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첨단 유망금속소재, 부품산업의 기술개발동향과 시장전망분석

첨단 유망금속소재, 부품산업의 기술개발동향과 시장전망분석

  • R&D;정보센터
  • |
  • 지식산업정보원
  • |
  • 2013-05-21 출간
  • |
  • 516페이지
  • |
  • 210 X 297 mm
  • |
  • ISBN 9788994111582
판매가

320,000원

즉시할인가

288,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88,0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제1장 금속소재 산업의 개요
1. 금속소재 산업의 개념 및 특성
1) 금속소재 산업의 정의 및 범위
(1) 정의
(2) 범위
가. 철강소재
나. 경량금속소재
다. 비철금속소재
라. 금속분말소재
마. 희소금속소재
2) 주요 제품 및 특성
(1) 주요 제품
가. 철강소재
나. 경량금속소재
다. 비철금속소재
라. 금속분말소재
마. 희소금속소재
(2) 특성
가. 범용소재 중심의 저부가가치 산업구조
나. 그린수송, IT융합의 핵심기반소재로서 미래유망산업
다. 수요기업과 연관효과가 매우 높은 산업
3) 금속산업의 위상
4) 금속소재산업 활성화 방안
(1) 금속산업 고도화를 위한 상호협력방안
가. 금속소재산업 협의회를 중심으로 정책 건의
나. 산.학.연.관의 파트너십 구축을 통한 상호협력 추진
다. ‘금속소재산업 상생지원 센터’설립, 운영
(2) 활성화 방안
가. 철강
나. 알루미늄
다. 마그네슘
라. 동
마. 타이타늄 소재
바. 분말소재
2. 금속소재 산업의 환경 변화
1) 정책.제도적 환경
(1) 환경규제 강화
(2) 자원공급의 불안정
2) 경제적 환경
(1) 해외 시장의 트렌드 변화
(2) 신성장 동력 산업 육성
(3) 신재생 에너지원 공급 확대
(4) 온실가스 발생저감의 효율적 대응
(5) 탈화석 연료화
(6) 생태환경보전
3) 사회적 환경
(1) 금속소재 시대의 도래
(2) 저탄소 녹색성장
(3) 고령화 사회
(4) Solution Maker
4) 기술적 환경
(1) 에너지 효율화
(2) 수요산업의 고도화
5) 경쟁국 전략
(1) 통상외교 강화
(2) 핵심 경쟁요인과 경쟁국 전략의 변화
3. 금속소재 산업의 현황 분석
1) 환경 분석
(1) 수요 측면
가. 촉진 요인
나. 저해 요인
(2) 환경 측면
가. 촉진 요인
나. 저해 요인
(3) 기술 측면
가. 촉진 요인
나. 저해 요인
2) 산업 특징 및 구조
(1) 산업의 특징
(2) 산업의 구조
4. 금속소재 분야 기업 동향
1) 가치사슬 현황
(1) Moving Metal
(2) Energy-Infra Metal
(3) Smart Metal
(4) Green Process
2) 해외 업체 현황
(1) Moving Metal
(2) Energy-Infra Metal
(3) Smart Metal
(4) Green Process
3) 국내 업체 현황
(1) Moving Metal
(2) Energy-Infra Metal
(3) Smart Metal
(4) Green Process
5. 금속소재 산업의 시장 분석
1) 금속소재 산업의 시장 현황 및 전망
2) 무역 현황
3) 업체 동향
6. 금속소재 분야 기술(특허) 분석
1) 기술 동향 분석
(1) 세계 기술 동향
(2) 국내 기술 동향
(3) 대표기술군 선별
2) 기술지수 분석
(1) 기술성장성 분석
(2) 기술수준 분석
(3) 기술장벽 분석
7. SWOT 분석 및 산업 비전
1) SWOT 분석
