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미래 소프트웨어산업의 기술동향과 글로벌 시장전망 트렌드

미래 소프트웨어산업의 기술동향과 글로벌 시장전망 트렌드

  • R&D;정보센터
  • |
  • 지식산업정보원
  • |
  • 2012-12-10 출간
  • |
  • 530페이지
  • |
  • 210 X 297 X 35 mm
  • |
  • ISBN 9788994111438
판매가

320,000원

즉시할인가

288,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88,0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본서의 특징

최근 스마트폰의 열풍에서도 볼 수 있듯이 세계 IT 시장에서 소프트웨어가 차지하는 중요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시장 조사 기관인 IDC에 의하면 2002년 이래 세계 소프트웨어 시장 규모가 연평균 8.2%씩 성장해 2015년에는 1조 7,2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각국의 그린 환경 정책과 보조를 맞춘 지능형 교통 시스템이나 인터넷 보급 정책과 관련된 원거리 교육 시스템의 확산은 새로운 소프트웨어 시장의 부상 역시 예고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세계 소프트웨어 시장은 몇몇 글로벌 기업이 선점하고 있으며, 우리 기업의 세계시장 점유율은 단지 1.8% 수준에 불과한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 기업의 효과적인 세계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우선 향후 각국의 소프트웨어 정책과 관련하여 성장 잠재력이 있는 분야에 초점을 맞춘 전략이 필요한 한편, 현지 유력 유통업체와의 전략적 제휴 등을 통한 네트워크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점차 SW가 자동차, 조선, 에너지 등 국가 기간산업과 새로운 서비스 영역으로의 적용이 확대되면서 국가 경쟁력 향상을 위한 핵심 수단으로 SW산업의 역할은 더욱 강조되고 있고, 더욱이, 모바일ㆍ클라우드컴퓨팅ㆍSNSㆍ빅데이터 등 새로운 SW 기술의 등장은 산업간 융복합화 촉진, 新비즈니스 확산을 주도하고 개인의 라이프 스타일까지 변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소프트웨어산업 총론을 시작으로 시리즈로 엮어 관련 기관들의 정보를 분석 정리하여 발간하기로 하였다. 시리즈Ⅰ에서는 제1편 SOFTWARE산업 트렌드, 제2편 SOFTWARE ENGINEERING으로 분류하여 소프트 웨어 산업의 각 부문별 전망과 현황 그리고 해외각국의 시장동향과 SW산업에 근간이 되고 발전적 방향을 유기적으로 지원하는 SW공학의 전망과 현황을 분석 정리하여 「미래 소프트웨어산업의 기술동향과 글로벌 시장전망 트렌드」를 발간하였다. 본서가 학계ㆍ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분야 종사자 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목차


제1편 Software산업 트랜드
제Ⅰ장 SW산업 총론/현황 및 전망
1. SW산업의 개요
1) SW 및 SW산업 정의
2) SW산업 범위 확대
3) SW산업 생태계 변화

2. SW산업의 특성 및 중요성
1) 전략산업으로서의 SW산업의 특성
2) 전략산업으로서의 SW산업의 중요성
3) SW 융합을 통한 타산업 혁신사례
(1) (佛) Schneider Electric
(2) (獨) BMW - 주력 제품과 SW 결합을 통한 비즈니스 혁신
(3) Ford, Honda, Toyota 등
4) SW산업의 국민 경제적 효과
(1) 부가가치 유발효과 (2) 취업 및 고용유발효과
5) SW산업의 환경변화 및 발전전망

3. SW산업 현황 및 전망
1) SW산업 일반 현황
(1) 세계 및 국내 SW 시장 현황
가. 세계 SW 시장 규모 및 전망 나. 국내 SW 시장 규모 및 전망 다. 주요국 SW 시장 규모
(2) SW산업 생산 현황
가. 전체 SW산업 생산현황 나. 부문별 SW산업 생산 현황
(3) SW 산업 수출 현황
가. 전체 SW 산업 수출 현황 나. 부문별 SW 산업 수출 현황
(4) SW 기업 현황
가. 전체 SW 기업 현황 나. 부문별 SW 기업 현황
(5) SW 산업 인력 현황
가. 전체 SW 산업 인력 현황 나. 부문별 SW 인력 현황
(6) 국내 및 해외 주요 SW 기업 비즈니스 현황
가. 국내 SW 기업 실적 현황 나. 해외 주요 SW 기업 실적 현황
2) 공공 및 민간부문 투자 동향 및 전망
(1) 국내 공공정보화 시장 현황
가. 2011년 공공 프로젝트 현황* 나. 2012년 공공부문 SW사업(확정) 수요예보 조사결과
(2) 2012년 국내 기업의 SW 투자 전망
가. 기업 평균 IT 예산 현황 나. 업종별 IT 예산 투자 현황
다. 부문별 IT 예산 투자 현황 라. 주요 솔루션별 도입 전망

