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차세대 디스플레이 OLED, AMOLED, 플렉서블 시장전망과 특허 표준화기술 및 산업동향분석

차세대 디스플레이 OLED, AMOLED, 플렉서블 시장전망과 특허 표준화기술 및 산업동향분석

  • R&D;정보센터
  • |
  • 지식산업정보원
  • |
  • 2013-10-30 출간
  • |
  • 522페이지
  • |
  • 215 X 300 mm
  • |
  • ISBN 9788994111681
판매가

320,000원

즉시할인가

288,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88,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본서의 특징

21세기, 현재 우리는 정보화 시대에 살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 디스플레이 산업은 우리의 요구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매체이자 효율적인 정보전달의 수단으로서 자리 잡게 되었다. 디스플레이 산업은 사람에게 정보를 주는 동시에 오감을 만족시켜 주는 매체의 역할을 하면서 성장하고 있다. 2000년 이후 디스플레이 산업은 CRT에서 LCD로 변화를 겪으면서 크게 도약하였다. 노트북 PC 시장에서 LCD 패널이 빠른 속도로 탑재되면서 시작한 디스플레이 산업 시장은 LCD-TV의 본격화로 비약적인 성장을 기록하였다.

디스플레이 산업은 시장 규모 1100억 달러 이상의 거대 산업으로 노트북, 모니터, TV 시장과 더불어 성장하여 왔으며, 우리나라가 세계시장 점유율 44% 이상을 점하며 350억 달러 이상을 수출하는 국가기간산업으로 성장하였으나, 최근 LCD 시장의 정체, 중국의 도전에 의해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해야 하는 상황에 있다. 이렇듯, 새로운 성장을 위해서는 AMOLED와 같은 차세대 디스플레이 시장으로 전환되어야 하며, AMOLED 패널을 탑재한 디스플레이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투명디스플레이와 접목되어 새로운 시장으로 적용영역을 넓히게 되면, 디스플레이 산업은 새로운 성장국면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연간 50% 이상 고속 성장하는 AMOLED가 차세대 디스플레이 시장을 선도할 것으로 전망되며, 특히 유비쿼터스 시대로 진입함에 따라 실감화, 다기능화, 경량화ㆍ 초박형화, 대형화를 추구하는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욕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상용화는 디스플레이 산업의 영역을 대폭 확대시켜 새로운 성장을 할 수 있는 획기적인 계기가 될 것이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OLED/AMOLED/OLED조명/플렉서블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 산업 분야 원천기술 개발 확보를 통한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고자 관련기관들의 정보를 분석 정리하여「차세대 디스플레이 OLED/AMOLED/플렉서블 시장전망과 특허·표준화기술 및 산업동향분석」을 발간하였다. 본서 제1편에서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산업 전반에 대한 시장동향, 기술동향, 정책동향 및 경쟁력 분석을 수록하였으며, 제2편에서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산업의 성장 기대주로 꼽히는 OLED, AMOLED, OLED 조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분야 시장동향 및 특허ㆍ표준화기술 등 산업동향을 수록하였다. 아무쪼록 본서가 미력이나마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분야 종사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목차


제1편 차세대 디스플레이 산업동향 및 기술동향
제1장 차세대 디스플레이 산업동향
1. 디스플레이 개요
1) 차세대 디스플레이 산업의 개념 및 분류
(1) 디스플레이 산업의 개념 및 범위
(2) 차세대 디스플레이 분류 및 유형
가. AMOLED
나. 3D 디스플레이
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라. 투명 디스플레이
마. 홀로그램
2) 디스플레이 산업 특성
(1) 대규모 투자 수반되는 수출주도산업
가. 장치산업
나. 전ㆍ후방 연관효과
다. 산업위상
(2) 새로운 시장 창출
(3) 세계 1위를 지속 성장키 위한 주도권 유지방안 마련 시급
3) 디스플레이 산업 발전 경로
(1) 기술 변화
(2) 발전과정
4)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중요성
(1) 평판화, 슬림화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진화
(2)‘차세대’는 소비자에 대한 새로운 경험 제공이 요체
