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조선시대 한시와 국문시가의 상관성

조선시대 한시와 국문시가의 상관성

  • 정소연
  • |
  • 한국문화사
  • |
  • 2019-11-15 출간
  • |
  • 784페이지
  • |
  • 152 X 225 X 47 mm /1116g
  • |
  • ISBN 9788968178153
판매가

39,000원

즉시할인가

37,83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7,83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1. 서론: 양층언어현상(diglossia)으로 본 한시와 국문시가의 상관관계사

■15세기
2. 〈龍飛御天歌〉와 〈月印千江之曲〉의 한문과 국문에 나타난 양층언어문학성
1. 서론
2. 〈용비어천가〉와 〈월인천강지곡〉의 표기매체와 대상독자의 관계
3. 〈용비어천가가〉와 〈월인천강지곡〉의 표기매체·대상독자와 창작동기·세계관의 관계
4. 〈용비어천가〉와 〈월인천강지곡〉의 문체 비교
4.1. 구두점(권점) 표기의 유무(有無)
4.2. 통사구조
4.3. 텍스트구조
5. 결론

■16세기
3. 이황과 이이의 한시와 시조 비교
1. 작품 현황 및 선행연구 검토
2. 〈도산십이곡발〉에 나타난 이황의 양층언어시가관
3. 이황의 한시와 시조의 상관관계
3.1. 한시에 나타난 구술적 특징: 대화체, 동음 반복, 허자(虛字)
3.2. 〈도산십이곡〉에 나타난 시적(詩的) 특징 : 한문식 표현, 대구, 등가 구조, 각운
4. 이황의 한시와 시조의 차이점
4.1. 제목, 작가와 화자의 거리, 화자와 대상의 관계
4.2. 연작구조에서의 유기성 문제
5. 이황과 대비해 본 이이의 한시와 시조
5.1. 이황과 이이의 공통점
5.2. 이황과 이이의 차이점
6. 16세기 이황과 이이를 통해 본 이 시기 전후의 한시와 시조의 상관성
4. 정철의 한시와 시조 비교
1. 작품 현황 및 선행연구 검토
2. 한시와 시조의 주제 비교
3. 한시와 시조에 나타난 ‘사람’ 비교
3.1. 특정인 對 보편적인 인간으로의 확장
3.2. 작가와 시적 화자의 관계
4. 음성언어와 문자언어, 그리고 보편적 인간애의 표현
5. 결론
5. 허난설헌과 황진이의 한시와 국문시가의 상관성
1. 서론
2. 허난설헌의 한시와 국문시가의 상관성
2.1. 한시의 노래적 특성 지향
2.2. 한시에 나타난 다양한 화자
2.3. 한시 창작에 구비문학적 향유 방식 접목
3. 황진이의 한시와 시조의 상관성
3.1. 자유로운 생각의 표현 통로로서의 시조
3.2. 한시와 시조의 다양한 화자
4. 16세기 여성의 양층언어문학적 관점과 문식성
5. 결론

■16-17세기
6. ≪악장가사≫의 한문가요·현토가요·국문가요의 상관성
1. 이중언어문학 자료로서의 ≪악장가사≫
2. ≪악장가사≫ 전체의 표기방식 개관
3. 표기매체·발화대상·작품내용의 상관관계
3.1. 한문가요: 신(神)을 향한 찬양과 간구
3.2. 현토가요: 임금(君)을 향한 찬양
3.3. 국문가요: 발화대상의 확장(君臣男女)과 다양한 정서 표출
4. 국문가요·현토가요·한문가요에 나타난 양층언어문학성

■17세기
7. 신흠의 한시와 시조 비교
1. 작품의 현황 및 선행연구 검토
2. 신흠의 양층언어문학관: 한문과 국어, 한시와 시조, 시와 노래에 대한 관점
3. 노래 취향의 한시와 시조, 시조 한역(漢譯)의 비교
3.1. 자유로운 시형의 한시: 풍체(風體), 악부체(樂府體), 잡체(雜體), 사(詞)
3.2. 시조와 시조 한역
4. 절구와 시조의 세계관적 지향 : 규범적 세계관과 탈속적 세계관
5. 작가와 화자의 거리에 따른 절구의 사실성과 시조의 허구성
6. 신흠의 절구와 시조의 상관성이 가지는 문학사적 의미
8. 윤선도의 시조와 한시 비교
1. 작품 현황 및 선행연구 검토
2. 한시와 시조의 내용 비교
2.1. 전체적 비교
2.2. 한시와 시조의 공통 내용에서 나타나는 차이: 서경성과 서정성
2.3. 7언 절구에서만 보이는 내용: 개인적 가족사, 만사(挽詞), 일상사, 화답시
2.4. 시조에서만 보이는 내용: 대민적(對民的) 교화시, 잔치의 유흥시
3. 시적 화자와 실제 작가의 거리 비교
3.1. 작가의 삶과 밀착된 사실적 기록으로서의 절구
3.2. 인명, 지명 등의 고유명사의 사용 양상
3.3. 임금에 대한 표현
4. 시조에 나타난 변화들: 한시와 시조의 가까워진 거리
4.1. 시조 제목의 존재 및 양상
4.2. 시조의 부연설명에 나타난 작가의 목소리
4.3. 시조의 한역(漢譯)과 국·한문의 표기방식
5. 윤선도의 양층언어시가사적 위치
* 소결: 조선 전·중기 한시와 국문시가의 상관성
9. 정훈의 시조와 한시 비교
1. 작품의 현황 및 선행연구 검토
2. 시조와 한시의 주제 비교
3. 시조와 한시의 등장인물, 시어, 형식 비교
3.1. 시조와 한시의 제재와 등장인물의 비교: 자연과 사람을 다루는 비중의 변화
3.2. 시조에 나타난 시어 사용의 변화: 고유명사, 대명사, 투어의 사용 양상
3.3. 한시에 나타난 형식과 시어 사용의 변화
4. 정훈의 시조와 한시가 가지는 양층언어시가사적 의미
10. 박인로의 시조와 한시 비교
1. 작품의 현황과 선행연구 검토
2. 시조와 7언 절구의 주제적 경향 비교
2.1. 개괄적 비교
2.2. 공통된 주제 영역의 비교
3. 시조에 나타난 ‘읽는 시(詩)’의 특징
3.1. 제목의 양상: 절구와 같은 방식의 시조 제목
3.2. 시조에서의 한문 문장식 표현
4. 한시에 나타난 구술성의 특징
4.1. 절구에서의 동일 운자(韻字) 반복
4.2. 구어성의 활용: 대화체 한시와 허사(虛辭)의 빈번한 사용
5. 시조와 한시의 더 가까워진 거리

