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근대를 만난 동아시아 회화

근대를 만난 동아시아 회화

  • 한정희
  • |
  • 사회평론
  • |
  • 2011-11-19 출간
  • |
  • 328페이지
  • |
  • 175 X 240 X 30 mm /738g
  • |
  • ISBN 9788964354322
판매가

25,000원

즉시할인가

24,75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4,75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왜, 지금, 동아시아 회화인가

표지에 실린 낭세녕(郎世寧)의 <취서도(聚瑞圖)>는 동양화일까, 서양화일까? 언뜻 봐서는 바로 답이 떠오르지 않는다. 백자병에 낟알이 달린 조와 연꽃이 동양화의 정취를 물씬 풍기고 있다. 한편 꽃과 꽃병을 그렸다는 점에서 서양의 정물화를 연상시키기도 한다. 동양과 서양의 화법이 한데 어우러져 신비로운 아름다움을 뿜어내는 이 작품은 서양화법이 동아시아에 전해지면서 만들어진 걸작이다.

이 책에서 한·중·일의 16~20세기 회화는 서양화법과 여성이라는 주제로 비교연구된다. 그리고 기존 회화사 연구에서 볼 수 없었던 이러한 독특한 시도를 통해, 우리는 이미 알고 있던 그림조차 새롭게 바라볼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서양화법을 만난 동아시아 회화,
한국·중국·일본을 함께 보아야 하는 이유

서양화법이 반영된 이 시기의 작품이 중국에서만 발견되는 것은 아니다. 일본 회화에서도 서양화법의 영향을 받은 독특한 화풍들을 발견할 수 있다. ‘남만화풍’이나 ‘아키타 난가’ 등은 일본에서 본격적으로 서양화가 그려지기 전, 기존의 양식과 합쳐져 일본 회화에서만 볼 수 있는 독특한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한국 또한 마찬가지다. 한국은 서양과의 문화교류가 주로 중국을 통해 이루어져 다소 늦은 감은 있지만, 강세황과 김홍도 등의 작품에서 원근감과 명암기법을 사용한 흔적들이 많이 발견된다.
동양과 서양의 화법이 만나 이루어낸 이러한 회화의 발전은 한ㆍ중ㆍ일 각국 회화사에만 천착해서는 발견할 수 없던 것들이다. 그동안 이런 작품들은 서양화를 향해 가는 하나의 과정으로 평가받거나, 그 시대에 잠깐 스쳐갔던 비주류의 화풍으로만 취급되었다. 실제로 중국의 중서합벽화풍은 청대에 잠깐 지배적이었던 궁정회화로, 일본의 남만화풍과 아키타 난가는 에도시대 초기와 아키타 지역에서만 나타났던 양식으로 다루어져 왔다.
하지만 이 시기 한ㆍ중ㆍ일의 작품을 서양화법이라는 하나의 주제 아래 모아 ‘동아시아’라는 문화적 관점에서 접근해보면 이제껏 보이지 않던 걸출한 작품성이 발견된다. 동양 회화 연구는 각국의 회화사에만 머물러서는 안되며, 오랫동안 하나의 문화권을 형성해왔던 세 나라의 회화를 ‘동아시아 회화’라는 관점으로 비교분석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동아시아 회화 속 여성의 모습, 함께 보아야 전체가 보인다

여성이라는 주제에 대한 연구도 마찬가지다. 중국 회화사만 보면 20세기에 들어서 동아시아 여성들이 자의식을 온전히 회복한 것처럼 보인다. 오직‘미인도’라는 형식을 통해 표현되던 기존 이미지에서 벗어나, 자신의 모습을 왜곡시키지 않고 있는 그대로 표현하는 근대 여성화가 반옥량(潘玉良)이 등장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동아시아 전체의 관점에서 보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한국의 부인초상화들은 비슷한 시기에 그려졌음에도 매우 다른 양상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시대는 무려 20세기 초반이었지만 한국에서는 여전히 화가(남성)가 남의 부인을 보고 그림으로 그린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었기 때문에, 당시에 그려진 부인초상화는 모두 사진을 보고 모사하는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그래서 근대 한국의 부인초상화는 하나같이 정면을 향해 의자에 앉아 있는 모습이다. 중국에서는 근대 여성화가가 탄생하였을지라도, 동아시아 전체의 관점에서는 여성들이 여전히 유교문화의 틀 안에 갇혀 있었음을 알게 해주는 대목이다.