(1) Moving Metal SWOT 분석
(2) Smart Metal SWOT 분석
(3) Energy-Infra Metal SWOT 분석
(4) Green Process SWOT 분석
2) 산업 비전 및 목표
(1) 주요 목표 및 전략
가. 주요 목표
나. 주요 추진전략
(2) 산업 비전

제2장 금속소재 산업의 Value Chain /기술수준 분석 및 유망기술
1. 금속소재 산업의 Value Chain 분석
1) 철강 소재 분야 Value Chain 분석 및 기술수준조사
(1) 해수용 ECO 스테인리스강
(2) 수송기기용 저비중강
(3) 고효율 배기계용 페라이트계 고성형성 내산화강
(4) 4세대 원전용 고강도-고인성 압력용기 강재
(5) 고강도-고성형성 건설/운송 중장비용 강재
(6) 수송기기용 초고강도 핫스탬핑 철강소재
2) 비철금속 분야 Value Chain 분석 및 기술수준조사
(1) 자동차용 알루미늄 합금 다층 판재
(2) 자동차용 고탄성 알루미늄 합금
(3) 전기전자용 고방열 알루미늄 합금 소재
(4) 고강도.고성형성 마그네슘 연속주조 빌렛
(5) 수송기기 외장용 마그네슘 광폭 판재
(6) 수송기기 프레임용 마그네슘 압출재
(7) 자동차 부품용 철계 분말소재
(8) 전자 부품용 금속분말 소재
(9) 극한환경용 고융점 분말 소재
(10) 2차 전지용 동(Cu) 극박소재
(11) 자동차용 고내열/고탄성 동(Cu) 단자소재
(12) 고집적 반도체 및 고효율 LED용 동(Cu) 리드프레임 소재
(13) 항공기용 고강도 Ti 판재
(14) 고출력 LED용 열안정성 금속복합소재
(15) 태양전지 기판용 금속박막 소재
(16) 나노스케일의 항균코팅 금속표면소재
(17) 이지크리닝 금속표면소재
(18) 수송기기 부품용 고경도 저마찰 코팅 소재
3) 희소금속 분야 Value Chain 분석 및 기술수준조사
(1) LED 산업용 갈륨 및 갈륨 화합물 소재
(2) 적층 캐패시터용 니켈의 소재화 기술
(3) 다기능용 텅스텐 복합화 소재
(4) 형광체용 희토류 금속소재
(5) 고순도 기계소재용 코발트 소재
(6) 영구자석용 희토류 소재
2. 금속소재 기술수준 및 R&D; 투자 우선순위 분석
1) 국내 금속소재 기술수준 분석
(1) 기술분류체계
(2) 대분류 기술수준
(3) 중분류 기술수준
가. 상대수준 및 기술격차
나. 수준 도출 배경
다. 주요국별 원천·산업기술력 발전현황
(4) 소분류 기술수준
2) R&D; 투자 우선순위 분석
(1) 개발시급영역(EZ; Emergency Zone) 도출
가. 기술적 중요도가 높으나 기술수준이 낮은 영역(EZ1)
나. 시급히 개발해야 하나 기술수준이 낮은 영역(EZ2)
다. 기술의 파급효과가 높으나 기술수준이 낮은 영역(EZ3)
(2) R&D; 투자 우선순위
가. R&D; 투자 우선순위
나. 기술코드 매칭표
3. 금속소재 분야 유망기술
1) 개요
2) 유망기술체계
(1) Moving Metal
(2) Energy-Infra Metal
가. SOC
나. Plant
다. 해양
라. 비전통 오일/가스
마. 발전
바. Energy-network
사. 신재생
아. 수소경제
(3) Smart Metal
가. 정보통신 소재
나. 휴먼 소재
다. 전략희소 소재
(4) Green Process
가. Zero Emission 기술
나. 4R(Reduce, Reuse, Recycle, Replace) 기술
다. 전략 비철금속 제조기술
라. 에너지 저감 및 공정통합형 제철제강 기술
마. 전략 비철금속 제조 및 원료사용 기술

제3장 철강소재 산업의 동향
1. 철강소재 산업의 개요
1) 철강소재 산업의 정의 및 범위
(1) 정의 및 필요성
가. 정의