(3) 신성장동력으로서 차세대 디스플레이 개발이 절실
5) 국가별 차세대 디스플레이 지원 현황
(1) 미국 (2) 유럽 (3) 일본 (4) 대만
2. 디스플레이 산업의 환경 변화
1) 정책?제도적 환경
(1) 중국 LCD 산업의 급부상
(2) 대만의 추격 본격화
(3) 중국의 디스플레이 수입 관세 강화
(4) 디스플레이 시장의 진입을 위한 중국의 투자 확대
(5) 무안경식 3D TV 관련 시험방송 서비스 추진
(6) 녹색 산업인 OLED 조명 기술 개발 지원 확대
(7) 중국의 바이차이나 정책과 대만과의 경제협력 강화
2) 경제적 환경
(1) 저가-고가 제품으로 구매층의 양극화 심화
(2) 무선데이터 시장 확대
(3) 시장 경쟁 심화
(4) 신흥시장의 중요성 대두
(5) FTA 등 무역환경의 변화
3) 사회적 환경
(1) 동북아 LCD경쟁 심화 → 공급과잉(치킨게임)
가. 한국 나. 일본 다. 대만 라. 중국
(2) 주도권 경쟁을 위한 공급능력 확대는 지속될 전망
4) 기술적 환경
(1) AMOLED는 Smart Phone 점유율 확대 및 TV용 기술로의 발전전개
(2) 신규 AMOLED 사업에 뒤진 대만?일본 업체들은 TV용 등으로 대형화 시도
(3) 친환경, 대면적, 실감화 추세의 가속(LCD)
(4) Flexible 디스플레이 기술의 경쟁 심화
(5) 무안경식 저피로?실감형 3D 기술의 대두
(6) 무안경식 3D 디스플레이 기술의 중요성과 전망
(7) 저탄소 녹색성장 기술 수요 증가
(8) 가격 경쟁력 및 품위 확보를 위한 PDP 기술 개발
가. 지속적인 가격 경쟁력 유지
나. 고품위 화질 확보를 위한 기술 개발
다. 저소비 전력 기술의 개발
3. 차세대 디스플레이 산업 현황 분석
1) 환경 분석
(1) 수요측면(Needs)
가. 촉진 요인 나. 저해 요인
(2) 환경측면(Environment)
가. 촉진 요인 나. 저해 요인
(3) 기술측면(Technology)
가. 촉진 요인 나. 저해 요인
2) 산업 특징 및 구조
(1) 산업의 특성
(2) 산업 구조
4. 차세대 디스플레이 시장 동향
1) 세계 시장 동향
(1) 세계 시장 현황 및 전망
가. 글로벌 패널업체들의 설비투자규모대비 수요정체로 공급과잉 우려
나. 부품소재?장비 시장전망
(2) 국가별 시장 동향
가. 대만 나. 일본 다. 중국
2) 국내 시장 동향
(1) 생산 및 수출
가. 생산 나. 수출
(2) 패널 및 장비
가. 패널 나. 장비
(3) 부품 및 소재
(4) 시장 점유율
(5) 고용
(6) 국내외 투자
3) 차세대 디스플레이 시장 분석
(1) 시장 현황 및 전망
(2) 무역 현황
(3) 업체 동향
4) 주요 시사점
제2장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동향
1.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 개요
1) 기술의 정의 및 범위
(1) 기술의 정의
(2) 기술의 범위
(3) 세부기술
2) 기술의 전략적 중요성
2.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 동향
1) 주요 선진국의 산업 및 기술개발 동향
(1) 산업 동향 가. 일본 나. 미국 다. 유럽
(2) 기술개발 동향
(3) 세계 최고기술 보유국·기관 및 주요 연구 내용
(4) 주요국의 해당기술 관련 정책·프로그램(연구비 포함)
(5) 최고 기술보유국의 높은 기술수준 원인
2) 후발경쟁국의 산업 및 기술개발 동향
(1) 산업동향
(2) 기술개발 동향
(3) 경쟁기술 보유국·기관 및 주요 연구 내용
(4) 경쟁기술보유국의 해당기술 관련 정책·프로그램 및 프로젝트 내용(연구비 포함)
(5) 경쟁기술보유국의 기술수준 달성원인 및 최고기술 대비 격차발생 원인
3) 국내 산업 및 기술개발 동향
(1) 기술개발 동향
(2) 국내 기술보유기관 및 주요 연구 내용
(3) 우리나라의 해당기술 관련 정책·프로그램(연구비 포함)
(4) 국내 보유 기술수준 달성원인 및 최고기술 대비 격차발생 원인
4)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 발전 방향
5)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 전망
(1) 고성능, 다기능 차세대 디스플레이 개발 현황 및 전망
가. 차세대 AMOLED 산업 현황 및 전망
나. 투명 디스플레이 개발 현황 및 전망
다. OLED 조명 개발 현황 및 전망
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개발 현황 및 전망
(2) 미래 디스플레이 기술 전망
6)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최신 R&D; 동향
(1) R&D; 트렌드와 주요 이슈
(2) 최근 R&D; 동향
가. 잉크
나. 디스플레이 소재 1
다. 디스플레이 소재 2
라. 디스플레이 소재 3
(3) 시사점
가.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 R&D; 시사점
나. R&D; 정책 시사점
3. 차세대 디스플레이 표준화 및 정책 동향
1) 표준화 동향 및 대응전략
(1) 해외 표준화 동향
가. 표준화 동향 나. 대응전략
(2) 국내 표준화 동향
가. 표준화 동향 나. 대응전략
2) 정책 동향
(1) 해외 동향
(2) 국내 동향
4. 차세대 디스플레이 특허 동향
1) 특허 동향 분석
(1) 세계 동향
(2) 국내 동향
(3) 대표 기술군 선별
2) 기술지수 분석
