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동산수초어록

동산수초어록

  • 동산수초
  • |
  • 민족사
  • |
  • 2019-11-20 출간
  • |
  • 288페이지
  • |
  • 159 X 231 X 23 mm /497g
  • |
  • ISBN 9791189269425
판매가

25,000원

즉시할인가

22,5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2,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마삼근’ 화두로 유명한 동산 수초 선사의 어록
국내 최초로 완역 출간!

1. 동산 수초 스님의 행장
동산 수초(洞山守初) 스님의 선맥 계보는 이렇다. 육조 혜능(六祖慧能)-청원 행사(靑原行思)-석두 희천(石頭希遷)-천황도오(天皇道悟)-용담 숭신(龍潭崇信)-덕산 선감(德山宣鑑)-설봉 의존(雪峰義存)-운문 문언(雲門文偃)-동산 수초. 스님은 후량(後粱) 태조 개평(開平) 4년(910) 봉상부(鳳翔府)의 양원[良原: 지금의 섬서성(陝西省) 숭신현(崇信縣)]의 부씨(傅氏) 집안에서 태어나셨다. 어렸을 적에, 한번은 멀리 절에서 들려오는 범종 소리를 듣자 문득 먹는 것조차 잊어버리고 허리를 꼿꼿이 한 채로 하루 종일 앉아 있기만 하셨다. 그의 어머니 여씨(呂氏)는 이러한 아들의 모습을 보고서도 일부러 음식을 주지도 않을 뿐더러 부르지도 않았다. 나이가 16살이 되자, 어머니 앞에 꿇어앉아 출가를 간절히 부탁하여 흔쾌히 허락을 받아 내셨다. 그래서 짐을 싸서 위주[渭州: 지금의 섬서성(陝西省)] 공동산(??山)으로 가서 지심(志?) 스님을 은사로 모시고 머리를 깎으셨다. 그리고는 경주[涇州: 감숙성(甘肅省)]의 사리율사(舍利律寺)로 가서 정원(淨圓) 스님에게서 구족계를 받으셨다. 스님께서 출가한 절은 율종에 속하였던 터라 처음에는 율장을 익히는 데 공력을 들이셨다. 하지만 스님에게는 그다지 흡족한 공부가 아니라고 여겨 행각을 다니기로 하셨다. 그리하여 함양(咸陽)과 장안(長安), 양양(襄陽), 장사(長沙) 등을 전전하다가 지금의 광동성 유원현(乳源縣) 북쪽의 운문산에 이르렀다. 거기서 하안거를 성만하고서 운문 문언[雲門文偃: 864~949] 스님을 찾아뵈었다.

운문 스님이 물으셨다. “근자에 어디를 떠나왔느냐?”
스님이 말씀드렸다. “사도입니다.”
운문 스님이 말씀하셨다. “여름에 어디에 있었고?”
스님이 말씀하셨다. “호남의 보자사(報慈寺)입니다.”
운문 스님이 말씀하셨다. “언제 거길 떠났나?”
스님이 말씀드렸다. “8월 25일입니다.”
운문 스님이 말씀하셨다. “너를 세 방 때려야겠다.”
스님이 순간 멍하니 있다가 저녁이 되자 다시 찾아뵙고 여쭈었다. “오늘 대답하고서 큰스님께 세 방 얻어맞았는데 도대체 허물이 어디에 있습니까?”
운문 스님이 말씀하셨다. “밥통아! 강서와 호남을 바로 이렇게 따지는 거냐?”
스님이 말끝에 확연대오하셨다.
그리고는 말씀하셨다. “이후에 인가가 없는 곳에 암자 하나를 우뚝세워 놓고서, 한 톨의 쌀도 모아 놓지 않고 채소 한 포기조차 심어 놓지 않고서도 온 천하에서 찾아오는 이들을 접대하되, 그들에게서 몽땅 못을 빼고 쐐기를 뽑아내 주며, 기름때에 찌든 모자를 벗겨버리고, 액취 나는 저고리를 벗겨주어서, 그들을 쇄쇄낙락한 납승이 되게 할 것이니, 어찌 통쾌하다고 하지 않겠습니까?”
운문 스님이 말씀하셨다. “너의 몸은 야자 만한데, 입은 엄청 크게 벌리는구나!”

