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Machine Gun Voices

Machine Gun Voices

  • PaulSneed
  • |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
  • 2019-10-01 출간
  • |
  • 500페이지
  • |
  • 153 X 224 X 38 mm /891g
  • |
  • ISBN 9788952128331
판매가

65,000원

즉시할인가

63,05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63,05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브라질의 펑크 음악 발리 펑크로 분석한
빈민가 주민의 삶”

“신에게 버림받은 도시, 파벨라”
지난 2016년 브라질에서 열린 리우 올림픽은 전 세계인의 마음을 시원하게 해 주었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브라질의 빈민촌인 파벨라(favela)를 중심으로 한 치안 문제가 있었다. 영화 《시티 오브 갓(Cidade De Deus)》에서 그려진 파벨라의 폭력적인 모습은 단순한 영화 속 설정이 아니다. 2019년 9월에는 파벨라 주민이 경찰의 총에 맞아 사망하는 사건이 있었을 만큼 파벨라의 치안은 여전히 불안정한 상태이다.

파벨라를 취재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다. 과거 파벨라의 범죄를 취재했던 기자 팀 로페스(Tim Lopez)가 갱의 보복으로 살해된 사건도 있었다. 서울대학교 서어서문학과 폴 스니드 교수는 파벨라 중 가장 큰 지역인 호시냐(Rocinha)에서 생활하면서 이들의 모습을 가장 가까운 곳에서 ‘관찰’했다. 그리고 『Machine Gun Voices』에서 그 관찰 결과를 민족지학적으로 분석해냈다.

“Funk In Favela”
이렇게 위험한 빈민가라고 해서 즐거움이 없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파벨라의 댄스파티에는 흥이 넘친다. 파벨라의 갱단이 파티를 여는 클럽은 주민들의 만남의 장소가 되었고, 자연스럽게 파벨라 고유의 흥겨운 펑크 음악 문화인 발리 펑크(balie funk, 또는 funk carioca)가 발달했다. 파벨라 주민에게 발리 펑크란 무엇인가?

2000년, 파벨라의 은행(Banco do Estadodo Rio de Janeiro, BANERJ)에 강도가 들자 이를 경찰과 갱이 합심하여 해결한 사건이 있었다. 이후 은행강도는 경찰로 밝혀졌다. 이처럼 상상하기 어려운 일들이 펼쳐지자 파벨라 주민들은 공권력을 신뢰할 수 없게 되었고, 심지어 갱단에게 경찰의 역할인 ‘질서 유지’를 기대하기에 이른다. 공동체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갱들은 사람들이 모이는 클럽과 그 클럽에서 울려 퍼지는 음악, 발리 펑크를 이용한다.

발리 펑크에는 파벨라 주민들의 애환이 담겨 있다. 빠른 템포와 외설적인 가사에는 빈민들에게 힘과 희망을 북돋아 주려는 의지와 제도권에서 소외된 주민들이 처한 상황이 반영되어있다. 하지만 그와 동시에 발리 펑크는 갱들이 정치적 의미를 담는 선전 수단이기도 하다. 갱들은 발리 펑크로 경찰을 공공의 적으로 간주하는 프레임을 구축하거나 마약 범죄를 합리화하기도 한다. 즉 발리 펑크는 희망과 폭력이 공존하는 공동체 파벨라의 성격이 집약된 문화이다.

파벨라에는 무조건적인 선도, 악도 없다. 화려한 월드컵이나 올림픽, 카니발의 이면에 가려진 아슬아슬한 줄타기 같은 파벨라의 처절한 문화가 발리 펑크에, 그리고 이 책에 담겨 있다.

Brazilian funk, or funk carioca, a form of the popular culture from the favelas, or hillside slums, and other low-income neighborhoods of Rio de Janeiro, is as multi-dimensional and ambiguous as the social reality from which it comes and is often misunderstood by outside observers and vilified in the media. Incorporating counter-cultural aspects of the international Black movement and world hip-hop and fusing them together with the culture of the favelas, funk has evolved into a rich musical form characterized by irony, complex masking and subversive messages and practices.

To examine these practices in funk, the author combines literary and cultural theory with social science hypotheses on the nature of the “social bandit” and the power of Rio’s drug gangs, as well as an ethnographic perspective mostly focusing on the community of the favela of Rocinha. After providing background on the climate of violence in Rio de Janeiro and discussing the social and economic organization of the community of Rocinha in general terms, he explores the nature of the baile funk in favelas as a platform for the staging of the power of the drug traffickers. he also attempts to map out the ideological contours of the rule of criminal factions in the partially alternative social formation of the favelas, paying special attention to lyrics of a style of underground funk music known as proibid?o, one of the principal practices through which the legitimacy of these drug traffickers is produced and lived. Finally, he examines the utopian character of funk as a form of entertainment as an example of the tendencies of ‘black Atlantic’ cultures of the African Diaspora. He also explores its similarities with Brazilian Modernismo, compare it to contemporary Carnival and situate it in the context of other styles of popular music in Brazil.


목차


Photo Gallery
Foreword by Carlos Palombini

Chapter 1 Funk Rio
Chapter 2 Machine Gun Voices
Chapter 3 Writing about Funk Carioca
Chapter 4 Proibid?o and Rio’s Gangs
Chapter 5 Rocinha Favela
Chapter 6 Crimes of Self Defense
Chapter 7 Social Bandits in Funk
Chapter 8 Bandits of Christ
Chapter 9 Trafficking Culture
Chapter 10 Musical Survival Tactics
Chapter 11 Utopias de Favela
Chapter 12 Mixes from the Margins
Chapter 13 Last Dance

Afterword
Appendix
Index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