(1) 기술성장성 분석
(2) 기술수준 분석
(3) 기술장벽 분석
5. 차세대 디스플레이 경쟁력 분석
1) 기술수준 분석
(1) 기술수준
(2) 기술격차년수
2) 특허관점의 기술경쟁력 분석
3) SWOT 분석
4) 산업 비전 및 목표
6. 차세대 디스플레이 유망기술
1) 유망기술의 체계도
(1) AMOLED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3) 3D Display
(4) OLED 조명
(5) 다기능 디스플레이
가. UI/UX 나. 투명 디스플레이
2) 유망기술체계도

제2편 차세대 디스플레이 분야별 산업동향
제1장 OLED 산업동향
1. OLED 개요
1) OLED 개념 및 종류
(1) OLED 개념
(2) OLED 종류
2) OLED 구조 및 기술 원리
(1) OLED 구조
(2) OLED 기술 원리
3) OLED의 분류
(1) 발광 재료
가. 저분자의 특징 나. 고분자의 특징
(2) 발광 구조
(3) 구동 방식
4) OLED 산업의 부상 요인
(1) 침체에 빠진 디스플레이 산업의 돌파구
(2) 공급자에게 더 많은 부가가치 제공
2. OLED 가치사슬 분석
1) OLED 공정
(1) TFT 공정
가. TFT 개념
나. OLED TFT
다. OLED TFT 채용 현황
(2) 증착 공정
가. 증착 개념 및 채용 현황
나. FMM Evaporation (Fine Metal Mask)
다. HPS(Hybrid Pattering System)
라. SMS(Small Mask Scanning)
(3) 봉지 장비
가. 봉지 장비 개념
나. 중소형 패널-전면발광
다. 대형 패널-후면발광
2) OLED 소재
3) OLED 부품
3. OLED 산업 동향
1) 디스플레이 산업 현황
2) OLED 발광소재의 현황
3) OLED 투자 동향
(1) 지역별 투자 동향
가. 일본 나. 대만 다. 중국 라. 한국
(2) OLED 제조 기술 투자 동향
가. Backplane
나. OLED
다. Encapsulation
4) OLED supply chain
(1) OLED 장비 supply chain
(2) OLED 재료 supply chain
4. OLED 시장 동향
1) OLED 원가구조 및 생산비중
2) OLED 시장 규모
(1) 세계 현황
(2) 국내 현황
3) OLED 시장 현황
(1) 세계 시장 현황
(2) 국내 시장 현황
4) OLED 시장 전망
(1) 2013년 전망
(2) 2013년 시장 키워드
가. 수율개선
나. 고해상도
다. Flexible
라. OLED TV
(3) 분야별 시장 전망
5. OLED 기업 동향
1) 해외 기업 동향
2) 국내 기업 동향
3) OLED 경쟁력 현황
(1) 주요 경쟁 현황
(2) 국내 기술경쟁력 현황
6. OLED 분야별 주요 기술
1) 유연기판 기술
(1) 유연기판 재료
(2) 기판 가스배리어 기술
2) 소자 기술
(1) 적층형 OLED
(2) 발광재료
(3) 풀컬러 AMOLED
3) 봉지 기술
(1) 캡 방식 봉지기술
(2) 박막 밀봉 기술
(3) 하이브리드 봉지 기술
4) 구동회로 기술
5) 유기박막형성 기술
(1) 대면적 증착 기술
(2) 레이저 기술
(3) 프린팅 기술
7. OLED TV 기술개발 동향
1) OLED TV 개요
(1) AMOLED
가. AMOLED 장점
나. AMOLED 단점
다. AMOLED 개발 연혁
(2) OLED TV
2) OLED TV 트렌드
3) OLED TV 개발 동향
(1) 해외 개발 동향
가. 소니 나. 파나소닉
(2) 국내 개발 동향
가. 삼성 나. LG
(3) 대형 OLED의 속도 조절
가. 삼성?LG, 양산 임박한 OLED TV 전면 재검토 선언
나. 삼성과 LG의 각기 다른 OLED TV 기술방식에 의한 차이도 발생
다. 대형 패널 TV 양산을 앞두고 기술적 한계을 극복하지 못한 삼성?LG
4) OLED TV가 디스플레이산업에 미치는 영향
(1) AMOLED의 위협과 한계
(2) LCD 사례를 통한 TV 시장 특성 분석
(3) 디스플레이 업체들의 고민과 선택
5) 디스플레이산업에서 TV 시장의 중요성
제2장 AMOLED 산업동향
1. AMOLED 기술 개요
1) AMOLED 기술 특성
(1) OLED 기술
(2) AMOLED 특성
(3) AMOLED 디스플레이 기술
2) AMOLED 기술의 분류
(1) 전면발광방식(Top emission)과 배면발광방식(Bottom emission)
(2) 저분자 OLED와 고분자 OLED
가. OLED의 기본 구조 및 발광 메커니즘
나. 저분자와 고분자 OLED의 비교
(3) 저분자 OLED
가. 적색 형광 물질
나. 녹색 형광 물질
다. 청색 형광 물질
라. 인광 재료
3) AMOLED 산업의 부상 배경
(1) 첨단기술 신산업 분야 중 국내 최초로 상업화에 성공
(2) 시장 잠재력이 높은 산업
2. AMOLED 시장 동향
1) 세계 시장 현황
2) 국내 시장현황
3. AMOLED 기술개발 동향
1) 기술개발 추진현황
(1) 해외 현황
(2) 국내 현황
2) AMOLED 표준화 및 정책 추진 동향
(1) 표준화 동향
(2) 정책 동향
3) 기술발전 및 미래전망
(1) 제안된 기술의 타당성 및 실현가능성
가. OLED 소재 및 소자
나. AMOLED TFT
(2) 기술이전 및 상용화 가능성
(3) 타 기술(제품)과의 활용성 및 연계성 등 파급효과
(4) 배출인력 활용 등 파급효과
4. AMOLED 기업 동향
1) 가치사슬 현황
2) 국내·외 주요기업 현황
(1) 해외 업체 현황
(2) 국내 업체 현황
5. AMOLED 분야 특허 동향
1) AMOLED 패널