이렇게 해서 그 유명한 ‘동산삼돈(洞山三頓)’의 화두가 탄생하게 된 것이다.
그 후 후한(後漢) 은제(隱帝) 건원(乾祐) 원년(948)에 운문산을 떠나 양양의 동산사(洞山寺)로 가셨다. 이후로 40여 년을 이곳에 주석하셨다. 이렇게 오랫동안 한 절에 머물고 계셨지만, 그 도는 천하에 두루 전해져서 수많은 납자들이 구름처럼 모여들었다. 태평흥국 6년(981)에 상서인 석공(石公)과 양수(襄帥)인 조공(趙公)이 황제에게 글을 올려 동산스님의 뛰어난 도행을 알리고 아울러 나라를 교화하여 성인의 교화를 더욱 두터이 했음을 알려 주었다. 그러자 북송 조정에서는 종혜선사(宗慧禪師)라고 시호를 드리고 자색 가사를 드림으로써 당간의 깃발을 뛰어나게 하였다. 아무런 병환도 없다가 송 태종 순화 원년(990) 가을 7월에 결가부좌를 한 채 세수 81세, 법랍은 65하로 원적에 드시었다.

스님의 법을 이은 제자로는 복엄 양아(福嚴良雅)·보자 도숭(報慈道嵩)·담주 도숭(潭州道崧)·건명 목(乾明睦)·개복 덕현(開福德賢)·광제 원동(廣濟院同)·복창 현(福昌賢)·황매 용화상(黃梅龍華祥)·연복 처경(延福 處瓊)·동평 홍교(東平洪敎) 등이 있다.
‘동산마삼근(洞山麻三斤)’, ‘동산삼돈(洞山三頓)’, ‘동산오대(洞山五臺)’, ‘동산친절(洞山親切)’, ‘동산지연(洞山紙撚)’, ‘동산전사(洞山展事)’ 등의 공안이 있다.

『양주동산제이대초선사어록(襄州洞山第二代初禪師語錄)』 1권이 『고존숙어록』 권38에 실려 있고, 『경덕전등록』 권23, 『선종송고련주통집』 권36, 『불과격절록』 제38칙, 『정법안장』 권1상, 『연등회요』 권26, 『선문염송집』 권27, 『대장일람집』 권10, 『오등회원』 권15, 『선림승보전』 권8, 『오가정종찬』 권4, 『선림유취』 권14, 『교외별전』 권12, 『불조강목』 권34, 『선종정맥』 권8, 『지월록』 권21, 『종감법림』 권51, 『종문염고휘집』 권38, 『어선어록』 전집 하, 『오등전서』 권31 등에 그의 어구와 기연이 보인다.

2. 동산 스님의 도풍

본 어록에 나오는 일자관(一字關)이 9개 정도 나오는 것을 보면 운문 스님의 맥을 이은 선사답게 동산 스님은 예리한 금강단검(金剛短劒)을 신중하게 휘두르고 있음을 증명해준다. 동산 스님이 기요(機要)로 사용하는 일구(一句)의 면모를 살펴보면 정교하면서도 간결함이 돋보이며, 활용하는 활구는 압축미가 철철 넘쳐난다. ‘마삼근(麻三斤)’, ‘증병온당(蒸???)’, ‘소지풍혈지우(巢知風穴知雨)’, ‘두팔포삼(竇八布衫)’, ‘안리동인취목적(眼裏瞳人吹木笛)’, ‘염리방목아(炎裏放木鵝)’, ‘지연무유(紙撚無油)’, ‘달마무당문치(達磨無當門齒)’ 등의 몇몇 공안만 살펴보아도 이런 특성이 눈에 쉽게 띌 것이다. 본 어록에서는 스님의 이러한 특성을 갖추어 기용을 자유자재로 운용하는 정교한 도풍을 엿볼 수 있다.
그리고 이 어록에는 법거량 문답이 다수 실려 있는데, 이를 보면 그가 얼마나 친절하고도 정성스럽게 몸소 학인들을 점검하고 살폈는지를 알 수 있다. 그러니까 13회의 상당법회 가운데 275회의 상량 문답 거량이 이루어지고 있다.

