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강제명 정치학 -제8판

강제명 정치학 -제8판

  • 강제명
  • |
  • 피데스
  • |
  • 2019-10-02 출간
  • |
  • 812페이지
  • |
  • 192 X 259 X 36 mm /1519g
  • |
  • ISBN 9788964794616
판매가

36,000원

즉시할인가

34,92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4,92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제1편 정치학의 기초
제1장 정치의 본질 / 정치권력과 정당성
제1절 정치에 대한 정의 3
Ⅰ. 인간과 정치 3
Ⅱ. 정치의 본질에 대한 접근 7
제2절 정치권력과 정당성 14
Ⅰ. 정치와 정치권력 14
Ⅱ. 정치권력에 대한 이론적 베이스 18
제3절 갈등의 정치, 그리고 한국 정치의 현실 36
제2장 현대정치학의 사상적 기초
제1절 정치사상과 이데올로기 39
Ⅰ. 이데올로기의 개념과 기능 39
Ⅱ. 고전 정치사상 : 도시국가와 정치사상 43
Ⅲ. 마키아벨리 44
Ⅳ. 사회계약론 48
제2절 자유주의 59
Ⅰ. 자유주의의 원리 59
Ⅱ. 현대자유주의 61
제3절 공화주의 / 공동체주의 73
Ⅰ. 공화주의 75
Ⅱ. 공동체주의(communitarianism) 79

제2편 민주주의
제1장 개 관
제1절 민주주의 개념의 다양성 93
Ⅰ. 민주주의의 정의 93
Ⅱ. 민주주의와 지배의 의미 : 실질적 민주주의와 절차적 민주주의 104
Ⅲ. 직접 민주주의와 간접 민주주의 110
Ⅳ. 자유주의와 민주주의, 그리고 자유민주주의 115
제2절 민주주의에 대한 역사적 고찰 120
Ⅰ. Polis 민주주의 121
Ⅱ. 자유주의와 민주주의의 태동 122
Ⅲ. 현대사회와 민주주의 125
제2장 현대 민주주의 원리와 모델
제1절 현대 민주주의 원리, 현실 128
Ⅰ. 다수결주의 128
Ⅱ. 대표의 원리 : 대의제 149
Ⅲ. 법의 지배, 입헌주의 160
Ⅳ. 자유와 평등 173
Ⅴ. 민주주의와 포퓰리즘(populism) 181
Ⅵ. 민주주의와 언론 186
제2절 민주주의의 대안적 모델들 192
Ⅰ. 참여민주주의 192
Ⅱ. 결사체 민주주의 199
Ⅲ. 심의(Deliberative ; 협의·토의) 민주주의 202
Ⅳ. 경제민주주의 : 시민권을 중심으로 214
제3장 민주주의 이행과 공고화
제1절 민주주의 이행론들 219
Ⅰ. 구조 중심의 연구 219
Ⅱ. 민주주의 이행론 : 전략적 선택이론 222
Ⅲ. 제도론적 접근 225
Ⅳ. 정 리 227
제2절 민주주의 공고화 228
Ⅰ. 민주주의 공고화의 의의 228
Ⅱ. 민주주의 공고화의 조건 : 개념 논쟁 230
제3절 한국의 민주주의 이행과 포스트 이행기의 과제 235
Ⅰ. 한국 민주화과정 개관 235
Ⅱ. 권위주의 형성과 해체, 그리고 민주주의의 지체 237
제4장 정치환경변화와 민주주의 조건
제1절 지구화(세계화, globalization)에 관한 고찰 249
Ⅰ. 지구화(globalization)의 본질 250
Ⅱ. 지구화의 양면성 : 지구화와 효율성, 국가, 민주주의 253
제2절 정보사회와 민주주의 265
Ⅰ. 개 관 265
Ⅱ. 정보화와 민주주의와 관련된 쟁점들 271
Ⅲ. 전자민주주의 274
Ⅳ. Web2.0 / 소셜미디어 / SNS, 그리고 민주주의 279
Ⅴ. 전자투표 286
제3절 후기 산업사회 / 탈근대, 그리고 정치 290
Ⅰ. 후기산업사회 / 탈근대(post modernism) 290
Ⅱ. 네트워크 사회 292
Ⅲ. 4차 산업혁명 295
Ⅳ. 위험사회와 정치논리 301
Ⅴ. 다문화사회와 다문화주의 306

