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ICT 실감융합방송 기술동향과 미디어산업 기술개발전략

ICT 실감융합방송 기술동향과 미디어산업 기술개발전략

  • R&D;정보센터
  • |
  • 지식산업정보원
  • |
  • 2013-05-15 출간
  • |
  • 538페이지
  • |
  • 210 X 297 mm
  • |
  • ISBN 9788994111575
판매가

320,000원

즉시할인가

288,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88,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우리나라는 그동안 디지털 TV 기술개발로 세계 TV 시장 점유율 1~2위를 기록하는 등 국내 기업들이 세계 TV 시장을 선도해 왔다. 그러나 디지털 TV의 성숙기에 접어들면서 기술력 차이는 점차 줄어들고, 주도권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미래 방송 시장으로 보고 있는 실감 방송시장 선점을 위한 새로운 성장 동력 발굴이 절실해져 가고 있다.

여기에 방송과 통신의 융합서비스에 대한 시청자 니즈의 증가와 서비스 생태계가 사업자 중심에서 미디어 콘텐츠를 소비하는 소비자 중심으로 변화되면서 현재의 시장 우위를 지속하기 위해선 경쟁력 있고, 가능성 있는 실감방송에 역량을 집중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박근혜정부에서 신설된 미래창조과학부는 ICT 3개 핵심 분야를 선정하여 전략산업으로 추진할 계획이라 한다. 우선 지난해 말부터 시작한 디지털 방송 전환과 관련하여 고화질?양방향?실감형 통신융합 방송서비스 사업이 3개 핵심 분야의 하나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ICT 경쟁력 등 산업적 측면뿐만 아니라, 소비자가 승자가 되고 스마트한 서비스를 향유하는 시대, 소통과 창조의 시대, 정치/사회/문화 등 모든 분야의 ICT 활용이 새로운 차원으로 승화되는 정책 Framework을 정립해야 할 필요성이 크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ICT와 결합된 실감융합방송미디어에 관한 관련 기관들의 분석 정보를 정리하여 ?ICT 실감융합방송 기술동향과 미디어산업 기술개발전략?을 발간하였다. 본서 제1편에선 실감방송기술, 이동멀티미디어방송기술, 융합방송기술 분야의 전반적인 산업현황 분석을 수록하였고, 2편은 최근의 방송미디어의 해킹사건에 비추어 볼 때 양방향 스마트 실감융합미디어의 보안이 중요해진바 그에 따른 동향과 보안기술을 수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3편에선 실감융합방송의 최근 기술동향과 특허 및 표준화 선점을 위한 2013 ICT 표준화 전략맵을 정리?수록하였다. 아무쪼록 본서가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분야 종사자 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목차