(1) 중소형 AMOLED 패널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2) 대형 AMOLED 패널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3) 투명 AMOLED 패널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2) AMOLED 공정 장비
(1) Backplane 장비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2) 화소형성장비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3) 봉지 장비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4) 모듈 공정/평가 장비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5) 공정장비부품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3) AMOLED 재료
(1) 전극재료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2) 전하주입 및 수송재료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3) 발광재료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4) 봉지재료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5) 광학필름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6) 구동부품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4) AMOLED 소자 및 공정
(1) TFT 소자 및 공정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2) OLED 소자 및 공정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5) AMOLED 모듈
(1) 중소형 AMOLED 모듈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2) 대형 AMOLED 모듈 291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291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292
다. IPC별 출원현황 293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293
(3) 투명 AMOLED 모듈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6. AMOLED 분야 경쟁력 분석
1) AMOLED 산업의 경쟁구도
(1) 선?후발 업체의 격차 유지 가능
(2) 장비 및 소재 부문도 영향력 확대
(3) 차세대 디스플레이 패널 경쟁을 촉진
2) 국내 경쟁력 분석
(1) 국내 기술 수준
(2) 국내 기술경쟁력 분석
(3) SWOT 분석
제3장 OLED 조명 산업동향
1. OLED 조명 개요
1) OLED 조명 개념 및 특성
2) 조명 소자로서 OLED
3) OLED 조명 산업 구조
4) OLED 조명의 현황
2. OLED 조명 시장 동향
1) 시장규모 및 전망
2) 시장 현황 및 전망
3. OLED 조명 기술개발 동향
1) OLED 조명 개발 현황
2) 업체별 개발 현황
(1) 해외 업체 현황
가. 오스람
나. 필립스
다. GE
라. 파나소닉
마. 루미오텍(Lumiotec)
바. Konica Minolta 홀딩스
(2) 국내 업체
가. OLED 소재업체
나. OLED 패널업체
다. OLED 장비업체
3) 해외 기술 동향
(1) 미국 (2) 유럽 (3) 영국 (4) 일본
4) 국내 기술 동향
4. OLED 조명의 미래 및 기술적 과제
1) OLED 문제점 및 기술적 과제
(1) 가격경쟁력
(2) 수명
(3) 향후 화소형성 장비
(4) 봉지 재료
2) OLED 조명의 미래
5. OLED 조명 기업 동향
1) 가치사슬 현황
2) 기업 현황
(1) 해외 업체 현황
(2) 국내 업체 현황
6. OLED 조명 특허 동향
1) OLED조명용 패널
(1) 백색 OLED 패널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2) 투명 OLED 패널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3) 색가변 OLED 패널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4) 플렉시블 OLED 패널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2) OLED조명용 모듈
(1) 광원 모듈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2) 융합 모듈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3) OLED조명용 소자/공정
(1) 조명용 OLED 소자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2) 조명용 OLED 공정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4) OLED조명용 장비