나.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제품 분류 관점
나. 공급망 관점
2) 철강산업의 특성 및 중요성
3) 철강산업의 변천 과정
(1) 1980년대 이전 : 일관제철소 시대 개막
(2) 1990년대 : 포항제철소의 질적 고도화
(3) 2000년대 이후 : 글로벌 경쟁력 구축
4) 철강산업의 정책 동향
(1) 1980년대 이전 : 일관제철소 건설 지원정책
(2) 1990년대 : 철강산업 질적 구조고도화 추진
(3) 2000년대 이후 : 글로벌 경영 정책
2. 철강소재 시장 동향
1) 해외 시장 동향
(1) 철강
(2) 주요국 철강산업 동향
가. 중국
나. 일본
다. 아세안
라. 유럽
(3) 주철.주강
2) 국내 시장 동향
(1) 철강
가. 철강산업 위상
나. 철강산업 동향 분석
다. 조강생산
라. 철강재 내수
마. 철강재 수출입
바. 설비 투자 및 R&D; 투자
(2) 주철.주강
3. 철강소재 산업 및 시장 분석 218
1) 니즈 분석
(1) 철강 소재의 고강도화
(2) 철강 소재의 고기능화
(3) 높은 해외 의존도와 부품소재 가격 급등으로 인한 수급 불안정성
(4) 철강 소재 신 프로세스의 개발
2) 산업 특징 및 구조
3) 시장 현황 및 전망 분석
(1) 철강 수요 동향
(2) 철강 생산 동향
(3) 철강 가격 동향
4) 공급망(분류)에 따른 분석
(1) 세계 업체 및 제품 현황
(2) 국내 업체 및 제품 현황
5) 2013년 세계 철강산업 전망
4. 철강소재 분야 기술 및 특허 분석
1) 기술 동향
(1) 해외 기술 동향
가. 철강
나. 주철.주강
(2) 국내 기술 동향
가. 철강
나. 철강 세부제품별 기술동향
다. 주철.주강
2) 특허 동향
(1) 세계 특허 동향
(2) 국내 특허 동향
3) 철강소재 분야 기술군 도출
(1) 특허 및 논문을 이용한 기술군 클러스터링
(2) 클러스터링을 통한 전문가 기반의 요소기술 도출
4) 철강소재 분야 기술지수 분석
(1) 기술성장성 분석
(2) 기술수준 분석
5. 철강산업 외부환경 및 내부역량 분석
1) 외부환경 분석
(1) 거시 환경 분석
가. 세계 철강 생산 규모의 지속 확대
나. 신흥국 중심의 수요 성장구조 강화
다. 철강 원자재 가격 상승 및 수급 불균형
라. 기후변화에 따른 온실가스 규제 강화
(2) 글로벌 시장 동향 분석
가. 중국?인도의 철강 생산/소비 중심국 부상
나. 동아시아 시장의 경쟁 심화
다. 철강산업의 통합화?전략적 제휴 가속화
라. 철강제품의 수요구조 변화
(3) 글로벌 기술 및 정책 동향 분석
가. 미국 : 철강산업의 경쟁력 제고 전략
나. 일본 : 철강소재 성능 한계돌파 전략
다. EU : 친환경/고부가가치화를 위한 기술확보 전략
라. 중국 : 구조조정을 통한 경쟁력 확보 전략
2) 철강산업 내부역량 분석
(1) 철강산업의 글로벌 Position
(2) 기술수준 분석
(3) 국내 철강산업의 핵심역량 및 경쟁력의 원천
가. 원가 우위 유지
나. 기술혁신
다. 안정적인 내수기반
6. 철강산업 발전 전략
1) 산업 전략
(1) 전략적 분석
가. SWOT 분석
나. PPM 분석
(2) 제품 전략
가. 핵심육성 제품
나. 미래육성 제품
(3) 시장 전략
(4) 원료혁신 전략
2) 기술 전략
(1) 핵심기술 확보방안(핵심육성제품)
가. 수송기계용(주요기술)
나. SOC용(주요기술)
다. 신성장 동력용(주요기술)
라. 에코스틸

제4장 비철경량금속소재 산업의 동향
1. 비철경량금속소재 산업의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1) 정의