동아시아 회화 연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계기

이와 같이『근대를 만난 동아시아 회화』는 한ㆍ중ㆍ일의 회화를 하나의 주제로 비교분석한 연구의 결과물이다. 지금까지 각국의 회화사에 대한 개별적인 연구는 상당히 많이 진행되어 있지만, 이를 동시에 비교분석하여 하나의 책으로 묶어낸 사례는 없었다. 국내 최초로 동아시아 세 나라의 회화를 한자리에 모은 이 책은 비교문화적인 연구관점과 방법론의 필요성에 동의하는 회화사 연구자들이 모여 결성한 모임 ‘동아시아회화연구회’에서 외부강사의 특강, 회원들의 세미나를 거쳐 완성된 연구결과로 만들어졌다.
모임은 여러 주제를 통해 진행되었지만 그중에서‘동아시아에 미친 서양의 영향’과‘동아시아의 미술과 여성’이라는 두 가지 주제를 선정하여 책으로 정리했다.‘동아시아에 미친 서양의 영향’에 대해서는 동아시아 문화권의 전통화법에 원근법, 명암법 등의 서양화법이 가해져 기존 동양화가 가지고 있는 신비로움이 현실감 있게 부각된 과정을 살펴보았다. 한편‘동아시아의 미술과 여성’에 대해서는 유교문화의 영향을 받았던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여성이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중국 청대의 미인도부터 근대 한국 부인초상화까지, 회화 속 동아시아 여성들은 당시의 여성에 대한 시각을 여실히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목차


명 말기에 전래된 기독교 미술과 그 양상 - 한 정 희

Ⅰ. 머리말
Ⅱ. 예수회 전도 이전의 기독교 미술
Ⅲ. 예수회 선교사와 성화 유입
Ⅳ. 명 말기의 기독교 미술
Ⅴ. 맺음말

17세기 중국 회화에 미친 서양의 영향 - 박 효 은

Ⅰ. 머리말
Ⅱ. 남경과 북경의 예수회 선교사와 서양화법의 전래
Ⅲ. 17세기 중국 회화에서의 서양화법 활용
Ⅳ. 맺음말

파신파(波臣派)의 초상화 연구: 증경(曾鯨)의 제자들을 중심으로 - 장 준 구

Ⅰ. 머리말
Ⅱ. 증경(曾鯨)과 그의 제자들
Ⅲ. 파신파(波臣派)의 초상화(肖像畵)
lV. 서양화법과의 관련성
Ⅴ. 맺음말

강희·옹정·건륭 연간의 궁정회화와 서양화법 - 최 경 현

Ⅰ. 머리말
Ⅱ. 청대 화원(畵院) 기구와 제도
Ⅲ. 강희 · 옹정 · 건륭 연간의 궁정 화단
Ⅳ. 긍정회화의 화목별 분류
Ⅴ. 맺음말

모모야마시대와 에도시대 초기 화단에 끼친 서양의 영향 - 홍 상 희

Ⅰ. 머리말
Ⅱ. 시대 배경과 서양 문화의 유입 상황
Ⅲ. 남만 취미와 남만 병풍
Ⅳ. 기독교의 유입과 성화
Ⅴ. 서양풍 세속화의 주제별 양상
Ⅵ. 맺음말

에도 후기의 서양미술 인식-아키타 난가(秋田蘭畵) 연구 - 강 민 기

Ⅰ. 머리말
Ⅱ. 아키타 난가의 성립 - 난학(蘭學)과의 관계
Ⅲ. 아키타 난가의 화가들
Ⅳ. 맺음말

청대(淸代)의 미인 이미지 고찰 - 박 청 아

Ⅰ. 머리말
Ⅱ. 미인의 전형화과 문학적 형상화
Ⅲ. 청대 궁정 미인도의 상징과 의미
Ⅳ. 청대 화단의 미인도 제작
V. 맺음말

중국 근대 여성화가 반옥량(潘玉良, 1899-1977)의 회화-누드화를 중심으로 - 이 주 현

Ⅰ. 머리말
ll. 20세기 초반 미술계와 상해미술전과학교
lll. 반옥량의 생애
lV. 반옥량의 누드화
V. 맺음말

20세기 초 한국 부인초상화의 제작 - 문 선 주

Ⅰ. 머리말
Ⅱ. 부인초상화의 제작 전통
Ⅲ. 20세기 초 한국 부인초상화의 형식
Ⅳ. 20세기 초 한국 부인초상화의 특징
V. 맺음말

찾아보기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