제Ⅱ장 SW산업 주요 이슈 및 부문별 동향
1. 2012년 SW 10대 이슈 전망
1) 비즈니스 부문 이슈
(1) 사이버 공격, 해킹고도화
가. 배경 나. 국내ㆍ외 시장동향 및 트렌드 다. 영향분석
(2) 특허ㆍ지식재산권 분쟁 격화
가. 배경 나. 국내ㆍ외 시장동향 및 트렌드 다. 영향분석
(3) 스마트 생태계 구축 및 확산
가. 배경 나. 국내ㆍ외 시장동향 및 트렌드 다. 영향분석
(4) 소셜 관련 비즈니스 확대
가. 배경 나. 국내ㆍ외 시장동향 및 트렌드 다. 영향분석
(5) 주요국 재정위기에 따른 세계 경제위기 고조
가. 배경 나. 국내ㆍ외 시장동향 및 트렌드 다. 영향분석
(6) 클라우드 컴퓨터, SaaS 등 SW서비스 환경 구축 증대
가. 배경 나. 국내ㆍ외 시장동향 및 트렌드 다. 영향분석
(7) 스마트 업무 환경 도입 확대
가. 배경 나. 국내ㆍ외 시장동향 및 트렌드 다. 영향분석
(8) 컨버전스 비즈니스 확대 및 고도화
가. 배경 나. 국내ㆍ외 시장동향 및 트렌드 다. 영향분석
(9) 업종, 산업, 국경을 초월한 M&A;
가. 배경 나. 국내ㆍ외 시장동향 및 트렌드 다. 영향분석
(10) 국내기업의 글로벌 경영확대 및 해외진출 강화
가. 배경 나. 국내ㆍ외 시장동향 및 트렌드 다. 영향분석
2) 기술 부문 이슈
(1) 빅데이터-차세대 정보 분석
가. 배경 나. 기술동향 및 트렌드 다. 주요 사업자별 전략
(2) 차세대 OS 및 플랫폼
가. 배경 나. 기술동향 및 트렌드 다. 주요 사업자별 전략
(3) 클라우드 컴퓨팅,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가. 배경 나. 기술동향 및 트렌드 다. 주요 사업자별 동향
(4) 소셜 플랫폼
가. 배경 나. 기술동향 및 트렌드 다. 주요 사업자별 동향
(5) 사이버 공격, 해킹, 정보유출방지 등 정보보안기술
가. 배경 나. 기술동향 및 트렌드 다. 주요 사업자별 동향
(6) 가상화
가. 배경 나. 기술동향 및 트렌드 다. 주요 사업자별 동향
(7) 모바일오피스, MEAP 등 모바일 솔루션
가. 배경 나. 기술동향 및 트렌드 다. 주요 사업자별 동향
(8) 차세대 웹브라우저(HTML5, 하이브리드웹 등)
가. 배경 나. 기술동향 및 트렌드 다. 주요 사업자별 동향
(9) SW 개발생산성, 테스팅 등 SW공학기술
가. 배경 나. SW공학 기술 현황 다. 주요 사업자별 동향
(10) 스마트 테크놀로지
가. 배경 나. 기술동향 및 트렌드 다. 주요 사업자별 동향