(2)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1) 제품 분류 관점
(2) 공급망 관점
3) 비철산업의 특성
(1) 범용소재 중심의 저부가가치 산업구조
(2) 그린수송, IT융합의 핵심기반소재로서 미래유망산업
(3) 수요기업과 연관효과가 매우 높은 산업
2. 비철경량금속소재 시장 동향
1) 해외 시장 동향
(1) 알루미늄
(2) 동
가. 동향
나. 전망
(3) 아연
(4) 연
가. 동향
나. 전망
(5) 타이타늄
(6) 마그네슘
2) 국내 시장 동향
(1) 알루미늄
(2) 동
(3) 아연
(4) 연
(5) 타이타늄
(6) 마그네슘
3) 비철금속 국내 수급 동향
(1) 비철금속 수급량 추이
(2) 향후 전망
4) 주요 비철금속 국제가격 동향
(1) 주요 비철금속 국제가격 동향
(2) 연도별 비철금속 가격 동향
가. 2006년 비철금속 가격 동향
나. 2007년 비철금속 가격 동향
다. 2008년 비철금속 가격동향
라. 2009년 비철금속 가격동향
마. 2010년 비철금속 가격동향
바. 2011년 비철금속 가격동향
사. 2012년 비철금속 가격동향
(3) 2013년 비철금속 가격전망
3. 비철경량금속소재 산업 및 시장 분석
1) 니즈 분석
(1) 미래형 수송기기 경량화
(2) 기능성 고부가가치 비철금속소재
(3) 융합신산업에 적합한 친환경 복합 비철소재 기술 개발
2) 산업 특징 및 구조
3) 시장 현황 및 전망 분석
4) 공급망(분류)에 따른 분석
(1) 세계 업체 및 제품 현황
(2) 국내 업체 및 제품 현황
4. 비철경량금속소재 분야 기술 및 특허 분석
1) 기술 동향
(1) 해외 기술 동향
가. 알루미늄
나. 아연
다. 타이타늄
라. 마그네슘
(2) 국내 기술 동향
가. 알루미늄
나. 아연
다. 타이타늄
라. 마그네슘
2) 특허 동향
(1) 세계 특허 동향
(2) 국내 특허 동향
3) 비철경량금속소재 분야 기술군 도출
(1) 특허 및 논문을 이용한 기술군 클러스터링
(2) 클러스터링을 통한 전문가기반의 요소기술도출
4) 비철경량금속소재 분야 기술지수 분석
(1) 기술성장성 분석
(2) 기술수준 분석
(3) 기술장벽 분석
5. 비철산업 외부환경 및 내부역량 분석
1) 외부환경 분석
(1) 시장 규모
(2) 경쟁 동향
(3) 정책 동향
(4) 기술 동향
2) 내부 역량 분석
(1) 글로벌 포지션
(2) 핵심 역량 및 기술경쟁력
(3) 미래 트랜드 및 핵심이슈
가. 신기능 비철소재의 거시적 트랜드 변화 및 핵심이슈
나. 비철소재부품의 핵심이슈
6. 비철산업 발전 전략
1) 산업 전략
(1) SWOT 분석
(2) PPM 분석
(3) 제품 전략
(4) 시장 전략
(5) Biz Model 혁신전략
(6) 인프라 전략
2) 기술 전략
(1) 유망 제품/부품에 필요한 전략기술 도출
(2) 유망 제품/부품 육성을 위한 핵심기술
가. 희소자원 확보와 관련한 전략기술
나. 수송기기 경량화에 필요한 비철소재 기술
다. IT 융합에 필요한 신기능 창출형 스마트 비철소재 기술
라. 도시광산사업에 필요한 기술 및 재활용 소재기술
마. 친환경 제련 및 저가공정기술
바. 미래 비철산업의 고도화에 필요한 미래지향적 융복합소재기술

제5장 금속분말공정 산업의 동향
1. 금속분말공정의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1) 정의
(2)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1) 제품 분류 관점
(2) 공급망 관점
2. 금속분말 시장 동향
1) 해외 시장 동향
2) 국내 시장 동향
3. 금속분말공정 산업 및 시장 분석
1) 니즈 분석
(1) 시장 니즈 1 : 다양한 용도의 철계 분말 소재