■18세기
11. 권섭의 시조, 한시, 한역시의 비교
1. 권섭의 시조, 한시, 한역시의 개관 및 선행연구 검토
2. 주제, 제재 비교를 통해 본 시조와 한시의 가까워진 거리
2.1. 시조와 한시의 유사성
2.2. 유사성 내에서의 차이점
3. 시조의 시화(詩化): 시조의 한시적 작시 경향
3.1. 영물(詠物)과 기록으로서의 시조 창작
3.2. 시조 제목에 나타난 변화와 표기 방식
3.3. 작가의 삶과 밀착된 시조 창작 경향과 화답시조
3.4. 시조에서의 한문구 사용
4. 시조의 반경 확대
4.1. 시조 구조의 파격적 변화와 한문구의 사용
4.2. 〈황강구곡가〉에 나타난 국어의 위상 변화
5. 절구의 가화(歌化): 절구에 국어시가의 접목
5.1. 우리말 발음의 활용과 시어의 중첩
5.2. 허자 사용과 7언 절구 형식의 파괴
5.3. 문답적 대화체와 교화성
5.4. 연작성(連作性)의 표지가 강한 절구 창작
6. 기녀 가련(可憐)과의 화답 연작 한역시에 나타난 양층언어 시가성
6.1. 기녀와 사대부 남성 간 화답의 한역시화(漢譯詩化) 배경
6.2. 한시와 시조 수창(酬唱)의 ‘연작적 한역시’로의 재구성
6.3. 고전시가 수용 흔적과 시가사적 의미
7. 〈고산구곡가〉의 국어시가와 한역시로의 수용
8. 권섭의 양층언어시가사적 위치
12. 황윤석의 시조, 한시, 한역시 비교
1. 작품의 현황 개관
2. 시조에 나타난 변화들
2.1. 연작적 구조가 약한 시조 창작
2.2. 자연 대상에서 사람 대상으로의 시조 창작
2.3. 연군시조에서의 표현적 변화
2.4. 교화성의 변화와 화자 지향성
2.5. 형식적 변화와 읽는 시로서의 특징
2.5.1. 행말(行末)의 명사적 종결과 허사(虛辭)의 탈락
2.5.2. 한문 어순의 한자구 사용
2.5.3. 평시조 정형성의 균열
2.6. 시조의 기록방식
3. 한시에 나타난 노래 지향적 특성
3.1. 교훈적(敎訓的) 한시의 노래적 특성
3.2. 연군(戀君) 한시와 여성적 화자(話者)
3.3. 희작적(?作的) 경향의 한시와 구술성(口述性)
4. 국어시가의 한역(漢譯)에 나타난 ‘한국고전시가’의 인식
4.1. 한역 양상 개관
4.2. ‘古歌’에 대해서
4.3. ‘新’飜에 대해서
4.3.1. 한시화(漢詩化)가 아닌 한역가(漢譯歌)로서의 장단구(長短句)로의 한역
4.3.2. 다양한 국어시가 갈래로의 한역 대상 확장
4.3.3. 고가(古歌)의 작가에 대한 새로운 평가로서의 한역
4.3.4. 원가(原歌)에 대한 기록들: 가화(歌話)의 존재 및 내용
4.4. 한문과 국어의 언어 매체 차이, 기록방식 및 주제
4.5. 한국고전시가의 ‘시’로서의 인식과 기록으로서의 한역
5. 한시의 노래화, 시조의 시(詩)로서의 인식과 기록

■19세기
13. 이세보, 조황, 정현석을 통해 본 19세기의 한시와 국문시가의 상관성
1. 19세기 이중언어시인의 시조와 한시의 창작 양상 개관
2. 표기상의 특징
2.1. 기록매체로서의 국문(國文)
2.2. 띄어쓰기와 구두점
3. 시조의 내용에 나타난 변화와 시(詩)로서의 시조의 위상
3.1. 시조 내용의 개괄적 검토
3.2. 중앙 관직시절의 시조 창작과 시조의 위상 변화
3.3. 애정시조의 작가와 화자의 분리 현상과 교화시조의 고백적 문체
3.4. 메타적 시조의 창작
4. 시조 형식의 해체에 나타난 시화(詩化)의 양상
4.1. 시조와 한시의 교섭: 한시구, 긴 한문구의 빈번한 등장
4.2. 행말(行末)의 형태와 기록문학성
4.3. 작품 배열의 연속적 경향: 가집 편집물의 기록문학적 성격
5. 근대 자유시로 가는 길목의 19세기 한시와 국문시가의 상관성
14. 고전시가에서 근대시로 : 요약 및 남은 과제들

ㆍ 출처
ㆍ 참고문헌
ㆍ 찾아보기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