2. 국내외 SW 부문별 시장 동향
1) 패키지SW 시장
(1) DBMS(Database Management Software) 시장
가. 개요 나. 국내ㆍ외 시장규모 및 전망 다. 국내 시장 및 기술 동향 라. 주요 기업 동향
(2) 정보 보호 시장
가. 개요 나. 국내ㆍ외 시장규모 및 전망 다. 국내 시장 및 기술 동향 라. 주요 기업 동향
(3)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시장
가. 개요 나. 국내ㆍ외 시장규모 및 전망 다. 국내 시장 및 기술 동향 라. 주요 기업 동향
(4)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시장
가. 개요 나. 국내ㆍ외 시장규모 및 전망 다. 국내 시장 및 기술 동향 라. 주요 기업 동향
(5) SCM(Supply Chain Management) 시장
가. 개요 나. 국내ㆍ외 시장규모 및 전망 다. 국내 시장 및 기술 동향 라. 주요 기업 동향
(6) BI(Business Intelligence) 시장
가. 개요 나. 국내ㆍ외 시장규모 및 전망 다. 국내 시장 및 기술 동향 라. 주요 기업 동향
(7) 기타 SW 시장
가. 그룹웨어/Portal* 시장
나. KMS(Knowledge Management System)* 시장
다. BPM(Business Process Management)* 시장
라. ECM(Enterprise Contents Management)* 시장
2) IT 서비스 시장
(1) 개요
(2) 업종별 IT서비스 시장 전망
가. 금융 분야 나. 제조 분야 다. 공공 분야
(3) 주요 사업자 동향
가. 신시장 및 서비스 창출을 위한 성장엔진 투자
나. 클라우드 컴퓨팅 및 데이터센터에 대한 투자 확대
다. 지역 및 품목 다변화로 해외 진출 확대
라. MEAP 기반 모바일 솔루션 사업 강화
3) 임베디드SW 시장
(1) 개요 (2) 국내ㆍ외 시장규모 및 전망 (3) 국내ㆍ외 시장 및 기술 동향
4) 공개SW 시장
(1) 개요 (2) 국내ㆍ외 시장규모 및 전망 (3) 국내ㆍ외 시장 및 기술 동향

제Ⅲ장 해외 SW산업 주요국 동향
1. 미국
1) 산업 현황
(1) 시장 개요 가. 시장 규모 나. 시장 현황
(2) 정부 정책 가. 미국 IT 정책 동향 나. 2010년 오바마 정부의 주요 IT 정책
2) 유망 품목
(1) 유망 품목(2010~2014)
(2) 주요 기업 현황
(3) 주요 제조사 현황
(4) 주요 유통사 현황
가. Distributor 나. Brick & Mortar Retailer 다. 부가가치 리셀러 VAR (Value-added Resellers);
3) 시사점 및 진출 전망
(1) 진출 전망
(2) 진출 시 방해 및 위험 요소
(3) 위험 요소 제거 방안 및 진출 전략
가. 장기 로드맵 수립 나. 적절한 파트너 컨택 다. 효과적인 PR

2. 일본
1) 산업 현황
(1) 시장 개요
가. 시장 규모 나. 시장 현황 다. 수출입 동향
(2) 정부 정책
2) 유망 품목
(1) 10대 유망 품목
(2) 주요 제조사 현황
가. OS 나. 통합 운영 관리툴 다. DB 라. 통합 미들웨어 마. 대기업 ERP 바. 스토리지 관리 툴
사. 중소기업 ERP 아. 애플리케이션 서버 자. 업무관리툴 차. 기계/전기 CAD
(3) 주요 유통사 현황
가. OS 나. 통합 운영 관리툴 다. DB 라. 통합 미들웨어 마. 대기업 ERP 바. 스토리지 관리 툴
사. 중소기업 ERP 아. 애플리케이션 서버 자. 업무관리툴 차. 기계/전기 CAD
3) 시사점 및 진출 전망
(1) 진출 전망
(2) 진출 시 방해 및 위험 요소
(3) 위험 요소 제거 방안 및 진출 전략

3. 중 국
1) 산업 현황
(1) 시장 개요 가. 시장규모 나. 수출입 동향
(2) 정부 정책 가. 주관기관 나. 발전계획 다. 주요 지원정책 라. 그 외 지원 정책
2) 유망 품목
(1) 10대 유망 품목
(2) 주요 제조사 현황
가. ERP 나. Middleware 다. Collaboration Softwar 라. Storage Software
마. 보안 소프트웨어 바. Data Base 사. Industry Specific Software(CAD, PLM)
아. Financial Management Software(FM) 자. RFID 차. WebGame Software
(3) 주요 유통사 현황
가. ERP 나. Middleware 다. Collaboration 소프트웨어 라. Storage 소프트웨어
마. 보안 소프트웨어 바. Data Base 사. Industry Specific 소프트웨어(CAD, PLM)
아. Financial Management 소프트웨어(FM) 자. RFID 차. WebGame Software
3) 시사점 및 진출 전망