제1편 실감융합방송 ICT 현황
제Ⅰ장 실감융합방송 개황(槪況)
1.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1) 개요
2) 현 황
(1) 정보통신 서비스 및 기기 시장 현황
(2) 통신 관련 동향
가. 국내?외 통신시장 현황
나. 주요성과 및 기술개발 현황
(3) 방송 관련 동향
가. 국내외 디지털 방송시장 현황
나. 주요 성과 및 기술개발 현황
3) 전 망
(1) 통신?방송 융합서비스의 활성화
(2) 향후 과제
2. 방송
1) 개요
2) 동 향
(1) 방송산업 규모 및 경쟁상황
(2) 미디어 보유 및 이용 현황
(3) 제주 지역 아날로그 방송 종료 및 디지털 전환 현황
(4) 지상파 재송신 갈등과 케이블TV의 지상파 송출 중단
(5) 종합편성채널의 개국과 저조한 시청률
(6) 미디어랩법 제정과 방송시장 금지 행위의 도입
(7) 유료방송 시장 현황
(8) N스크린 서비스와 3DTV의 활성화
3) 전망
3. 실감융합방송
1) 개요
2) 실감방송 기술
(1) 기술 개념 및 범위
가. 기술 개념 나. 범위
(2) 환경 분석
가. 국내외 시장 동향
나. 국내외 기술 동향
다. 국내외 정책 현황
(3) 비전 및 목표
가. 비전 및 목표 나. 기술 확보 방안
3) 이동멀티미디어 방송기술
(1) 기술 개념 및 개요
가. 기술개념 나. 개요
(2) 환경 분석
(3) 스마트 DMB 서비스 전망
4) 융합방송 기술
(1) 기술 개념
(2) IPTV 서비스 기술
가. 개요
나. IPTV 서비스 현황 : 스마트TV와 IPTV의 결합
다. IPTV 환경 분석
라. Mobile IPTV 서비스 전망
(3) 스마트TV
가. 스마트 TV 개념
나. 스마트 TV 환경 분석 및 전망
다. 주요 사업자별 스마트 TV 추진 동향
라. 국내 스마트 TV 환경 분석
제Ⅱ장 실감융합방송 3DTV?UHDTV
1. 3DTV 산업현황 분석
1) 시장 개요 및 개념
(1) 개요
(2) 개념 및 범위
가. 개념 나. 범위
2) 시장 동향
(1) 3DTV 시장 및 3D 일반 동향
가. 해외 동향 나. 국내 동향
(2) 3D 디스플레이 시장 동향
가. 해외 동향 나. 국내 동향 다. 주요 국가별 시장동향
3) 기술 동향
(1) 일반 현황
(2) 해외 동향
가. 일본 나. 중국 다. 미국 라. EU 마. 독일
(3) 국내 동향
가. ETRI 나. KIST 다. 대기업 라. 대학
(4) 3DTV 기술개발 동향
가. 국내 고화질 3DTV 방송서비스 표준기술 및 표준화 현황
나. 국내외 3DTV 방송 서비스 현황
다. 평창올림픽을 향한 실감방송서비스
라. 무안경 3DTV의 개발 현황 및 향후 전망
마. 홀로그래픽 3DTV 기술개발 동향
4) 정책 동향
(1) 해외 동향
가. 일본 나. 중국 다. 미국 라. 독일
(2) 국내 동향
2. UHDTV 산업현황 분석
1) 시장 개요 및 개념
(1) 개요
(2) 개념 및 특징
가. 개념 나. 특징
2) 시장 동향 및 전망
(1) UHDTV 주요 동향
(2) UHDTV 전망 및 시사점
3) 기술 동향
(1) UHDTV 영상산업 기술 동향
가. 기술개요
나. UHDTV(초고화질) 영상산업의 발전 동향
다. UHDTV 기술 전망
(2) UHDTV 기술?특허 및 표준화 현황
가. 현황 개요
나. UHDTV 주요 기술 소개 및 현황
다. UHDTV 특허 현황
라. UHDTV 표준화 현황
제Ⅲ장 실감융합방송 IPTV?스마트TV
1. IPTV 산업현황 분석
1) IPTV의 개념과 정의
(1) 방송?통신 융합의 개념
(2) IPTV의 정의
2) IPTV 서비스 기술 발전 방향 및 전망
(1) IPTV 서비스 종류 및 전망
(2) IPTV 서비스 구성 및 기술 요소
(3) IPTV 서비스 기술 방식
(4) 차세대 IPTV 서비스 진화 방향
가. 스마트기기와 스마트미디어의 출현
나. IPTV 서비스의 진화 방향
다. 차세대 IPTV 서비스 전망
3) 시장 동향 및 전망
4) 기술 동향
(1) IPTV 표준기술 동향
가. IPTV 표준화 개요
나. ITU-T 연구반(SG)별 주요 표준개발 동향
다. DVB의 IPTV 표준화 동향
라. ATIS의 IPTV 표준화 동향
마. OIPF의 IPTV 표준화 동향
(2) IPTV 양방향 서비스 기술 동향과 로드맵
가. IPTV 활용 사례
나. IPTV 양방향 서비스 기술, 위젯
다. IPTV 위젯 기술 로드맵
(3) IPTV 융합서비스 플랫폼 기술 동향
가. 차세대 IPTV 서비스
나. 융합서비스 플랫폼 기술 동향
다. 시사점
(4) 모바일 IPTV 기술 현황 및 연구추진 방향
가. 모바일 IPTV 표준기술 현황
나. 모바일 IPTV 기술 현황
다. 모바일 IPTV 시스템 기술
2. 스마트TV 산업현황 분석
1) 스마트TV의 개념과 정의
(1) 개요
가. 스마트TV와 오늘
나. 스마트TV의 등장과 영향
(2) 스마트TV의 정의
(3) 차세대 스마트TV와 비전
가. 차세대 스마트TV의 개념
나. 차세대 스마트TV를 위한 요소 기술
다. IPTV 2.0과 차세대 스마트TV
2) 시장 동향
(1) 최근 스마트TV 시장현황 및 전망
(2) 스마트TV 관련 주요 사업자 동향 및 정책 전망
가. 스마트TV 앱 시장 현황
나. 주요 사업자의 TV앱 생태계 구축 전략
다. 국내 스마트TV 앱 생태계 현황 및 문제점
라. 국내 스마트TV 앱 생태계 활성화 방안
3) 기술 개발 동향 및 방향
(1) Apple의 배타적 생태계 강화와 Tablet PC의 경쟁 구도
가. 강화되는 Apple의 배타적 생태계 전략
나. Tablet PC
(2) 운영체제(OS)의 변화가 가져올 TV시장의 변화
가. 더욱 가속화되는 운영체제(O/S)의 변화
나. 빠르게 변신하는 마이크로소프트
다. Google과 삼성의 고민과 돌파구
라. 운영체제 변화에 따른 부품별 영향
(3) 동작인식과 음성인식이 가져올 TV 및 노트북 시장의 변화
가. KINECT 원리 및 Microsoft의 전략
나. KINECT를 구성하는 부품들
다. PC와 TV에 적용되기 시작한 KINECT
라. Apple, 삼성전자, LG전자의 Smart TV
마. 향후 TV 시장의 방향성
(4) 디스플레이 산업 및 OLED 투자 동향
가. 디스플레이 산업 수요 개선
나. OLED TV vs Smart TV
다. 증가하는 AMOLED의 필요성
라. AMOLED 투자 전망
마. Technology별 원가 비교
바. OLED TV 시장 Open
사. 패널과 스마트 기능의 복합 경쟁력