“어떤 것이 부처님이냐?”라는 물음에 대한 동산 스님 이전의 답화를 살펴보자.

“알지 못하는 이는 누구냐?[不識者是]”(제11조 부나야사)
“바로 마음이 부처님[卽心是佛]”(남양 혜충, 마조 도일)
“맑은 못에 비치는 얼굴은 부처님이 아니면 누구냐?(淸潭對面非佛而誰)”[대주 혜해]
“다시는 따로 구하지 마라.[更莫別求]”(자옥 도통)
“너에게 말할 수 없는 것이다.(不可道爾是也]”(남원 도명)
“너는 누구냐?[汝是阿誰]”(백장 회해)
“네 마음이 부처님이다.[汝心是佛]”(황벽 희운)
“중생의 몸이 이것이다.[衆生色身是]”(장사 경잠)
“법당 안에 있는 것[殿裏底], 바로 마음이다[?心是], 무심이다[無心是], 넌 부처님이냐?[?是佛?], 넌 어떤 사람이냐?[?是什?人]”(조주 종심)
“바로 네가 이것이다.[卽汝便是]”(귀종 지상)
“흙덩어리다.[土塊]”(엄양 존자)
“혀를 내밀어 보이다.[出舌示之]”(오석 영관)
“때리다.[師打之]”(곽산 경통)
“어떤 것이 부처님이 아니냐?[如何不是佛], 다른 사람이 듣지 못하게 해라[勿使異人聞], 장림산 아래 죽극편[杖林山下竹筋鞭]”(풍혈 연소)
“억![喝]”(소주 영서)
“얼른 삼배나 해라.[速禮三拜]”(삼각 지겸)
“어떤 것이 상좌냐?[如何是上坐]”(단하 의안)
“고양이가 노주에 올라간다.[?兒上露柱]”(비수 혜성)
“환으로는 구할 수 없다.[幻不可求]”(투자 대동)
“얼굴이 누런 이지.[黃面底是]”(운개 지원)
“멍청한 아이가 아비를 버리고 도망갔다.[癡兒捨父逃]”(반룡 가문)
“돌쇠다.[石牛]”(서암 사언)
“장씨네 아이 셋이다.[張家三箇兒]”(현천 언)
“병정 동자가 와서 불을 구한다.[丙丁童子來求火]”(백조 지원)

뭐 이런 정도다. 이와 같은 답구에다 ‘삼 서 근[麻三斤]’을 실어 보면, 별안간 멍해진다. 구태여 선지식이 기연에 맞추어 제시하는 활구가 아니라도 이 ‘삼 서 근’ 공안은 들어보기만 하여도 의정이 돈발하기 쉬워진다고 하겠다.
스님은 노래한다.

동산은 적막하여
하나마저 있을 수가 없네.
아무런 맛도 없는 구(句)이지만
사람들의 입을 틀어막아 버린다네.

3. 어록의 구성

이 『양주동산제2대초선사어록(襄州洞山第二代初禪師語錄)』은 1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卍속장경》 제118책, 『고존숙어록』 38권, p323前b3~331前b14에 수록되어 있다. 이 어록의 전반부는 상당법어(上堂法語)를, 후반부는 가송(歌頌)을 실어서 편집하였다. 여기에는 문답이 포함된 상당법문이 18개 실려 있는데 그 속에는 선문답이 275회 수록되어 있다. 27송의 가송은 거의 제목을 달아서 실어두었다.

이 어록은 각범 혜홍이 저술한 『임간록』에, “내가 건중정국 초(1102)에 오랜 친구 집에서 동산 수초 스님의 어록 한 편을 얻었는데, 복엄 양아 스님이 편집한 것이었다.[予建中靖國之初, 故人處獲洞山初禪師語一編, 福嚴良雅所集.]”라고 나와 있어, 동산 스님의 법제자인 복엄 양아 스님이 기록하고 편집하였음을 짐작하게 한다.

