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조선의 통신사외교와 동아시아

조선의 통신사외교와 동아시아

  • 이훈
  • |
  • 경인문화사
  • |
  • 2019-10-10 출간
  • |
  • 356페이지
  • |
  • 152 X 224 mm
  • |
  • ISBN 9788949948348
판매가

26,000원

즉시할인가

23,4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3,4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책 머리에

 

서장  통신사, 어떻게 볼 것인가?

 

 

제1부 임진왜란 이후 회답겸쇄환사와 조일 국교 재개  

 

제Ⅰ장  임란 직후 선조대 회답겸쇄환사(1607년) 파견과 대일본전략

    머리말

    1. 선조의 국정 운영과 ‘회답겸쇄환사’ 명칭으로 본 전후의 대일본전략

    2. 선조의 비망기와 대일본통교 축소 재편

    3. 1607년 회답겸쇄환사 파견과 전후처리

    맺음말

 

  제Ⅱ장  광해군대 회답겸쇄환사(1617년) 파견과 적례외교의 실태

     머리말

     1. 1608년 왜사의 국상(國喪) 진향 거절과 선조대의 전략 계승

     2. 1617년의 회답겸쇄환사 파견과 광해군의 대일본외교

        1) 일본측의 ‘오사카(大坂) 평정 축하’ 명분과 정탐외교

        2) 회답겸쇄환사 명칭과 적례외교 보류

     3. 회답겸쇄환사 외교와 대막부 현안 제기

     맺음말

 

 

제2부 17세기 중반 동아시아 국제관계의 변동과 의외로 빈번했던 통신사외교 

 

제Ⅲ장  인조 즉위초 후금(後金) 대비책과 회답겸쇄환사(1624년) 파견 

    머리말

    1. 인조 즉위초 후금(後金)의 위협 고조와 병력 이동 논쟁

    2. 1623년 도쿠가와 막부의 ‘쇼군(家光) 습직 축하’ 요청과 조선의 ‘권의지책’

    3. 1624년 회답겸쇄환사의 국서 전달과 ‘린호’(隣好)의 의미

       1) 개작이전 인조의 회답국서와 대일본인식

       2) 조선의 ‘자발적’ 통신사 파견으로 기재된 쇼군 답서

    4. 회답겸쇄환사의 일본 정보와 남쪽 병력의 서변(西邊) 이동 결정

       1) 회답겸쇄환사의 일본 정보와 조선의 막부권력 인식

       2) 후금 대비책으로 남쪽 병력의 ‘서변’ 이동 추진

    맺음말

 

 

제Ⅳ장  명・청(후금) 패권 경쟁과 병자통신사(1636년) 파견

    머리말

    1. ‘권시지책’으로서의 통신사외교

    2. 정묘호란 이후 후금과 명 사이에서

    3. 일본측의 사절 요청과 병자통신사 파견

       1) 국서개작사건(1635년) 이후 도쿠가와 막부에 대한 인식

       2) 일본측의 ‘태평 축하’사절 요청과 병자통신사(1636년) 파견

    4. 인조대의 국정 운영과 통신사외교 비용

    5. 의례의 변경과 국서 왕복

       1) 국서개작사건 이후 교린의례의 변경

       2) ‘조선국왕’과 ‘일본국대군’의 국서 왕복

    맺음말

 

제Ⅴ장  병자호란 이후 조・청 관계 변화와 계미통신사(1643년) 파견, 그리고 ‘무왜’ 

    머리말

    1. 병자호란과 조・청관계의 변화

    2. 청・일간 통교 시도와 일본측 동향에 대한 조선의 대응

    3. 1642년 일본측의 통신사 구두 요청과 외교의례 변경 시도

    4. 1643년 계미통신사 파견과 국서의 왕복

       1) 인조 국서의 ‘와카기미’ 탄생 축하

       2) 이에미츠(家光) 답서에 조선의 ‘자발적’ 통신사 파견 부각

    5. 인조대의 ‘무왜(撫倭)’와 통신사외교

    맺음말

  

제Ⅵ장  명・청 교체 이후 을미통신사(1655년) 파견과 적례외교의 정착 

    머리말

    1. 효종 즉위 이후 조・청관계와 대일본 인식

       1) 조・청관계와 군비 증강

       2) 대일본통교 방침으로서의 ‘무왜’와 도쿠가와 

          막부정권에 대한 인식

    2. 1653년 ‘쇼군(家綱) 습직’ 축하 사절 요청과 전례(前例)의 계승

    3. 일본측의 신례 요구와 조일 교섭

       1) 쓰시마번의 ‘예조참판’ 앞 통신사 요청 서계와  ‘위식’(違式)의 수용

       2) 다이유인묘(大猷院廟) 관련 요구와 절목강정

    4. 1655년 을미통신사 파견과 양국 국서에 반영된 적례외교의 실태

       1) 을미통신사의 파견

       2) 효종 국서의 ‘쇼군 습직 축하’와 교린의 간소화

       3) 쇼군 이에츠나(家綱) 답서에 세습권력 부각

    5. 효종대의 통신사외교와 직교 루트

    맺음말

 

 

 

종장

 

부록 _ 국서(國書)의 형식과 전달로 본 ‘통신사외교’

머리말

1. ‘왕복문서’로서의 국서

2. 통신사가 傳命儀에서 막부 쇼군에게 ‘직접’ 전달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소개

이 훈(李 薰)

 

현재 한림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연구교수

국사편찬위원회와 동북아역사재단 수석연구위원 역임

한일관계사학회 회장 역임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졸업

일본 츠쿠바(筑波)대학 대학원 역사인류학연구과 졸업(문학박사)

전공은 조선시대 한일관계사로 ‘표류민’과 ‘외교문서’를 소재로 다수의 논저 발표

 

 

저서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