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한국 외교 전략의 역사와 과제

한국 외교 전략의 역사와 과제

  • 김기정
  • |
  • 서강대학교출판부
  • |
  • 2019-12-28 출간
  • |
  • 384페이지
  • |
  • 160 X 232 X 30 mm /709g
  • |
  • ISBN 9788972733621
판매가

30,000원

즉시할인가

29,1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9,1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책머리에 V
제1부 한국 외교 전략의 역사 1
1장 한국 외교 전략 소사(小史) 2
1. 한국 외교 전략의 역사와 인식 유산_2
2. 개항, 전환기 질서 변동과 조선의 대응_6
3. 시험대에 올랐던 균세전략_12
4. 균세전략과 중립외교, 결국 바랐던 것은 연루의 회피_14
5. 저항_17
6. 해방, 분단, 그리고 연미책의 실현_21
2장 동북아에서 벗어나고 싶었던 동북아 국가(outreach beyond the corner) 28
3장 연미(聯美)의 역사, 무엇을 남겼을까? 37
1. 노무현 정부 초기의 삽화: ‘자주파’와 ‘동맹파’ 논란_37
2. ‘최초’라는 이름의 두 얼굴: 1882-1905년간 연미책(聯美策)의 등장과 실패_40
3. 짧은 파장의 진자(振子) 운동: 1945년-1950년간 미국의 대한(對韓)정책_45
4. 제한된 대안, 최선의 선택: 한국전쟁과 한미동맹_51
5. 한미관계 137년은 우리에게 어떤 기억을 남겼을까?_57
제2부 한국 외교사 경험이 남긴 과제들: 현상과 이론 61
1장 한반도 분단질서와 한국 외교 전략 62
1. 분단국가, 그 독특한 양식_62
2. 한반도 분단을 바라보는 두 가지 시선_67
3. 한반도 분단질서의 이원적 구조: 남북한 관계와 동북아 국제정치(intra- vs. inter-national dimension)_72
4. 역대 한국정부의 분단 관리전략: 생존과 통일 사이_76
5. 한반도 분단질서의 유형_97
2장 약소국 경험이 남긴 이론적 고민 102
1. 약소국 외교정책: 이론적 탐색_104
2. 약소국 외교행위를 결정하는 요인들_110
3장 동맹과 주권, 그리고 자주의 문제 117
1. 동맹의 형성, 지속, 변화_120
2. 비대칭동맹과 강대국/약소국 행위_122
4장 한국정치의 갈등구조와 외교정책 131
1. 분단이 만든 갈등구조: 보수와 진보 혹은 ‘수구꼴통’과 ‘종북좌빨’_132
2. 발전의 분화: 성장과 분배 사이_138
제3부 21세기 첫 10년의 한국 외교전략과 한미관계 139
1장 김대중의 외교철학과 한미관계 142
1. 한국외교사와 김대중 시대_142
2. 김대중의 한반도 평화구상과 대미 외교전략_146
3. 김대중 외교 철학의 평가_153
2장 노무현 정부의 외교전략: 자율성 확보의 국제정치 160
1. 노무현 정부의 외교적 좌표와 북한 핵문제_162
2. 동북아 균형자론: 재평가_167
3장 전환기의 한미동맹 186
1. 탈냉전기 안보환경의 변화와 한미관계_188
2. 노무현 정부시기 한미동맹 재조정의 쟁점_195
3. 전환기 동맹 재조정의 평가_210
제4부 한국 외교 전략의 과제 215
1장 21세기 국제정치, 어떻게 변화하고 있나 216
1. 전환기의 국제정치_216
2. 탈근대 국제정치로의 전환과 세계화의 동력_221
3. 경쟁을 넘어 공존으로_225 4. 글로벌 권력구조의 변동_230
2장 동북아 지역 질서, 역사 유산과 유형 238
1. 불안정 질서의 원인들_238
2. 동북아 지역질서의 유형_245
3. 동북아 질서를 바라보는 몇 가지 전제_250
3장 21세기 한국 외교 전략의 새로운 방향 253
1. 한국의 국가목표_253
2. 한국 외교 담론과 국가 이미지_257
4장 평화 구축의 외교 전략: 한반도 대전환 시대와 문재인 정부의 평화 구상 268
1. 2018년의 역사적 의미_268
2. 평화에 이르는 길: 이론적 탐색_274
3. 한반도 평화공존: 두 영역의 문제들_280
5장 한반도 평화공존 시대와 새로운 한일관계: ‘65년 체제’를 넘어서 295
1. 이른바 ‘65년 체제’는 무엇인가?_295
2. 65년 체제에서 한일관계를 움직여 왔던 두 가지 동력_299
3. ‘65년 체제’에서 ‘반공’이 사라지다_305
4. ‘65년 체제’를 넘어: post-1965 framework_310
6장 한반도 평화공존과 동북아 평화질서 314
1. 동북아 질서와 공동체 담론_314
2. 동북아 평화협력플랫폼과 소다자주의 전략_320
3. 외교 유연성과 피봇팅 (pivoting) 전략_323
7장 한국 외교 전략 구상을 위한 인식 전환 327
1. 학문과 현실, 지식과 정책 사이_327
2. 한반도를 생각한다._330
3. 국제정치학 연구와 한국 외교 전략 구상_333

