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풍경이 아닌 인간의 내면으로 향하는 여행 에세이
- 여행을 하며 우리가 얻어내야 할 것들은 무엇인지 알려준다
-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2019 우수출판콘텐츠 제작 지원 사업 선정작
누구나 떠나고 싶은 이유가 있다
여행이란 참 낭만적인 단어다. 여행을 싫어하는 사람도 거의 없다. 여행을 떠나기 전에는 모두 한결같이 들떠서 기분 좋게 가지만, 돌아오고 나서 무엇이 남았는지는 사람마다 다르다. 스트레스를 날려 버리고 왔다는 사람도 있고, 사진만 남았다는 사람도 있다.
여행은 떠나는 것이지만 돌아오는 것이기도 하다. 여행은 멀리 가는 것이지만 가까이 붙는 것이기도 하다. 그런 의미에서 저자는 이 책을 통해 ‘나다움’을 발견하는 여행의 쓸모를 이야기한다. 여행을 일상에서 떨어져서 객관적으로 나를 바라볼 수 있는 기회로 활용하라는 것이다.
우리는 일상에서 어느 정도는 가면을 쓰고 산다. 주위 사람들의 바람대로 행동하고 사회적 규약에 맞춰 ‘매너 있는’ 행동을 한다. 그리고 주변 사람들에게 ‘좋은 사람’이라는 평판을 획득한다. 하지만 여행을 떠나서는 자기도 모르게 진짜 모습이 나온다. 내성적인 사람인 줄 알았는데 처음 보는 사람과 활달하게 이야기하고, 다른 사람을 리드하기도 한다.
그런 자신의 모습을 한 발짝 떨어져서 봐야 한다. ‘내가 왜 이러지?’가 아니라 ‘이게 진짜 내 모습이구나’ 하고 느껴야 한다는 말이다. 결국 앞에서 한 말이 이해가 될 것이다. 여행을 떠났지만, 그것은 나에게 돌아오는 길이었다.
생활 여행자가 되는 법
여행에서 나를 찾았다 하더라도 우리에게는 고민이 남는다. 여행이란 결국 일상으로 돌아오는 것을 전제로 한다는 것이다. 일상으로 돌아오면 ‘나다움’은 허깨비처럼 사라지는 것일까? 그런 걱정이 든다면 이 책을 끝까지 읽어보자. 단순한 여행 예찬이 아니다. 여행에서 얻은 객관적 시각과 여행의 자세를 어떻게 일상으로 끌어오는가를 이야기한다. 미리 결론부터 밝히자면 그것은 세상을 여행자의 시각으로 보는 것이다. 내가 지금 ‘도시에서 한 달 살기’를 한다고 생각하면 어떨까? 매일 가던 카페도 언제 다시 이곳에 올지 알 수 없다고 생각하면 한결 새로운 마음이 들 것이다. 그곳을 기록하고 사진 한 장을 남기게 될 것이다.
물론 항상 그렇게 살 수도 없고, 모두가 그렇게 살아야 한다는 것도 아니다. 하지만, 이렇게 여행자의 시각을 가진 사람은 여행과 일상을 통해 조금씩 괜찮은 사람이 되어가고 있다는 것만은 확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