제3편 정치체제ㆍ정치과정ㆍ정치문화
제1장 정치과정에 대한 이해
제2장 민주주의와 이익집단
제1절 이익집단에 관한 이론 321
Ⅰ. 기본 시각과 주요 개념 321
Ⅱ. 이익집단론의 전개 324
Ⅲ. 보론 : 한국 이익집단의 정치 329
제2절 이익대표체계 330
Ⅰ. 다원주의적 이익대표체계 330
Ⅱ. 코포라티즘(조합주의) 331
제3장 정당정치와 민주주의
제1절 개 관 334
Ⅰ. 정당의 개념과 기능 334
Ⅱ. 정당과 민주주의 335
Ⅲ. 정당의 종류 336
제2절 정당에 관한 연구 339
Ⅰ. 전통적 논의 339
Ⅱ. Sartori의 정당체계론 339
Ⅲ. 정당의 변천과 후기산업사회 정당 344
Ⅳ. 정당정치와 정당체계의 동태적 변화 : 균열구조·행위·제도차원 351
Ⅴ. 정당 조직과 당내 민주화 357
제3절 민주주의와 정당정치 제도화 366
Ⅰ. 민주주의와 정당정치 366
Ⅱ. 한국 정당정치 제도화 수준 367
Ⅲ. 한국 정당정치에 대한 진단과 개혁과제 370
제4장 선거제도와 민주주의
제1절 선거제도의 개관 377
Ⅰ. 선거와 민주주의 377
Ⅱ. 선거제도의 정향(평가준거) 379
제2절 선거제도와 선거정치 381
Ⅰ. 선거제도의 종류 381
Ⅱ. 유권자 투표행태 394
Ⅲ. 선거제도와 정당체계의 관계 399
제3절 한국 선거제도의 문제점과 개혁방향 402
Ⅰ. 한국의 선거제도 : 국회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402
Ⅱ. 현행 선거제도의 문제점 403
Ⅲ. 한국 선거제도의 개혁 404
Ⅳ. 선거제도 개혁에 대한 소고 411
제5장 정부형태와 정부제도
제1절 정부형태 논의 413
Ⅰ. 정부형태와 민주주의 413
Ⅱ. 이원집정부제(dual executive system ; Semi-presidential system) 420
Ⅲ. 한국의 정부형태와 개헌 논의 425
Ⅳ. 분점정부 431
제2절 의회제도 435
Ⅰ. 의회의 기능 및 역할 435
Ⅱ. 정치발전을 위한 국회의 활성화 437
제3절 대통령 441
Ⅰ. 대통령의 권한 441
Ⅱ. 의회와 대통령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441
Ⅲ. 대통령의 리더십 445
제6장 정치문화와 정치제도
Ⅰ. 기본개념 451
Ⅱ. 한국의 정치문화와 유교에 대한 해석 454
Ⅲ. 사회자본 462