◆ 역자의 말

“어(語) 속에 어(語)가 있음을
사구라고 이름하고,
어(語) 속에 어(語)가 없음을
활구라고 이름한다.
語中有語, 名?死句, 語中無語, 名?活句”

동산 수초 스님은 이렇게 최초로 사구와 활구의 정의를 내리신 분이다. 스님은 ‘어중무어(語中無語)’, 곧 명안납자가 근기를 맞이하여 즉석에서 드러내는 줄탁동시의 용(用)인 어구를 활구라고 하였으나, 뒤에는 조사의 남겨진 언구인 공안을 주로 활구라고 하게 되었다. 이는 거량 문답이 활발하던 시대에는 선사들이 직접 학인들을 제접하면서 근기에 따라 맞추어 어중무어의 활구를 들이대었으나, 후세엔 문답하는 일이 드물어지면서 혼자서 수행하는 풍토가 흐르게 되고 여기에 간화선이 유행하면서 활구의 정의도 주로 조사의 공안으로만 국한되어 이르게 된다.
여기 조사선이 점차 박물관으로 들어가고 있는 현금(現今)에는 어중 무어의 흐드러진 활구 꽃밭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하겠다. 선사들의 법맥을 살펴보면 동산(洞山)이라는 호를 가진 선사들이 꽤 많음을 발견할 수 있다. 그 가운데 가장 유명한 선사는 우리가 보통 동산 스님이라고 부르는 조동종의 개조 동산 양개[洞山良价(807~869)] 스님을 떠올리는 것이 상식이다. 동산 양개 스님은, 당시에는 균주(筠州)였고 지금은 강서성(江西省)의 의풍현 동북쪽에 있는 동산(洞山)에서 보리원(菩提院)을 열고 거기서 교화를 폈다. 또 한 분의 잘 알려진 동산 스님은 동산 수초 스님으로 당시는 양주(襄州)로 불렸던 지금의 호북성(湖北省) 양양시(襄陽市)의 동산사(洞山寺)에서 법을 펼쳤던 운문종 제2대 선사다.
하지만 동산 수초 스님은 워낙 유명했던 동산 양개 스님에 파묻혀 고작 ‘마삼근(麻三斤)’, ‘동산삼돈(洞山三頓)’, ‘동산오대(洞山五臺)’, ‘동산전사(洞山展事)’ 등의 몇몇 공안으로만 그 존재가 알려졌었다. 그것도 심지어 ‘동산오대(洞山五臺)’ 공안이 『선문염송』에서는 동산 양개 선사 편의 제698칙에 실려 있고, 『선종송고련주통집』 권24에서도 동산 양개 선사편에 실려 있는 형편이다.
그러나 동산 수초 스님은 전사(展事)와 투기(投機)라는 용어를 창안하였고, 연밀 스님과 더불어 사구(死句)와 활구(活句) 개념을 처음으로 들고 나와서 심지로(心智路)를 즉각 끊어버리는 경절문(徑截門)의 조사관(祖師關)을 철저히 깨치게 하여 선가에 위대한 업적을 남긴 분이다.