(1) 전공정 장비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2) 유기층 형성 장비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3) 봉지 장비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4) 검사/평가 장비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5) OLED조명용 부품/소재
(1) 공정장비부품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2) 전극재료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3) 주입수송재료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4) 발광재료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5) 봉지재료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6) 광학필름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7) 구동부품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7. LED/OLED 광원
1) LED/OLED 광원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제품 분류 관점
나. 공급망 관점
2) LED/OLED 광원 산업 및 시장 분석
(1) 니즈 분석
가. LED/OLED의 응용분야의 확대
나. 글로벌 조명기업들의 기술시장 선점으로 인한 높은 해외 의존도
다. 중국산 저급 LED 광원과 글로벌 조명기업의 고가 LED 광원
라. 반도체, 자동차, 디스플레이 등 우수한 관련 기술 활용 가능
(2) 산업 특징 및 구조
(3) 시장 현황 및 전망
(4) 공급망(분류)에 따른 분석
3) LED/OLED 광원 제품 특허 분석
(1) 기술 동향
가. 세계 동향 나. 국내 동향
(2) 기술군 도출
가. 특허 및 논문을 이용한 기술군 클러스터링
나. 클러스터링을 통한 전문가기반의 요소기술도출
(3) 기술지수분석
가. 기술성장성 분석
나. 기술수준 분석
다. 기술장벽 분석
제4장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산업동향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개요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개념 및 응용 사례
(1) 개념
(2) 응용 사례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특징
(1) 장점
(2) 기술적·비즈니스적 특징
3)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구조적 변화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드
1) 디스플레이 모드별 분류
2) LCD 및 OLED
3) 전자종이(e-paper)
(1) 전자종이 개요
가. 개념 및 특징
나. 기술 비교
다. 디스플레이로서의 장점
(2) 전자종이 구동원리 및 특성
가. Twist ball(Gyricon)
나. microcup(SiPiX사)
다. microcapsule(E INK사)
라. QR-LPD(Bridgestone사)
마. ChLCD(KENT Display)
바. electrowetting(Philips사)
사. IMOD(Qualcomm사)
아. electrochromic(NTERA)
(3) 전자종이 구동 방식
가. 전기영동 방식
나. MEMS 방식
다. 전기습윤(Electrowetting) 방식
(4) 전자종이 기술 개발 동향
가. 해외 현황
나. 국내 현황
다. 전자종이 기술의 전망
(5) 전자종이 기술의 문제 및 발전 가능성
가. 컬러화와 응답속도의 향상
나. 전자종이가 적용된 다양한 제품의 개발
다. 수요 확대를 위한 새로운 사업 모델의 기회
3.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판 기술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판 개요
(1) 금속 박막
(2) 박막 유리
(3) 플라스틱 기판
2) 플라스틱 기판의 분류 및 성형 방법
(1) 플라스틱 기판의 분류
(2) 플라스틱 기판의 성형 방법
가. 용융-압출(extrusion) 방식
나. 용매 캐스터 방법
3) 플라스틱 기판의 종류
(1) PC 기판
(2) PET 기판
(3) PES 기판
(4) PI 기판
(5) PEN 기판
(6) AryLite 기판
4) 플라스틱 기판 구조 및 요구특성
(1) 플라스틱 기판 구조
(2) 플라스틱 기판의 요구특성
가. 치수 안정성
나. 낮은 CTE
다. 높은 베리어성
라. 강직성
마. 투과도
바. 내구성(Durability)
사. 용도별 요구 특성
5)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판 개발 관련 쟁점들
4.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투명전극 기술
1) ITO(Indium Tin Oxide) 투명전극 기술개발 동향
2)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투명전도성 필름
