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서는 중등교원 임용시험 전공역사의 필수과목 중 하나인 한국사를 대비하기 위한 수험서입니다. 2020학년 중등 임용 시험의 새로운 출제 경향을 반영하여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추고 있습니다.
첫째, 현장에서 쓰이는 교과서의 세부적 역사적 사실을 모두 담고자 노력했습니다. 2020년부터 현장에서 쓰이는 고등학교 『한국사』를 비롯하여 이전에 쓰였던 2009 개정교육과정, 7차 교육과정의 『한국사』, 『국사』, 『한국근현대사』의 내용을 모두 분석하여 담았습니다. 변화되어 나타난 시험에서도 교과서의 비중은 절대로 빠질 수 없다고 보았기 때문입니다.
둘째, 각 단원 앞에 새로 적용되는 교육과정의 성취 기준을 넣어 학습의 방향을 제시했습니다. 이를 통해 교육과정에서 다루고자 하는 주요 역사 주제들을 다시금 되짚고자 했습니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해당 주제에 관한 내용들 또한 모두 담고자 노력했습니다.
셋째, 교육과정에 반영되어 있는 학계의 최신 연구 성과를 담았습니다. 2020학년 시험에서 목간과 같이 학계의 최신 연구 동향이 반영되어 있는 문항이 출제되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학계의 연구 동향을 반영함으로써 다가올 2021학년 시험에서 출제될 예상 주제들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넷째, 방대한 한국사의 내용이 한눈에 들어올 수 있도록 시각화된 이미지를 다양하게 준비했습니다. 특히, 공부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사상사와 제도사, 경제사 등의 부분에 있어서 다양한 도표와 지도 등을 최대한 준비했습니다.
다섯째, 각 사건의 배경과 내용, 결과, 영향, 의의 등을 세분화하여 시각화했습니다. 특히 역사 임용 시험의 ‘기본 개론서’라고 불리는 책들의 내용을 모두 세밀하게 다듬어서 반영했습니다. 이를 통해 해당 개론서를 읽는 데 있어서 기본적인 체력을 기를 수 있을 것입니다.
여섯째, 교과서와 주요 개론서 등에서 다루는 수많은 사료들을 편집하여 집어넣었습니다. 『삼국사기』를 비롯한 사서(史書)에서부터 「단양적성비」와 같은 금석문(金石文)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료 원전을 읽고, 나올 만한 부분들을 최대한 수록했습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사료 문항에 보다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일곱째, 임용 시험뿐만 아니라 대학수학능력시험,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등 국가기관에서 출제되는 한국사 관련 시험의 출제 내용 등을 분석하여 넣었습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사료와 출제 경향 등을 한눈에 찾아볼 수 있도록 했습니다.
임용시험 한국사 과목을 준비하기 위해 학습해야 하는 양은 다른 과목과 비교가 되지 않게 많습니다. 한국사 자체가 방대한 과목인 데다가 보아야 하는 개론서의 숫자도 한 손에 세기 힘듭니다. 교과서의 종류도 고등학교만 보아도 8종이나 되고 가끔은 중학교 교과서에만 나오는 내용이나 사료들도 있기에 학습에 더욱 부담이 됩니다.
이와 같은 수험생들의 고민을 덜어주기 위해 『선생님을 위한 한국사』는 최근 임용시험의 출제 경향에 맞춰 효과적으로 한국사를 학습할 수 있도록 기획되었습니다. 근래 임용 시험 출제 경향은 교육과정의 내용을 얼마나 충실하게 공부하고 있느냐를 측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각 단원의 도입부마다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넣어 학습의 방향을 제시했습니다. 또한 암기를 돕기 위해 항목별로 세부 제목을 달았으며, 내용 이해를 돕는 도표와 지도 자료들도 다양하게 수록했습니다. 따라서 본서를 통해 정해진 수험 기간 동안 확실하게 한국사 과목을 대비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