4. 인도
1) 산업 현황
(1) 시장 개요 가. 시장 규모 나. 인력 현황 다. 수출입 동향 라. 인도 정보통신 보급 현황
(2) 정부 정책 가. R&D; 진작 나. 세제 인센티브 다. 지원 TF팀 구성
라. 소프트웨어 테크놀러지 파크 조성(Software Technology Parks in India, STPIs)
마. 국가 E-거버넌스 계획(National e-Governance Plan) 바. 인도 정부 육성 관심분야
2) 유망 품목
(1) 소프트웨어 유망 품목
(2) 주요 기업 현황
가. 영업 및 운영관리 지원 시스템(Business & Operational Support System)
나. 데이터베이스 관리
다. ERP
라. 서비스 중심 아키텍처(SOA, Service-oriented Architecture)
마. 보안관리 서비스 (Managed Security Services)
(3) 주요 유통사 현황
3) 시사점 및 진출 전망
(1) 진출 전망 가. 가격 및 품질 경쟁력 나. 정부 조달시장 다. 신수요 창출 분야
(2) 진출 시 방해 및 위험 요소
(3) 위험 요소 제거 방안 및 진출 전략

5. 멕시코
1)산업 현황
(1) 시장 개요 가. 시장 규모 나. 시장 현황 다. 수출입 동향
(2) 정부 정책
가. 정보화 정책 (e-Mexico 프로젝트) 나. PROSOFT 2.0
다. Mexico FIRST 라. PROMEDIA 마. TECHBA
2) 유망 품목
(1) 10대 유망 품목
(2) 주요 기업 현황 가. 네트워크/인터넷 소프트웨어 나. OS 다. 통합 미들웨어
라. 기계/전기 CAD 마. 대기업 ERP 바. DB 사. 업무관리 툴 아. 애플리케이션 서버
자. 스마트 카드 차. 스토리지 관리툴
(3) 주요 유통사 현황
가. 스마트 카드 나. OS 다. DB 라. 통합 미들웨어 마. 대기업 ERP 바. 애플리케이션 서버
사. 스토리지 관리툴 아. 네트워크/인터넷 소프트웨어 자. 기계/전기 CAD 차. 업무관리 툴
3) 시사점 및 진출 방안
(1) 진출 전망 (2) 진출 시 방해 및 위험 요소 (3) 위험 요소 제거 방안 및 진출 전략

6. 콜롬비아
1) 산업 현황
(1) 시장 개요 가. 시장 규모 나. 시장 현황 다. 수출입 동향
(2) 정부 정책
2) 유망 소프트웨어 및 주요 기업 현황
(1) 소프트웨어 취급 주요 기업 현황
3) 시사점 및 진출 전망
(1) 진출 전망 (2) 진출 시 방해 및 위험 요소 (3) 위험 요소 제거 방안 및 진출 전략

7. 러시아
1) 산업 현황
(1) 시장 개요
가. 시장 규모 나. 시장 현황 다. 러시아 소프트웨어 불법복제 현황
라. 개발 현황 마. 소비 구조 바. 수출입 동향
(2) 정부 정책
가. 주요 정부기관 나. 프로그램 다. 2005~2010년 러시아 IT 시장 개발 구상
라. IT 단지 조성 마. IT기술단지별 선택 동향 바. 경기부양조치
사. 특별 경제 구역(Special Economic Zones, SEZ)
아. 중소기업, 신생기업 및 투자 기금을 위한 금융 지원
2) 유망 품목
(1) 상위 10대 분야 (2) 주요 기업 현황 (3) 주요 유통사 현황
3) 시사점 및 진출 방안
(1) 판매 및 홍보전략 (2) 고기술 제품을 통한 차별화 전략
(3) 시장세분화 전략 (4) 틈새시장 전략 (5) 유통전략

8. 남아프리카공화국
1) 산업 현황
(1) 시장 개요 가. 시장 규모 나. 산업 구조 다. 시장 현황 라. 수출입 동향
2) 유망 품목
(1) 소프트웨어 유망 분야
가. e-Government 나. 업무관리툴 다. 모바일 컨텐츠 라. 스토리지 관리툴 마. 보안산업 관련
(2) 주요 기업 현황
3) 시사점 및 진출 방안