(1) 탄소나노튜브 개요
가. 구조 및 종류
나. 특성
(2) 탄소나노튜브 투명전도성 필름 기술개발 동향
3) 그래핀 투명전도성 필름
(1) 그래핀 개요
가. 개념
나. 그래핀의 여러 가지 합성법
(2) 그래핀 투명전도성 필름 기술개발 동향
4)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투명전도성 필름 기술개발 동향
5) 은나노와이어(Silver Nano-wire) 잉크를 이용한 투명전도성 필름
(1) 은나노와이어 개요
(2) Silver Nano-wire Ink를 이용한 투명전도성 필름 기술개발 동향
5.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TFT 기술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TFT 기술 개요
(1) TFT 종류 및 특성
가. a-Si TFT
나. poly-Si TFT
다. Oxide TFT
라. Organic TFT
(2) TFT 형성을 위한 공정
(3) TFT 결정화 방식
2) TFT 기술 개발의 역사
(1) 비정질 실리콘 TFT 기술
(2) 저온 폴리실리콘 TFT 기술
(3) TFT의 고성능화 동향
(4) SOI 정도의 성능을 목표
가. 고품위 결정화법
나. 고성능 게이트 절연막
다. 횡방향 실리콘 결정성장 과정과 관측
3) 향후의 장래 기술 전망
(1) 고성능 대형 디스플레이를 목표
가. 산화물 반도체 기술
나. 마이크로 결정 실리콘 기술
(2) 메모리 기능 탑재의 모바일 기기
(3)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의 개발
6.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시장 및 R&D; 동향
1)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시장 동향
(1) 플렉시블 OLED 시장 규모 전망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시장 전망
2) 주요국 R&D; 동향
7.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술 동향
1) 해외 기술 동향
(1) 미국 (2) 유럽 (3) 일본 (4) 대만
2) 국내 기술 동향
8.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업 동향
1) 가치사슬 현황
2) 기업 현황
(1) 해외 기업 현황
가. 소재·부품 분야
나. 장비 분야
다. 모듈 분야
(2) 국내 기업 현황
가. 소재·부품 분야
나. 모듈 분야
9.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전자종이 특허 동향
1) Flexible Display Module
(1) TFT Array Backplane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2) Flexible e-paper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3) Flexible OLED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4) Flexible 구동 IC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5) Flexible LCD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2) Flexible Display 공정/장비
(1) Digital Printing 장비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2) Roll to Roll Printing 장비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3) Roll to Roll 박막 장비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4) Damage Free 상온 장비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5) 저온 실장 집적 장비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3) Flexible 부품
(1) 기능성 기판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2) Module 부품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4) Flexible Display 소재
(1) TFT Array 소재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2) 배선 소재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3) 기판용 소재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4) 화소 소재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5) 봉지 소재
가. 연도별 특허출원현황
나. 출원인 및 출원국적별 특허출원현황
다. IPC별 출원현황
라. 출원인 국적별 특허인용지수 및 시장확보력지수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