제4편 정치학의 제이론
제1장 국 가 론
제1절 근대국가 473
Ⅰ. 국가의 개념정의 473
Ⅱ. 근대국가의 형성과 특징 474
제2절 국가의 본질 : 국가에 관한 제 이론 476
Ⅰ. 국가와 경제 : 정치경제학적 접근 476
Ⅱ. 국가와 사회 : 정치사회학적 접근과 세 가지 패러다임 478
제3절 국가능력과 자율성 480
Ⅰ. 국가관료제 480
Ⅱ. 국가의 자율성 483
제2장 시장과 민주주의
제1절 기본 개념 489
Ⅰ.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489
Ⅱ. 시장실패와 국가실패 491
Ⅲ. 포디즘과 포스트포디즘 496
제2절 시장(자본주의)과 민주주의 498
Ⅰ. 개관 : 관련 이론들 498
Ⅱ. 시장과 민주주의의 상호관계 503
Ⅲ. 시장과 사회의 통합 / 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병행발전 506
제3절 국가와 시장 509
Ⅰ. 국가와 시장경제체제의 관계 509
Ⅱ. 신자유주의 개혁과 복지·발전국가의 변형 515
Ⅲ. 동아시아 발전국가 524
제3장 시민사회와 민주주의
제1절 개 관 535
Ⅰ. 시민사회의 정의와 특성 535
Ⅱ. 한국의 시민사회 541
제2절 시민사회ㆍNGOㆍ신사회운동 545
Ⅰ. 신사회운동 545
Ⅱ. NGO와 한국민주주의 심화를 위한 과제 551
제4장 국가, 시장, 시민사회, 거버넌스
Ⅰ. 거버넌스 개념 556
Ⅱ. 정치체제의 사회경제적 성취수준과 거버넌스 559
Ⅲ. 거버넌스와 정치과정 562
제5장 기타 정치학 이슈들
제1절 이념균열과 세대균열 566
Ⅰ. 이념균열 : 보수주의와 진보주의 566
Ⅱ. 세대균열 574
제2절 민족주의 576
Ⅰ. 민족주의의 정의 576
Ⅱ. 민족주의의 전개 576
Ⅲ. 세계화와 민족주의, 민주주의 579
Ⅳ. 한국 민족국가의 발전방향 579
제3절 환경정치 581
Ⅰ. 환경문제의 대두 581
Ⅱ. 환경정치 584
Ⅲ. 녹색성장 589
제4절 여성정치 593
Ⅰ. 여성정책의 흐름과 양성평등 593
Ⅱ. 여성의 권리 597
제5절 제3세계 정치 599
Ⅰ. 권위주의 이론 599
Ⅱ. 관료적 권위주의(Bureaucracy Authority ; B·A체제) 600
Ⅲ. 권위주의 이론과 한국의 정치체제 601
Ⅳ. 종속이론 603

제5편 국제정치
제1장 국제정치학의 기초 개념
제1절 들어가기 전에 607
Ⅰ. 분석 수준 : K.Waltz, ?Man, the State and War(1959)? 607
Ⅱ. 게임이론 608
제2절 국제정치학의 기본 개념 612
Ⅰ. 국력과 국익 612
Ⅱ. 주권과 안보 613
Ⅲ. 무정부성의 문제 618
Ⅳ. 보론 : 국제정치에서 권력(power) 개념 619
제2장 국제정치학의 주요 이론
제1절 국제정치학의 이론논쟁의 흐름과 패러다임 622
Ⅰ. 국제정치경제질서의 변화 622
Ⅱ. 국제정치 패러다임 626
제2절 국제정치 이론들 653
Ⅰ. 국제체제 653
Ⅱ. 세력균형(Balance of Power ; BOP) 659
Ⅲ. 동맹이론 664
Ⅳ. 핵과 핵확산 667
Ⅴ. 국제레짐 672
Ⅵ. 지역통합이론 674
Ⅶ. Two-Level Games(양면게임) 683
Ⅷ. 민주평화론 686
Ⅸ. 문명충돌론(The Clash of Civilizations) 690
Ⅹ. 국제협력과 공공외교 698
제3장 한국의 대외정책 방향
제1절 동북아 질서와 한국의 전략적 선택 703
Ⅰ. 동북아 안보환경 703
Ⅱ. 미-중국 관계 713
Ⅲ. 한미동맹 724
제2절 분단체제와 북한 문제 732
Ⅰ. 북한 문제의 성격변화 732
Ⅱ. 북한의 체제위기와 예상시나리오 732
Ⅲ. 북핵 문제와 정책적 대응 738
Ⅳ. 대북정책의 방향 : 협상과 게임 761
Ⅴ. 보론 : 통일대박론과 통일의 조건 767

부 록
참 고 문 헌 772
기 출 문 제 786
색 인 807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