(2) 비철금속분말의 수요확대에 따른 가격 상승
(3) 금속분말공정 및 부품의 국산화
2) 산업 특징 및 구조
3) 시장 현황 및 전망 분석
4) 공급망(분류)에 따른 분석
(1) 세계 업체 및 제품 현황
(2) 국내업체 및 제품 현황
4. 금속분말공정 분야 기술 및 특허 분석
1) 기술 동향
(1) 해외 기술 동향
(2) 국내 기술 동향
2) 특허 동향
(1) 세계 특허 동향
(2) 국내 특허 동향
3) 금속분말공정 분야 기술군 도출
(1) 특허 및 논문을 이용한 기술군 클러스터링
(2) 클러스터링을 통한 전문가기반의 요소기술도출
4) 금속분말공정 분야 기술지수 분석
(1) 기술성장성 분석
(2) 기술수준 분석
(3) 기술장벽 분석
5. 금속분말 사출성형과 싱글 스텝 방법
1) 기술의 개요
2) 기술의 내용
(1) 금속분말의 사출성형의 특징
가. 장점
나. 단점
다. 공정
(2) 사출성형에 사용되는 금속분말 재료
가. 금속분말 사출성형용 재료로 대표적인 분말
나. 사출성형용 분말에 요구되는 특성
(3) 바인더(binder)
(4) 탈지공정(脫脂工程)
가. 탈지 방법
나. 분위기 가스
(5) 소결공정, 후처리 공정
가. 소결공정
나. 후처리 공정
(6) 금속분말 사출성형과 플라스틱 사출성형의 차이점
가. 사출금형 설계 시의 차이
나. 사출성형과의 차이
3) 싱글 스텝 방법
(1) 싱글 스텝 시스템의 특징
(2) 싱글 스텝 시스템에 의한 금속분말 사출성형의 예
6. 금속분말의 레이저공정 기술 동향
1) 분말 용융의 분류
(1) 고체 입자간 결합(solid state sintering)
(2) 액상 소결(liquid phases sintering)
(3) 부분 용융(partial melting)
(4) 완전 용융(full melting)
2) 레이저 용융 공정 기술
(1) 선택적 레이저 소결(selective laser sintering; SLS)
(2) 선택적 레이저 용융(selective laser melting; SLM)
(3) 레이저 클래딩(laser cladding, LC)
3) 응용 분야
4) 향후 전망
7. 자성분말소재 기술 동향
1) 산업 동향
2) 시장 동향
3) 기술 동향
(1) 희토류 영구자석 소재
(2) 비정질 및 나노결정 연자성 소재
(3) 국내 연구개발 현황

제6장 희소금속소재 산업의 동향
1. 희소금속소재의 개요
1) 희소금속소재의 정의 및 범위
(1) 정의 및 필요성
가. 정의
나.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제품 분류 관점
나. 공급망 관점
2) 희소금속의 특성
(1) 산업적 특성
(2) 기술적 특성
3) 희소금속 산업의 중요성
(1) 경제.산업적 측면
(2) 기술적 측면
(3) 사회적 측면
4) 희소금속 산업 발전전략
5) 주요국의 희소금속 확보 전략
(1) 중국
(2) 일본
(3) EU
(4) 미국
6) 희소금속의 부상 이유
(1) 수요 확대
(2) 공급은 매우 제한적
(3) 중국의 자원무기화 움직임이 공급불안을 촉발
(4) 수급 악화로 가격이 급등하고 변동성이 확대
(5) 희소금속 확보 경쟁은 갈수록 치열
2. 희소금속소재 시장 동향
1) 해외 시장 동향
(1) 공급국
가. 중국
나. 몽골
(2) 수요국
가. 일본
나. 미국
(3) 한.중.일 3국 수요 공급 구조
(4) 첨단산업 제품에 필요한 전략 희소금속 자원소재 수요 증대
(5) 희소금속 리싸이클링 시장 형성
2) 국내 시장 동향
3) 2012년 국내 10대 희소금속 수입동향
(1) 품목별 동향
가. 희토류
나. 망간
다. 몰리브덴
라. 코발트
마. 텅스텐
바. 티타늄
사. 리튬