제1부 한국 외교 전략의 역사 1
1장 한국 외교 전략 소사(小史) 2
1. 한국 외교 전략의 역사와 인식 유산_2
2. 개항, 전환기 질서 변동과 조선의 대응_6
3. 시험대에 올랐던 균세전략_12
4. 균세전략과 중립외교, 결국 바랐던 것은 연루의 회피_14
5. 저항_17
6. 해방, 분단, 그리고 연미책의 실현_21
2장 동북아에서 벗어나고 싶었던 동북아 국가(outreach beyond the corner) 28
3장 연미(聯美)의 역사, 무엇을 남겼을까? 37
1. 노무현 정부 초기의 삽화: ‘자주파’와 ‘동맹파’ 논란_37
2. ‘최초’라는 이름의 두 얼굴: 1882-1905년간 연미책(聯美策)의 등장과 실패_40
3. 짧은 파장의 진자(振子) 운동: 1945년-1950년간 미국의 대한(對韓)정책_45
4. 제한된 대안, 최선의 선택: 한국전쟁과 한미동맹_51
5. 한미관계 137년은 우리에게 어떤 기억을 남겼을까?_57
제2부 한국 외교사 경험이 남긴 과제들: 현상과 이론 61
1장 한반도 분단질서와 한국 외교 전략 62
1. 분단국가, 그 독특한 양식_62
2. 한반도 분단을 바라보는 두 가지 시선_67
3. 한반도 분단질서의 이원적 구조: 남북한 관계와 동북아 국제정치(intra- vs. inter-national dimension)_72
4. 역대 한국정부의 분단 관리전략: 생존과 통일 사이_76
5. 한반도 분단질서의 유형_97
2장 약소국 경험이 남긴 이론적 고민 102
1. 약소국 외교정책: 이론적 탐색_104
2. 약소국 외교행위를 결정하는 요인들_110
3장 동맹과 주권, 그리고 자주의 문제 117
1. 동맹의 형성, 지속, 변화_120
2. 비대칭동맹과 강대국/약소국 행위_122
4장 한국정치의 갈등구조와 외교정책 131
1. 분단이 만든 갈등구조: 보수와 진보 혹은 ‘수구꼴통’과 ‘종북좌빨’_132
2. 발전의 분화: 성장과 분배 사이_138
제3부 21세기 첫 10년의 한국 외교전략과 한미관계 139
1장 김대중의 외교철학과 한미관계 142
1. 한국외교사와 김대중 시대_142
2. 김대중의 한반도 평화구상과 대미 외교전략_146
3. 김대중 외교 철학의 평가_153
2장 노무현 정부의 외교전략: 자율성 확보의 국제정치 160
1. 노무현 정부의 외교적 좌표와 북한 핵문제_162
2. 동북아 균형자론: 재평가_167
3장 전환기의 한미동맹 186
1. 탈냉전기 안보환경의 변화와 한미관계_188
2. 노무현 정부시기 한미동맹 재조정의 쟁점_195
3. 전환기 동맹 재조정의 평가_210
제4부 한국 외교 전략의 과제 215
1장 21세기 국제정치, 어떻게 변화하고 있나 216
1. 전환기의 국제정치_216
2. 탈근대 국제정치로의 전환과 세계화의 동력_221
3. 경쟁을 넘어 공존으로_225
4. 글로벌 권력구조의 변동_230
2장 동북아 지역 질서, 역사 유산과 유형 238
1. 불안정 질서의 원인들_238
2. 동북아 지역질서의 유형_245
3. 동북아 질서를 바라보는 몇 가지 전제_250
3장 21세기 한국 외교 전략의 새로운 방향 253
1. 한국의 국가목표_253
2. 한국 외교 담론과 국가 이미지_257
4장 평화 구축의 외교 전략: 한반도 대전환 시대와 문재인 정부의 평화 구상 268
1. 2018년의 역사적 의미_268
2. 평화에 이르는 길: 이론적 탐색_274
3. 한반도 평화공존: 두 영역의 문제들_280
5장 한반도 평화공존 시대와 새로운 한일관계: ‘65년 체제’를 넘어서 295
1. 이른바 ‘65년 체제’는 무엇인가?_295
2. 65년 체제에서 한일관계를 움직여 왔던 두 가지 동력_299
3. ‘65년 체제’에서 ‘반공’이 사라지다_305
4. ‘65년 체제’를 넘어: post-1965 framework_310
6장 한반도 평화공존과 동북아 평화질서 314
1. 동북아 질서와 공동체 담론_314
2. 동북아 평화협력플랫폼과 소다자주의 전략_320
3. 외교 유연성과 피봇팅 (pivoting) 전략_323
7장 한국 외교 전략 구상을 위한 인식 전환 327
1. 학문과 현실, 지식과 정책 사이_327
2. 한반도를 생각한다._330 3. 국제정치학 연구와 한국 외교 전략 구상_333
에필로그 평화의 미래를 향하여 345
참고문헌 352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