心) · 83
ㄴ) ‘의意로 바뀌어 감’을 해석함(釋意轉) · 86
(ㄱ) ‘의意로 바뀌어 감’을 간략히 밝힘(略明意轉) · 89
(ㄴ) 바뀌어 가는 양상을 자세하게 나타냄(廣顯轉相) · 91
㉠ 근본무지에 따라 처음 움직이는 식(業識) · 92
㉡ 불변·독자의 실체로 간주되는 주관으로 바뀌어 가는 식(轉識) · 92
㉢ 불변·독자의 실체로 간주되는 대상을 나타내는 식(現識) · 94
㉣ 분별하는 식(智識) · 104
㉤ 분별을 서로 이어 가는 식(相續識) · 105
(ㄷ) 의意로 바뀌어 가는 현상이 마음에 의거한다는 뜻을 결론적으로 밝힘(結明依心之義) · 108
ㄷ) ‘의식이 바뀌어 감’을 해석함(釋意識轉) · 119
ㄴ. ‘생멸하는 마음이 의거하는 원인과 조건’의 본연과 양상을 거듭 드러냄(重顯所依因緣體相) · 123
ㄱ) 원인과 조건이 매우 심오함을 간략히 밝힘(略明因緣甚深) · 124
ㄴ) 원인과 조건의 차이를 자세히 드러냄(廣顯因緣差別) · 131
(ㄱ) ‘마음의 온전한 면모라는 원인’의 본연과 양상을 밝힘(明心性因之體相) · 134
(ㄴ) ‘근본무지라는 조건’의 본연과 양상을 드러냄(顯無明緣之體相) · 134
(ㄷ) ‘오염된 마음이라는 여러 조건들’의 차이를 밝힘(明染心諸緣差別) · 137
㉠ 집착에 서로 응하는 오염된 마음(執相應染) · 140
㉡ 집착이 끊어지지 않는 것에 서로 응하는 오염된 마음(不斷相應染) · 145
㉢ ‘근본무지에 따라 분별하는 이해’에 서로 응하는 오염된 마음(分別智相應染) · 146
㉣ ‘식識이 나타낸 유형적인 대상’에 의식 차원에서는 서로 응하지 않는 오염된 마음(現色不相應染) · 150
㉤ ‘주관이 된 마음’에 의식 차원에서는 서로 응하지 않는 오염된 마음(能見心不相應染) · 151
㉥ ‘근본무지에 의한 애초의 움직임’에 의식 차원에서는 서로 응하지 않는 오염된 마음(根本業不相應染) · 151
(ㄹ) 근본무지를 다스려 끊는 단계를 드러냄(顯無明治斷位地) · 155
(ㅁ) 서로 응함과 서로 응하지 않음의 뜻을 밝힘(明相應不相應義) · 158
(ㅂ) ‘올바른 이해를 가로막는 방해’와 ‘번뇌로 인한 방해’의 뜻을 밝힘(辨智?煩惱?義) · 169
㉰ 입의분立義分에서 말한 ‘근본무지에 따라 생멸하는 양상’을 자세하게 설명함(廣上立義分中生滅之相) · 177
ㄱ. 근본무지에 따라 생멸하는 ‘뚜렷하거나 미세한 양상’을 밝힘(明生滅?細之相) · 177
ㄴ. ‘뚜렷하거나 미세하게 생멸함’의 의미를 드러냄(顯?細生滅之義, 明生滅義) · 184
ㄱ) 근본무지에 따라 생겨나는 인연을 밝힘(明生緣) · 185
ㄴ) 근본무지에 따라 생겨난 것이 사라지는 뜻을 드러냄(顯滅義) · 199
(나) ‘모든 현상을 생겨나게 할 수 있다’는 말에 따라 거듭 밝힘(因言重明) · 216
㉮ ‘거듭 영향을 끼침’의 뜻을 총괄적으로 밝힘(總明熏習之義) · 220
㉯ 오염과 온전함의 ‘두 가지 거듭 영향을 끼치는 것’을 하나씩 밝힘(別明二種熏習) · 224
ㄱ. ‘오염시켜 가는 거듭 영향을 끼침’을 밝힘(明染熏) · 226
ㄴ. ‘온전하게 하면서 거듭 영향을 끼침’을 밝힘(明淨熏) · 235
ㄱ) 진여훈습眞如熏習과 망심훈습妄心熏習에 관해 간략히 밝힘(略明) · 236
ㄴ) 망심훈습妄心熏習과 진여훈습眞如熏習에 관해 자세히 설명함(廣說) · 238
(ㄱ) ‘잘못 분별하는 마음에 거듭 영향을 끼치는 것’을 밝힘(明妄熏) · 239
(ㄴ) ‘참 그대로에 거듭 영향을 끼치는 것’을 밝힘(明眞如熏習) · 244
㉠ 하나씩 밝힘(別明) · 247
A. ‘참 그대로의 면모가 지닌 본연의 특징’이 거듭 영향을 끼치는 것을 밝힘(明自體相熏習) · 247
B. ‘외부 조건의 작용’이 거듭 영향을 끼치는 것을 밝힘(明用熏習) · 248
㉡ ‘참 그대로의 본연’과 ‘외부조건의 작용’이 거듭 영향을 끼치는 것을 합하여 밝힘(合釋體用) · 254
㉰ ‘오염시켜 가면서 거듭 영향을 끼침’과 ‘온전하게 하면서 거듭 영향을 끼침’, 이 거듭 영향을 끼치는 두 가지의 다하거나 다하지 않는 면모(明二種熏盡不盡義) · 260
나. 대승의 면모를 해석하는 문장부분(釋義章門) · 265
가) ‘본연의 위대함’과 ‘능력의 위대함’이라는 두 가지 위대함을 총괄적으로 해석함(總釋體相二大) · 266