아. 마그네슘
자. 인듐
차. 크롬
3. 희소금속소재 산업 및 시장 분석
1) 니즈 분석
(1) 희소금속의 국내 수급 역량 강화
(2) 희소금속산업의 value-chain 형성
(3) 희소금속 관련 전문 기관의 부재
2) 희소금속 산업 특징 및 구조
3) 희소금속소재 시장 현황 및 전망 분석
4) 희소금속소재 분야 공급망(분류)에 따른 분석
(1) 세계 업체 및 제품 현황
(2) 국내 업체 및 제품 현황
4. 희소금속소재 분야 기술 및 특허 분석
1) 기술 동향
(1) 해외 기술 동향
가. 일본
나. 미국
다. 중국
(2) 국내 기술 동향
2) 특허 동향
(1) 세계 특허 동향
(2) 국내 특허 동향
3) 희소금속소재 분야 기술군 도출
(1) 특허 및 논문을 이용한 기술군 클러스터링
(2) 클러스터링을 통한 전문가기반의 요소기술도출
4) 희소금속소재 분야 기술지수 분석
(1) 기술성장성 분석
(2) 기술수준 분석
(3) 기술장벽 분석
5. 도시광산 내 희소금속의 잠재가치
1) 도시광산의 정의 및 가치
2) 국내 도시광산
(1) 경제적 가치
(2) 도시광산 내 희소금속 규모
가. 폐자원 내 희소금속 함유량을 추정할 필요
나. 자동차 내 희소금속의 잠재가치
다. 전기.전자 기기 내 희소금속 잠재가치
(3) 추정 과정
가. 폐자원별 희소금속 함유량
나. 폐자원별 희소금속 1대당 함유량(g)
다. 폐자원별 희소금속의 가치
라. 전기.전자 기기의 희소금속 총 가치: 9,803억원
(4) 희소금속의 미래
가. 희소금속 시장은 2020년 33조원까지 확대
나. 2차전지 보급이 희소금속 시장의 확대를 견인
3) 일본의 도시광산
(1) 도시광산 규모
(2) 관련 정책 및 성과
가. 재활용을 희소금속 확보의 주요 축으로 설정
나. 도시광산 활성화를 위해 재활용시스템을 강화
다. 폐기기 재활용 비율이 꾸준하게 증가
라. 휴대폰 등 소형가전의 회수도 본격화
마. 지자체와 기업이 자체적으로 재활용을 비즈니스화
(3) 주요 기업 사례
가. 요코하마금속 - 휴대폰에서 금을 추출한 재활용계의 선구자
나. DOWA홀딩스 - 도시광산 업계의 최대 기업
다. 히타치 - 자사 소비량의 10%를 도시광산에서 조달
라. 신에쓰화학 - 사내 광산을 이용해 10% 이상 재활용
마. 미쓰비시광물 - 희소금속 함유 여부를 판단해 효율성을 제고
바. JX닛코닛세키금속 - 기초금속과 희소금속 회수를 병행해 경제성을 확보
사. 모리시다은단 - 미생물을 활용한 희소금속 추출에 성공
6. 비철/희소금속 비축현황 및 운영 효율화
1) 조달청 원자재 비축사업 현황
(1) 비축 현황
(2) 방출
2) 가격 동향 및 전망
(1) 가격 동향
(2) 향후 가격 전망
3) 운영 효율화 방안
(1) 원자재 비축량 확대로 수급.가격 조절기능 제고(2012년 하반기)
(2) 민관공동비축 구리 ETF 상장(2012.7월)
(3) 중소기업 수요가 많은 품목 위주로 비축 대상.규격 다양화(2012.9월)
(4) 수급불안 시 방출량 확대 및 방출가격 할인(수급불안 시)
(5) 희소금속 상시 방출 도입(2012.9월)
(6) 창고증권 방출제도 도입(2012.6월)
(7) 비축물자 전달체계를 개선하여 공정성.효율성 제고(2012.8월)
7. 폐희유금속자원 산업 동향
1) 해외 산업 동향
(1) 폐희유금속 현황
가. 일본
나. 중국
(2) 폐금속자원 재활용 관련 법 및 제도
가. 일본
나. 중국
(3) 희유금속 관련 정책
가. 일본
나. 중국
(4) 폐금속자원 재활용 업체 동향
가. 일본
나. 중국
(5) 폐희유금속 재활용 기술 동향
가. 일본
나. 중국
다. 유럽
2) 국내 산업 동향
(1) 폐금속자원 산업
(2) 폐희유금속 재활용 업황