9. 호주
1) 산업 현황
(1) 시장 현황 가. 시장 개요 나. 시장 규모 다. 시장 현황 라. 수출입 동향
(2) 정부 정책 가. 주요 사업
2) 유망 품목
(1) 소프트웨어 유망 품목
가. Middle ERP Software (MERP)
나. Enterprise Contents Management (ECM) Software
다. Web Conferencing Software
(2) 주요 기업 현황
(3) 주요 유통사 현황
3) 시사점 및 진출 전망

10. 싱가포르
1) 산업 현황
(1) 시장 개요 가. 시장 규모 나. 시장 현황 다. 수출 동향
(2) 정부 정책
2) 유망 품목
(1) 10대 유망 품목
가. DB 소프트웨어 나. ERP 다. CRM 라. 공급망 관리 소프트웨어
마. 의료/진단 소프트웨어 바. 보안/감시/접근 통제 소프트웨어
사. 중소기업 회계 소프트웨어 아. 도로교통 관리 시스템
자. 데이터 서비스 관련 소프트웨어 차. SI 및 NI 서비스
(2) 주요 제조사 현황
가. DB 소프트웨어 나. ERP 다. CRM 라. 공급망 관리 소프트웨어 마. 의료 기록 소프트웨어
바. 보안/감시/접근 통제 소프트웨어(보안 시스템 네트워크 스위치) 사. 중소기업 회계 소프트웨어
아. 도로교통 관리 시스템 자. 자료 저장 서비스 소프트웨어 차. SI 및 NI 서비스
(3) 주요 유통사 현황
가. DB 소프트웨어 나. ERP 다. CRM 라. 공급망 관리 소프트웨어 마. 의료/진단 소프트웨어
바. 보안/감시/접근 통제 소프트웨어 사. 중소기업 회계 소프트웨어 아. 도로교통 관리 시스템
자. 자료 저장 서비스 소프트웨어 차. SI 및 NI
3) 시사점 및 진출 전망
(1) 진출 전망 가. 진출 장벽 나. 소프트웨어 유통채널
(2) 진출 시 방해 및 위험 요소
(3) 위험 요소 제거 방안 및 진출 전략

11. 아랍에미리트
1) 산업 현황
(1) 시장 개요
가. 시장 규모 나. 시장 현황 다. 수출입 동향
(2) 정부 정책
가. 두바이 전략 2015(Dubai Strategic Plan 2015)
나. 통신부문 종합정책 2006~2010 (GTP : General Policy for the Telecommunications Sector)
2) 유망 품목
(1) 소프트웨어 유망 분야
가. 스토리지 나. ERP 다. CRM 라. SCM
(2) 주요 제조사 현황
가. 스토리지 나. ERP 다. CRM 라. SCM
(3) 주요 유통사 현황
가. 스토리지 나. ERP 다. CRM 라. SCM
3) 시사점 및 진출 방안
(1) 진출 전망
가. 기업용 애플리케이션
나. 고품질ㆍ중저가대 제품으로 니체 시장
다. 플랜트 및 건설 관련 솔루션 및 IT서비스
(2) 진출 전략
가. 현지 실정에 적합한 제품 개발
나. 기 진출 글로벌 소프트웨어 기업과의 전략적 제휴
다. 현지 2차 벤더와의 협력으로 중소기업 시장 공략
라. 브랜드 인지도 제고를 위한 지속적인 홍보 활동