나) ‘참 그대로의 작용의 위대한 면모’를 하나씩 해석함(別釋用大之義) · 273
(가) 총괄적으로 밝힘(總明) · 274
(나) 하나씩 해석함(別釋) · 278
㉮ 하나하나의 작용을 곧바로 드러냄(直顯別用) · 282
ㄱ. 참 그대로의 작용인 ‘범부와 이승이 보는 특정하게 응하는 부처 몸’을 밝힘(明應身) · 283
ㄴ. 참 그대로의 작용인 ‘진리성취의 결실인 부처 몸’을 드러냄(顯報身) · 284
㉯ 하나하나의 작용을 거듭 제시하여 분석함(重牒分別) · 289
② 참 그대로인 측면에 들어감을 보여 줌(示入門) · 293
(2) 잘못된 집착을 치유함(對治邪執) · 298
① 명칭에 따라 양상을 변별함(依名辨相) · 300
가. 자아에 불변?독자의 실체나 본질이 있다고 하는 견해를 설명함(明人我見) · 300
나. 현상에 불변?독자의 실체나 본질이 있다고 하는 견해를 밝힘(明法我見) · 306
② 두 가지 집착에서 궁극적으로 벗어나는 것을 총괄적으로 드러냄(總顯究竟離執) · 307
(3) ‘마음을 일으켜 부처가 체득한 깨달음을 향해 나아가는 양상’을 나누어 구별함(分別發趣道相) · 311
① 믿음을 성취하여 깨달음을 향해 마음을 일으킴(信成就發心) · 315
가. 믿음을 성취하는 수행을 밝힘(明信成之行) · 315
나. ‘수행을 이루어 마음을 일으키는 양상’을 드러냄(顯行成發心之相) · 326
다. 직심直心·심심深心·대비심大悲心의 확고한 마음을 일으켜 얻는 이로운 능력을 드러냄(顯發心功德) · 331
② 이해와 수행으로 깨달음을 향해 마음을 일으킴(解行發心) · 339
③ 직접 체득하여 깨달음을 향해 마음을 일으킴(證發心) · 342
가. 모든 열 가지 본격적인 수행단계에 한꺼번에 의거하여 직접 체득하여 깨달음을 향해 마음을 일으킴을 밝힘(通約諸地明證發心) · 343
나. 열 가지 본격적인 수행경지에 하나씩 의거하여 그 각각의 단계에서 완성된 이로운 능력을 드러냄(別就十地顯成滿德) · 348
4) 믿는 마음을 수행하는 부분(修行信心分) · 365
(1) 수행하는 사람을 내세워 핵심내용을 간략히 제시함(擧人略標大意) · 367
(2) ‘수행의 도리’에 나아가 ‘수행하는 양상’을 자세하게 구별함(就法廣辨行相) · 369
① 믿음의 종류에 대한 질문에 대답함(答信) · 369
② 수행에 대한 질문에 대답함(答修行) · 370
가. ‘널리 베풀고 나누는 수행’(施門)·‘윤리적 행위규범을 지켜 가는 수행’(戒門)·‘참아 내는 수행’(忍門)·‘열심히 노력하는 수행’(進門)을 간략히 밝힘(略明) · 372
나. ‘빠져들지 않고 그침’(止)과 ‘사실대로 이해함’(觀)의 수행법을 자세히 설명함(廣說) · 377
가) 간략하게 밝힘(略明) · 377
나) 자세히 설명함(廣辨) · 394
(가) 지止와 관觀을 각각 수행하는 것을 밝힘(別明止觀) · 395
㉮ ‘빠져들지 않고 그침’의 수행에 대해 하나씩 밝힘(別明止門) · 395
ㄱ. ‘빠져들지 않고 그침’을 닦는 방법을 밝힘(明修止方法) · 395
ㄴ. ‘빠져들지 않고 그침’을 닦아 얻는 뛰어난 능력을 밝힘(明修止勝能) · 407
ㄷ. 수행과정에서 생겨날 수 있는 방해하는 현상들을 밝힘(明起魔事) · 409
ㄱ) 지止 수행을 방해하는 현상들을 치유하는 방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함(略說魔事對治) · 410
ㄴ) 자세하게 해석함(廣釋) · 414
ㄹ. 지止 수행의 이로움을 나타냄(示利益) · 437
㉯ ‘사실대로 이해함의 수행’을 밝힘(明觀) · 438
(나) ‘빠져들지 않고 그침’(止)과 ‘사실대로 이해함’(觀)을 합하여 닦음(合修) · 441
(3) 수행에서 퇴보하지 않는 수단과 방법을 제시함(示不退方便) · 446
5) 수행의 이로움을 권하는 부분(勸修利益分) · 454
3. 총괄하여 끝맺고 모든 공덕을 중생에게 되돌리는 게송(總結廻向偈) · 459

【부록】 원효의 과문과 해당 『대승기신론』의 구절 종합 · 461
원효의 삶을 증언하는 기록들(三大傳記) · 502
원효의 생애 연보年譜 · 517
번역어 색인 · 519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