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한 마녀’ 조현정 시인이 명랑하게 펼치는 위트 있고 재기발랄한 시들
2019년 『발견』 여름호 「붉은 낮잠」 외 4편으로 신인상을 수상한 조현정 시인이 첫 시집 『별다방 미쓰리』를 출간했다. 조현정 시인은 이미 10여 년 전부터 춘천의 <시문>, <A4> 동인으로 활동하며 내실을 단단하게 다져온 준비된 시인이기에 등단한 지 반 년 만에 첫 시집을 출간할 수 있었다.
조현정의 시집 『별다방 미쓰리』가 빚어내는 세계는 ‘피터팬’의 세계와 멀지 않은 곳에 있다. 올해 여름에 등단한 신인, 그러나 마냥 신참내기 같지 않다. 조현정 시인은 지난 여름 등단 때 ‘이제 시작’이라며 겸양의 말을 내놓고 있다. 하지만 어딘가 모르게 그늘진, 그러나 슬픔을 눙치듯 녹여내는 솜씨가 예사롭지 않았다. 이번 시집을 보면 그에게 등단은 그냥 절차일 뿐, 시 쓰기는 아주 오래 전부터 지속되어왔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이 첫 시집은 그동안 시인이 수행해온 다양한 ‘노릇들’을 작파하고 “이젠 시인을 해야겠다”(당선 소감)는 다부진 결기를 담은, ‘시작(詩作)’을 향한 본격적인 출사표이다.
조현정 시인이 펼쳐놓은 ‘오늘의 마법식탁’은 그림자가 되어 “사라진 것들”(「오늘의 마법식탁」)의 귀환을 알리는 난장이다. 그렇다면 ‘내일의 마법식탁’은 마녀들의 연대가 꽃피운 환대의 식탁이 될까. “열렬히 미워했던, 보랏빛 당신”을 부르며 어디선가 착한 마녀가 명랑하게 흥얼거리는 소리가 들린다. “오! 베리 블루”(「오! 블루베리」). 이처럼 위트 있고 재기발랄하다. “처음보다 좋아지고 있”다는 안도가 아니라(「患, 幻, 歡」), ‘이제 시작’(당선 소감)이라는 결기로 세상과 더 부딪친다.
최돈선 시인은 추천사에서 “어느 바닷가에 바다가 보이지 않는 찻집이 있습니다. 그 고독한 이름의 별다방. 지금도 그곳 어딘가엔 바다를 그리워하는 시인이 여전히 살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쓸쓸한 말을 모아 시를 짓고, 바람을 불러 그 시를 몰래 바다로 떠나보내는, 그런 천진한 시인이 그곳에 살고 있을지도. 이 시집은 마음속 바다를 곁에 두고 쓴 소리시입니다. 이 시집엔 유년의 소녀가 나무처럼 자라, 자잘히 이파리를 흔들어주는 이야기가 담겨 있습니다. 삶이 힘든 이에게 나직나직 나무의 등걸이 되어주는 이야기가 숨어 있습니다. 그 소녀는 시인이 되었습니다. 조약돌처럼 빛나는, 하얀 꿈이 되었습니다. 그 이름 조현정”이라며 첫 시집 출간을 축하해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