(3) 폐희유금속 재활용 기술 동향 및 수준
3) 폐희유금속 재활용 문제점 및 개선방안
(1) 폐희유금속 재활용 업체 현황
(2) 폐금속 재활용 문제점
가. 선별.분류를 위한 전처리 기술 및 시스템의 부족
나. 물량확보의 어려움
다. 대기업 중심으로 편재된 산업구조
라. 폐자원에 대한 국내제도의 미비
(3) 폐금속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
가. 전처리를 위한 지원방안
나. 물량확보를 위한 제도 개선 및 법적 규제 완화
다.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상생관계 정립 필요
라. 국내 재활용제도의 강화

제7장 금속부품소재 산업 분석
1. 금속부품소재 산업의 개요
1) 금속부품소재 산업의 정의 및 중요성
(1) 정의
(2) 금속 부품소재 산업의 중요성
2) 매크로 환경 분석
(1) 정치/정책 변화
(2) 거시경제의 환경변화
(3) 사회환경의 변화
(4) 기타
3) 금속 부품소재 산업의 미래 성장 방향
(1) 시장성장 추이/전망
가. 주력산업 금속소재 분야
나. 에너지 산업 금속소재 분야
다. 융합 신산업 금속소재 분야
(2) 경쟁 동향 분석
가. 주력산업 금속소재 분야
나. 에너지산업 금속소재 분야
다. 융합 신산업 금속소재 분야
라. 정보통신 산업 금속소재 분야
(3) 정책 동향 분석
가. 주력산업 금속소재 분야
나. 에너지 산업 금속소재 분야
다. 융합 신산업 금속소재 분야
라. 정보통신 산업 금속소재 분야
(4) 기술 동향 분석
가. 주력산업 금속소재 분야
나. 에너지 산업 금속소재 분야
다. 융합 신산업 금속소재 분야
라. 정보통신 산업 금속소재 분야
4) 금속 부품소재 산업의 미래 패러다임 변화
2. 금속부품소재 산업 내부역량 분석
1) 글로벌 시장 포지션
(1) 주력산업 금속소재 분야
(2) 에너지산업 금속소재 분야
(3) 융합 신산업 금속소재 분야
(4) 정보통신 산업 금속소재 분야
2) 핵심 역량 보유 수준 평가
(1) 주력산업 금속소재 분야
(2) 에너지산업 금속소재 분야
(3) 융합 신산업 금속 소재 분야
(4) 정보통신 산업 금속소재 분야
3) 핵심이슈 분석
(1) 주력산업 금속소재 분야
(2) 에너지산업 금속소재 분야
(3) 융합 신산업 소재 분야
(4) 정보 통신 산업 금속소재 분야
3. 금속부품소재 산업 전략
1) 금속 부품소재 산업 전략(Overview)
2) 중점육성제품별 전략 과제
(1) 초경량 금속부품소재
(2) 한국형 원자력 부품소재
(3) 의료용 Biometals
(4) 국가전략 희소금속소재
(5) 항공/조선용 금속부품소재
가. 항공용 금속부품소재
나. 조선용 금속부품소재
(6) 대형풍력발전 금속부품소재
(7) 초정밀 금형/공구 소재
4. 금속부품소재 기술 전략
1) 중점육성제품에 필요한 전략기술 도출
(1) 중점육성제품 육성을 위한 필요 기술 List
가. 초경량 금속부품소재
나. 한국형 원자력/화력 부품소재
다. 의료용 Biometals
라. 국가전략 희소금속 소재
마. 항공/조선용 금속부품소재
바. 대형풍력발전 금속부품소재
사. 초정밀 금형/공구 소재
(2) 중점육성제품 육성을 위한 전략 기술 도출
2) 전략 기술 확보 방안
3) 중점육성기술 R&D; 전략 추진 과제
(1) 초경량 금속 부품소재
(2) 한국형 원자력/화력 부품소재
(3) 의료용 Biometals
(4) 국가전략 희소금속소재
(5) 항공/조선용 금속부품소재
(6) 대형풍력발전 금속부품소재
(7) 초정밀 금형/공구 소재
통계(도표) 목차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