동산 스님이 운문종의 적자답게 기요(機要)로 사용하는 일구(一句)의 면모를 살펴보면 정교하면서도 간결함이 돋보이며, 활용하는 활구는 압축미가 철철 넘쳐난다. 스님은 대오를 이루고서 바로 그 자리서 “인가가 없는 곳에 암자 하나를 우뚝 세워 놓고서, 한 톨의 쌀도 모아 놓지 않고 채소 한 포기조차 심어 놓지 않고서도 온 천하에서 찾아오는 이들을 접대하여 쇄쇄낙락한 납승으로 만들어 놓겠다.”라고 하였다. 본 어록을 살펴보면 뒤에 동산선원에서 학인들을 제접하면서 그는 이 약속을 충실히 지킨 것으로 보인다. 그 어떤 직위도 지니지 않은 채 인적 드문 곳 자그마하고 소박한 암자에서 아무런 재물도 쌓아 놓지 않고 학인을 맞아들여 이끌어 나가는 진솔한 선사의 모습을 모범으로 실천한 것이다.
“이 동산의 ‘여기’를 따라 보면, 말도 맛이 없고 먹어도 맛이 없으며 법도 맛이 없어서 맛없는 구(句)가 사람들의 입을 완전히 틀어막게 될 것입니다.”
동산 스님의 말씀처럼 이 어록은 말라 비틀어져, 너무나 말라 비틀어져 아무런 맛이 없는 언어로 이루어져 있을 뿐이지만, 치연(熾然)하게 공부에 매진하는 수행자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2019년 하안거를 보내면서, 영곡 和南


목차


드러내는 말 … 5
해제 … 11

상당법문 … 21

하나. 이러한 방법을 여태껏 써왔다면 … 21
둘. 머리털은 덥수룩 귀는 뾰족 … 27
셋. 근기가 밝은 이는 스스로 어둡게 하여 … 45
넷. 하늘이 맑게 개니 물길을 열고 … 50
다섯. 법의 눈으로 정명을 알아야만 … 61
여섯. 말로는 전사할 수 없고 … 70
일곱. 말 속에 말이 있음을 사구(死句)라 하고 … 86
여덟. 깨치려면 반드시 확실히 깨쳐야 하고 … 101
아홉. 동산의 여기 … 113
열. 법고가 막 울리자 대지가 전부 거둔다 … 136
열하나. 바로 마음이 바로 부처님 … 137
열둘. 신발 값을 물을 날 … 141
열셋. 천향만리를 행각하면서 … 144
열넷. 범상함을 전환하여 성스러움을 이루는 도리 … 167
열다섯. 선사(禪師)라면 … 171
열여섯. 눈을 꼬집어 망상하지 마라 … 175
열일곱. 너를 세 방 때려야겠다 … 208
열여덟. 동산의 두루한 즐거움은 … 211

가송 … 213

1. 《수물통진송(隨物通?頌)》(병서) … 213
2. 《명도송(明道頌)》 … 217
3. 《진찬(?讚)》 … 222
4. 《진찬(?讚)》(2) … 223
5. 《진찬(?讚)》(3) … 225
6. 《진찬(?讚)》(4) … 226
7. 《진찬(?讚)》(5) … 227
8. 《색공송(色空頌)》 … 228
9. 《시도송(示徒頌)》 … 229
10. 《제강송(提綱頌)》 … 230
11. 《투기송(投機頌)》 … 231
12. 《전상량송(剪商量頌)》 … 233
13. 《지화회송(指話會頌)》 … 234
14. 《지통기송(指通機頌)》 … 235
15. 《명심송(明心頌)》 … 236
16. 《인사송(因事頌)》 … 237
17. 《우아송(牛兒頌)》 … 239
18. 《수우구아(隨牛狗兒)》 … 241
19. 《법신송(法身頌)》 … 243
20. 《보신송(報身頌)》 … 244
21. 《화신송(化身頌)》 … 245
22. 《일어송(一語頌)》 … 246
23. 《언전송(言詮頌)》 … 247
24. 《거거거송(去去去頌)》 … 248
25. 《일랍송(一臘頌)》 … 249
26. 《십심송(十心頌)》 … 251
27. 《곽서장상송(廓書狀上頌)》 … 255

《동산어록에 나오지 않고 타어록에 나오는 법문》 … 257

ㄱ. 짚신이 몇 켤레나 닳았나 … 257
ㄴ. 외길이 아득히 멀 때는 … 258
ㄷ. 생사를 면하는 법 … 258
ㄹ. 초산이 거꾸로 선다 … 259
ㅁ. 수레나 모는 놈 … 259
ㅂ. 천리만리로구나 … 260

미주 … 261

찾아보기 … 279
참고문헌 … 285

후기 … 286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