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문학적인 거리, 태양계를 탐험하다 ”
“우주”
이름만으로도 경이롭고 우리에게는 미지의 세계입니다.
이 우주에서 태양을 중심으로 형성된 별들을 학자들은 ‘태양계’라고 합니다.
태양은 지구에서 가장 가깝고 낮에도 보이는 별입니다. 태양이 있어서 지구에 밤과 낮, 계절이 바뀝니다. 고대 이집트인과 잉카인, 마야인은 이런 태양의 특성에 매혹되어 태양을 신으로 섬겼지요.
태양은 태양계의 중심이고, 우리는 전적으로 이러한 태양의 리듬에 따라서 살고 있어요. 이렇게 태양은 지구에 사는 우리에게는 매우 중요하고 거대해 보이지만, 우리 은하에 존재하는 수천억 개의 별들 가운데 하나입니다.
과학이 발전하고 우주로 눈을 돌린 사람들은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와 태양계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어요. 하지만 우주는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로 넓고 무한해서 밝혀진 사실이 별로 없어요.
그 중 한 가지를 예로 들어보면 우주는 엄청나게 커서 킬로미터 단위로 측정하기에는 많은 문제가 있습니다. 그래서 빛이 1년 동안 가는 거리를 뜻하는 ‘광년’이라는 단위를 사용하지요.
이처럼 우리 사람들에게는 미지의 세계인 우주, 그 중에서도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와 가장 가까운 태양계를 중심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책을 기획하게 됐습니다.
여기에 나로 우주센터의 존재도 이 책을 출판하게 된 이유 중에 하나입니다. 나로 우주센터는 전라남도 고흥군에 위치한 우리나라 최초의 우주센터입니다. 세계 13번째 우주센터로 2009년 6월 11일 준공되었으며, 2009년, 2010년, 2013년 KSLV-1 나로가 발사되었으며, 2021년에는 KSLV-II 누리를 발사할 계획입니다.
나로 우주센터가 지향하는 목표는 바로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 밖, 미지의 세계 우주입니다.
앞으로 과학자를 꿈꾸는 어린이들을 위해 우주에 대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자 기획된 책인 것입니다. 그것이 별이든 아니면 행성이든 탐험의 세상을 제공하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