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1 생활안전경찰
제1절 생활안전경찰
1. 생활안전경찰의 개념
2. 생활안전경찰의 변천과정
3. 생활안전경찰의 업무
4. 생활안전경찰 업무의 법적 근거
5. 생활안전경찰의 특성
제2절 지역경찰활동
1. 지역경찰제의 개념과 도입배경
2. 외국의 지역경찰제도
3. 지역경찰 개념과 임무
4. 지역경찰조직과 근무
5. 지역사회경찰활동과 협력방범
6. 범죄원인과 예방이론
제3절 생활질서업무
1. 의의
2. 풍속사범의 단속
3. 경범죄처벌법위반 사범 단속
4. 즉결심판 청구 및 관리(즉결심판에 관한 절차법 이해)
5. 총포 ?화약류 등의 단속(총포 ?도검 ?화약류 등의 안전관리에 관한 벌률)
6. 유실물 관리
제4절 여성청소년 보호 활동
1. 소년사건 처리(소년법)
2. 청소년 보호 활동(청소년보호법)
3. 아동?청소년의 성보호 활동(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4. 실종아동등의 보호 및 관리
5. 가정폭력 사건 처리
6. 학교폭력 사건 처리
7. 아동학대 사건 처리
8. 성폭력사건 수사
CHAPTER 2 경비경찰
제1절 경비경찰 개관
1. 경비경찰 의의
2. 경비경찰 활동의 특성
3. 경비경찰활동의 근거
4. 경비경찰활동의 한계
5. 경비경찰의 조직과 수단
제2절 경비경찰 세부활동
1. 치안경비(다중범죄진압)
2. 특수경비(대테러경비)
3. 경호경비
4. 국가중요시설 경비
5. 혼잡경비(행사안전경비)
6. 선거경비
7. 재난경비
8. 경찰작전
9. 청원경찰 관리
CHAPTER 3 교통경찰
제1절 교통경찰 개관
1. 교통경찰 개관
2. 도로교통법 주요 용어 정의
제2절 도로교통법 주요 규제 내용
1. 보행자 통행방법
2. 고속도로 및 자동차전용도로 등에서의 특례
3. 차마 및 자전거 통행방법 등
4. 차의 통행방법 등
5. 정차 및 주차의 금지
6. 어린이 통학버스 특별보호
7. 긴급자동차 특례
8. 교통규제와 지도단속
제3절 운전면허와 운전면허 행정처분
1. 운전면허
2. 운전면허 행정처분
제4절 범칙금 통고처분 및 과태료
1. 범칙금 통고처분제도
2. 과태료 부과
제5절 교통사고 처리
1. 교통사고 개념 및 특성
2. 교통사고 성립요소
3. 교통사고 발생시 조치
4. 교통사고 처리기준
5. 과실의 유무와 신뢰의 원칙
6. 교통사고조사 주요 용어
CHAPTER 4 수사경찰
제1절 수사경찰 개관
1. 수사의 개념과 수사경찰
2. 수사경찰 조직
3. 수사경찰인사운영규칙
제2절 수사 기초 이론
1. 수사의 양 측면과 조건
2. 수사의 제 원칙
3. 수사기관
4. 수사의 과정
제3절 수사 단서
1. 범죄첩보
2. 불심검문
3. 변사자 검시
4. 고소
5. 고발
6. 자수
제4절 임의수사
1. 범죄수사 원칙
2. 출석요구
3. 피의자 신문
4. 참고인 조사
5. 감정?통역?번역의 위촉
제5절 강제수사
1. 강제수사 일반
2. 체포
3. 구속
4. 압수?수색?검증
5. 수사상 검증
제6절 현장수사활동
1. 수사긴급배치(수사긴급배치규칙, 경찰청 훈령)
2. 수법수사
3. 지명수배 및 지명통보
4. 우범자 첩보수집(우범자 첩보수집 등에 관한 규칙, 경찰청 예규)
5. 공조수사
6. 수사본부 설치 및 운영(수사본부 설치 및 운영 규칙, 경찰청 예규)
제7절 마약류사범 수사
1. 마약
2. 향정신성의약품
3. 대마
제8절 사이버범죄 수사
1. 의의
2. 사이버범죄 유형
3. FBI의 컴퓨터범죄 분류수법
4. 디지털 증거분석
CHAPTER 5 정보경찰
제1절 정보 개관
1. 정보의 개념
2. 정보의 질적 요건(정보의 가치)
3. 정보의 기능과 효용
4. 정보의 분류
5. 정보의 순환
제2절 정보경찰 활동
1. 정보경찰의 의의
2. 치안정보의 개념에 대한 논란
3. 정보경찰의 활동 분야
4. 견문수집 및 정보보고
5. 신원조사
6. 집회 및 시위 관리(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이해)
CHAPTER 6 보안경찰
제1절 보안경찰 일반
1. 보안경찰의 의의 및 특징
2. 보안경찰 활동의 법적 근거 및 임무
3. 국가보안 활동 기관
제2절 방첩활동
1. 방첩의 의의
2. 방첩의 기본원칙
3. 방첩의 수단
4. 방첩의 대상
제3절 공작활동
1. 공작의 의의
2. 공작의 4대 요소
3. 공작의 분류
4. 비밀공작망의 형태
5. 비밀공작의 순환 단계
6. 공작활동
제4절 심리전
1. 심리전의 의의
2. 심리전의 종류
3. 심리전의 방법?수단
제5절 국가보안법
1. 국가보안법의 목적과 법적 성격
2. 국가보안법의 특성
3. 국가보안법 세부 내용
제6절 보안관찰법
1. 보안관찰의 의의
2. 보안관찰처분 요건
3. 보안관찰처분 절차
4. 보안관찰처분 내용
5. 신고
6. 보안관찰 수단
7. 불복절차
8. 벌칙
제7절 남북교류협력
1. 남북교류협력에 관한 법률 제정
2. 남북한 방문 등 교류협력
3. 국가보안법과 남북교류협력에 관한 법률과의 관계
제8절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1.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
2. 보호신청 및 보호결정
3. 국내 입국교섭 등
4. 보호 내용
CHAPTER 7 외사경찰
제1절 외사경찰 일반
1. 외사경찰의 의의 및 법적 근거
2. 외사경찰의 특성
제2절 외사경찰의 대상
1. 외국인과 국적취득
2. 외국인의 법적 지위
3. 내?외국인의 입?출국
5. 외교사절
6. 영사
7. 외국 군대 및 군함
제3절 외사경찰활동
1. 외사신원조사
2. 외사정보활동
3. 외사범죄 예방 및 수사활동
4. 외사보안활동
5. 재외국민 보호
제4절 주한미군지위협정
1. 주한미군지위협정(SOFA, Status of Forces Agreement)
2. SOFA 적용 대상자
3. 재판권의 행사
4. 시설 및 구역 내의 경찰권
5. SOFA 대상자의 사건처리
6. 손해배상 문제
제5절 국제형사경찰기구(인터폴)
1. 의의
2. 인터폴 발전과정
3. 인터폴 회원국간 협력의 기본원칙
4. 인터폴 공조절차와 내용
5. 인터폴 발행 국제수배서
제6절 국제형사사법공조
1. 의의
2. 형사사법공조조약과 국제형사사법공조법과의 관계
3. 공조의 범위
4. 공조제한 사유(임의적 거절 사유)
5. 공조의 절차
제7절 범죄인 인도
1. 의의
2. 범죄인 인도의 원칙
3. 인도 거절 사유
4. 범죄인 인도 절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