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서는 특수교원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을 준비하는 예비 특수교사들을 위한 기본이론서로, 다음의 네 가지 사항에 초점을 두고 집필되었다.
1. 기본 개념을 강조하였다.
2. 일반성에 토대하여 교재를 구분하고 구조화하였다.
3. 다양한 학습이론을 적극적으로 적용하였다.
4. 최근 시행된 특수교사 임용시험의 범위를 최대한 반영하였다.
본서는 특수교원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을 준비하는 예비 교사들을 위한 기본이론서로, 다음의 네 가지 사항에 초점을 두고 집필되었다.
첫째, 기본 개념을 강조하였다. 특수교육학 용어의 개념을 명확히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각각의 단원은 용어의 개념을 명료화하여 보여 주고자 가급적 개조식으로 별도 기술하였다. 동시에 원어의 다양한 해석으로 인해 발생하는 수험생들의 어려움을 감소시키고자 국립특수교육원이 발행한 『특수교육학 용어사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였다.
둘째, 일반성에 토대하여 교재를 구분하고 구조화하였다. 각 과목이 갖고 있는 일반성과 특수성을 고려하여 일반성을 전면에 배치하고 이어 특수성을 학습할 수 있도록 내용을 배치함으로써 학습에서의 효율성을 극대화하였다. 이 교재는 행동지원, 특수교육평가(장애아 진단 및 평가)를 중심으로 하는 Ⅰ권과 특수교육공학을 기반으로 하는 Ⅱ권으로 각각 구분된다.
셋째, 다양한 학습이론을 적극적으로 적용하였다. 학생들이 수업시간을 통해 배우는 다양한 학습이론을 교재 집필과정에 적용함으로써 학습효과의 극대화를 도모하였다. 반복되는 내용은 다시 간략히 요약하여 제시함으로써 분산학습의 효과가 발휘되도록 하였고, 동일한 내용일지라도 다루는 수준을 심화시켜 소개함으로써 이전의 지식이 관련 정착지식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내용에 따라서는 관련 사항을 도식화하여 제시함으로써 개념 습득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넷째, 최근 시행된 특수교사 임용시험의 범위를 최대한 반영하였다. 다만 차후 치러지는 시험에서의 적중률을 높이기 위해 과도하게 범위를 확장하지는 않았다. 책의 두께와 적중률은 비례할 수 있지만 수험생들이 학습 과정에서 느끼는 부담감을 헤아리지 못한 결과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개인적인 욕심은 과감히 자제하였다.
이 책은 특수교사가 되고자 하는 대한민국의 모든 예비 특수교사를 위해 집필되었음이 분명하다. 그 자랑스러운 길을 가기 위한 여러분의 첫걸음에 이 책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간절히 바라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