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펴내며
고려시대 천지서상지에 나타난 한중 고대 천지상서의 교응적 자연학ㅣ김일권
Ⅰ. 서 론
Ⅱ. 천지서상지의 판본과 전승 문제
Ⅲ. 천지서상지의 구성과 신화자연학 텍스트
Ⅳ. 고려시대 천지서상지의 교응적 자연학
Ⅴ. 결 론
제주 삼별초와 몽골・동아시아 세계ㅣ윤용혁
Ⅰ. 머리말
Ⅱ. 13세기, 몽골의 고려 침입 전야
Ⅲ. 제주의 지리적 강점에 주목한 삼별초 세력
Ⅳ. 삼별초의 제주, 그 이후
Ⅴ. 항파두성, 새로운 의미 부여의 필요성
Ⅵ. 맺는말
고려시대 동아시아의 해양과 국제교류 양상ㅣ전영준
Ⅰ. 머리말
Ⅱ.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재편과 문화교류
Ⅲ. 쿠로시오 해류를 활용한 고려의 국제교류
Ⅳ. 맺음말–삼별초의 이동경로와 관련하여
13~14세기 元-耽羅 관계 연구 동향 분석ㅣ권용철
Ⅰ. 머리말
Ⅱ. 초기의 동향-연구 분야의 개척
Ⅲ. 1980~1990년대의 동향-상세해진 연구의 활성화
Ⅳ. 2000년대~현재의 동향-연구 주제의 다변화와 시각의 확대
Ⅴ. 맺음말
고고자료로 본 고려시대 제주의 몽골문화ㅣ김경주
Ⅰ. 머리말
Ⅱ. 법화사 중창과 원순제의 피난궁지
Ⅲ. 원나라 이주민과 분묘 축조
Ⅳ. 제주의 물산과 원나라 건축문화
Ⅴ. 맺음말
元代 중・후기 皇權과 權臣 - 톡 테무르와 토곤 테무르 시기를 중심으로 -ㅣ윤은숙
Ⅰ. 머리말
Ⅱ. 元代전반기 황권과 宰相
Ⅲ. 元代중 후기의 제위계승 분쟁과 황권 失墜
Ⅳ. 토곤 테무르 카안의 황권 회복 노력
Ⅴ. 맺음말
여국에서 속국으로 - 원・명교체기 제주도의 해양사적 위상 -ㅣ박영철
Ⅰ. 문제
Ⅱ. 牧胡의 난
Ⅲ. 몽골제국과 탐라
Ⅳ. 與國탐라와 고려
Ⅴ. 與國에서 屬國으로
Ⅵ. 결어
고려말 탐라목장의 운영과 영향ㅣ강만익
Ⅰ. 머리말
Ⅱ. 탐라목장의 설치와 운영
Ⅲ. 탐라목장의 목축문화와 영향
Ⅳ. 맺음말
14世紀 麗明關係와 濟州島의 歸屬 過程ㅣ임상훈
Ⅰ. 들어가며
Ⅱ. 공민왕과 홍무제의 제주도 문제 교섭
Ⅲ. 냉각하는 여명관계와 제주도 토벌
Ⅳ. 우왕대 여명관계의 회복과 제주도 귀속 확정
Ⅴ. 나오며
여말선초 韓蕆의 濟州 入島 재조명ㅣ홍기표
Ⅰ. 머리말
Ⅱ. 한천의 생애
Ⅲ. 한천의 인맥과 사상
Ⅳ. 최익현의 恕齋韓公遺墟碑
Ⅴ. 맺음말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