제Ⅳ장 SW산업 국내ㆍ외 정책 동향 및 현황
1. 국내 SW산업 정책 현황
1) 현황 개요
2) SW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와 SW 산업의 현 위치
(1) SW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
(2) SW 산업의 현 위치
가. ICT 산업 내 낮은 생산 비중에 따른 낮은 글로벌 경쟁력
나. 높은 내수 비중을 탈피하기 위한 수출 확대
다. 낮은 기술 경쟁력과 R&D; 투자 미흡
라. 우수한 SW 인력 부족
3) 국내 SW산업 정책 현황
(1) 지식경제부
가. 국가정보화 수발주제도 개선방안 마련(행정안전부 공동, 2011.01.28.)
나. 공생발전형 SW 구축 전략 수립(2011.10.27.)
(2) 방송통신위원회
가. 스마트워크 활성화 추진 계획 수립(2011.1.6.)
나. 방송통신기본계획 수립(2011.11.11.)
(3) 행정안전부
가. 스마트 전자정부 계획 수립(2011.4.12.)
나. 모바일 전자 정부 서비스 중장기 추진 계획 수립(2011.8.9.)
다. 행정업무 모바일 서비스 구축을 위한 가이드라인 제정(2011.09)
(4) 문화체육관광부
가. 범정부 콘텐츠산업진흥 기본 계획 수립(2011.5.23.)
(5) 국토해양부
가. 국가공간정보통합체계 사업(2011.12.28. 완료)
나. 지능형교통체계 기본계획 2020 수립(2011.12.29.)
4) 국내 SW 산업 정책 분석
(1) SW 정책 개요(2000년 이후) 가. 정책 개요
(2) 전략 산업의 SW 정책 분석
가. 전략 산업 개요 나. 연구개발(R&D;) 다. 인력 라. 표준화/인증평가/품질관리
마. 중소기업 및 R&D; 지원과 협력체계 구축 바. 기타 지원 정책
(3) 해외 진출 관련 SW 정책 분석
가. 해외 진출 전략 개요
나. 컨설팅 및 전략 지원
다. 해외 진출 지원 전문가 및 글로벌 인재 양성
라. 마케팅 지원 및 지원 거점 마련
마. 국내ㆍ외 협력 바. 금융 지원

2. 해외 SW산업 정책 현황
1) 미국
(1) 연방정부 IT관리 혁신을 위한 25 항목의 실행계획
가. 개요 나. 주요 내용 다. 달성 상황(2011. 4월 27일 기준)
(2) eGov 정책 동향 변화
가. 개요 나. 주요 내용
(3)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전략 추진(백악관, 2011.02.08.)
가. 개요 나. 주요 내용 다. 연방정부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 및 성공 사례
2) 일본
(1) 신성장전략 실현 2011 발표(경제산업성, 2011.01.25.)
가. 개요 나. 주요 내용
(2) 융합 신산업 창출을 위한 실행계획 발표(경제산업성, 2011.08.11.)
가. 개요 나. 주요 내용
3) 중국
(1) SW산업ㆍIC산업 발전 정책 추진(국무원, 2011.01.13.)
가. 배경 나. 주요 내용 다. 주요 변경 내용
4) 유럽
(1) 2011~2015 전자정부 실행 계획 발표(유럽위원회, 2010.12.15.)
가. 개요 나. 주요 내용
(2) ‘Horizen 2020’ 추진 계획 발표(유럽위원회, 2011.11.30.)
가. 개요 나. 주요 내용

3. 결론 및 시사점

제2편 SOFTWARE ENGINEERING
제Ⅰ장 SW공학 개요 및 현황
1. SW공학 개요
1) SW공학의 정의
2) SW공학의 지식체계
(1) SW요구분석
(2) SW설계
(3) SW구현
(4) SW테스트
(5) SW유지보수/진화
(6) SW형상관리
(7) SW프로젝트 관리
(8) SW공학 프로세스
(9) SW품질
3) SW공학의 변천사 및 미래 전망
(1) 1950년대 : HW공학과 유사한 SW공학
(2) 1960년대 : SW개발 숙련도(Crafting)
(3) 1970년대 : 정형성(Formality)*과 폭포수 모델
(4) 1980년대 : 생산성과 확장성
(5) 1990년대 : 동시 vs. 연속적 프로세스
(6) 2000년대 : 민첩성(Agility)과 SW의 가치
(7) 2010년대 전망 : 글로벌화 및 시스템의 시스템
(8) 2020년대 및 그 이후 전망

2. SW공학 현황
1) 기술적 측면
(1) SW공학 주요 영역별 수준 현황
(2) SW공학 주요 영역별 기법 및 도구 현황
(3) SW개발 방법론 현황
(4) SW 프로세스 품질인증 현황
(5) SW공학 R&D; 투자 현황
2) 조직 및 인력 측면 (1) SW공학 인력 현황
3) 정책적 측면
(1) 국내외 주요 유관기관 현황
가. 해외 주요 유관기관 현황 나. 국내 주요 유관기관 현황
(2) 법 제도 현황
가. SW사업 기획 및 발주 준비단계 관련 법령 및 규정 현황
나. SW사업 평가 및 계약 단계 관련 법령 및 규정 현황
다. SW사업 사업관리 단계 관련 법령 및 규정 현황
(3) 정부 정책 현황
가. 해외 정부 정책 현황 나. 국내 정부 정책 현황

제Ⅱ장 조사 개요 및 국내 SW공학 현황 분석
1. SW공학 현황 분석을 위한 조사 개요
1) 조사 목적
2) 조사 내용
(1) 조사 대상
(2) 조사 구성
(3) 조사 실시
(4) 조사 방법
가. 조사의 기본방침 나. 조사 방법 다. 자료 처리 및 통계 분석 라. 자료의 검증
(5) 표본 설계 가. 대상 모집단 나. 표본 설계
3) 조사 분석 방법
(1) SW공학데이터 표준화
(2) 상세분석을 위한 프로젝트 유형별 구분
(3) 통계적 분석 방법
가. 기초 통계량
나. 상관분석
다. 분산분석
라. 회귀분석
마. 의사결정 트리(Decision Tree) 분석

2. 참여 기업 및 프로젝트의 특성
1) SW 개발 및 품질 인력 현황
(1) SW 개발 인력 현황
(2) SW품질 관련 조직 현황
(3) SW 테스팅 관련 조직 현황
2) 참여기업 현황
3) 대상 프로젝트 특성
(1) 개요
(2) 프로젝트 유형
(3) 개발유형
(4) 참여형태
(5) 계약방식
(6) 개발방법론
(7) 규모산정 방식
(8) 외주비율
(9) 고객참여
(10) 고객 산업군
(11) 개발생명주기
4) 도구 적용 현황
(1) 분석/설계 관련 도구
(2) 형상관리 관련 도구
(3) 프로젝트 관리 관련 도구
3. SW공학수준
1) 하위 구성요소별 수준 현황
(1) 프로세스 수준
가. 프로세스 이행 수준 및 내재화 수준
나. 프로세스 영역군별 현황
다. 프로세스 영역별 현황
(2) 인력 수준
(3) 기술 수준
2) 영향요소별 수준
(1) 기업 규모별 SW공학수준
(2) 품질인증 보유여부별 SW공학수준
(3) 개발역량과 지원역량별 SW공학수준
(4) 프로세스 보유 비율
3) SW공학 영역별 수준
4) 공급자 유형별 수준
(1) IT서비스 분야의 SW공학 주요 영역별 수준
(2) 임베디드SW 분야의 SW공학 주요 영역별 수준
(3) 패키지SW 분야의 SW공학 주요 영역별 수준
4. SW개발 생산성
1) 산출방법 및 현황
2) 프로젝트 유형별 SW개발 생산성
5. SW품질과 품질비용
1) SW품질 수준
2) SW품질 비용

제Ⅲ장 SW공학수준과 프로젝트 성과분석
1. SW개발 프로젝트 성과
1) 비용준수율
2) 납기준수율
3) 비용 및 납기준수율
2. 비용, 납기, 품질분석
1) SW공학수준과의 관계
(1) SW공학수준과 비용
(2) SW공학수준과 납기
(3) SW공학수준과 품질
(4) 하위 구성요소별 SW공학수준과의 관계
가. SW프로세스 수준과 성과
나. 인력수준과 성과
다. 기술수준과 성과
(5) 성공 프로젝트 분석
2) SW개발 생산성과의 관계
(1) SW개발 생산성과 SW공학수준
(2) 생산성과 비용성과
(3) 생산성과 납기성과
3) 변화인식 수준과 성과와의 관계
3. 결함밀도 분석
1) 결함식별단계 분석
2) 결함밀도와 비용절감 효과 분석
3) 결함제거율과 성과분석
4. SW공학수준과 경영성과
1) 분석개요
2) SW공학수준 점수와 경영성과의 관계
3) SW공학수준 향상율과 경영성과의 관계
5. 시사점

부 록
부록Ⅰ SW공학 데이터 측정지표 명세서
부록Ⅱ SW공학 주요 분야별 요소기술 정의
부록Ⅲ SW공학 분야별 요소기술 현황 및 수요조사
부록Ⅳ 데이터 항목 정의 요약
부록Ⅴ SW공학 표준커리큘럼
부록Ⅵ 유형별 상세구분 설명
부록Ⅶ SW제품 결함 현황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