제2편 미래방송서비스의 동향 및 보안 기술
제Ⅰ장 미래방송서비스의 동향 및 기술
1. 미래방송서비스 개요
2. 미래방송서비스의 동향 및 기술
1) 국내외 서비스 동향
(1) 스마트스크린
가. 콘텐츠 애플리케이션 제공업자
나. 단말 제조업자
다. 통신사/방송사업자
라. 플랫폼 제공업자
마. 기타
(2) Touch DMB
가. DMB 시장 동향 나. DMB 2.0
(3) 4G방송
가. 3DTV 나. UHDTV
(4) 실감형 위성방송
가. 해외 시장 나. 국내 시장
2) 국내?외 기술동향
(1) 보안 기술
가. CAS(Conditional Access System)
나. DCAS(Downloadable CAS)
다. CSA(Common Scrambling Algorithm)
라.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마. 워터마킹/핑거프린팅
바. CGMS-A(Copy Generation Management System-Analog)
사. HDCP
아. CPPM/CPRM(Content Protection for (Pre)Recordable Media)
자. DTCP
차. 칩셋페어링
카.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
타. 그룹 키 관리 기술
파. 인증기술
하. SSO(Single Sign On)
(2) 콘텐츠 전송기술
가.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나. RTSP(Real Time Streaming Protocol)
다. UHDTV 송수신 기술
라.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마. MBS(Multicast&Broadcast; Service)
바.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사. AirPlay
아. 트랜스코딩(transcoding)
자. SVC(Scalable Video Coding)
차. 콘텐츠 재생 및 저장기술
(3) 무선 통신기술
가.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나. WiBro(Wireless Broadband)
다. VCM (Variable Coding and Modulation)
라. Ka-대역 위성통신 기술
(4) 응용기술
가. 하이브리드 셋톱박스
나. 클라우드 컴퓨팅
다.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3. 현재 방송서비스에 적용된 보안 기술
1) 스마트스크린
(1) 현재 국내 운영 서비스에 적용된 인증 기술
가. A사 나. B사 다. C사 라. D사 마. E사 바. F사 사. G사 아. H사 자. I사
(2) 현재 국내 운영 서비스에 적용된 콘텐츠 보호 기술
(3) 현재 국내 운영 서비스에 적용된 보안 기술의 분석
2) Touch DMB
3) 4G방송 및 실감형 위성방송
제Ⅱ장 미래방송서비스의 보안위협과 대책
1. 미래방송서비스의 보안위협
1) 스마트스크린
(1) 스마트스크린 서비스 예측 모델
(2) 스마트스크린의 기능 및 보안 요구사항
가. 기능 요구사항
나. 보안 요구사항
(3) 스마트스크린 보안위협
(4) 스마트스크린 예측 사용 시나리오
가. 예측 사용 시나리오 1 - 스마트오피스
나. 예측 사용 시나리오 2 - VoD서비스 (여러 단말을 이용한 시청)
다. 예측 사용 시나리오 3 - 콘텐츠 선물
라. 예측 사용 시나리오 4 - 방송서비스 연계 온라인쇼핑
마. 예측 사용 시나리오 5 - 실시간방송서비스 및 스마트TV 애플리케이션
바. 예측 사용 시나리오 6 - 스마트헬스
사. 예측 사용 시나리오 7 - 스마트홈
2) Touch DMB
(1) Touch DMB 서비스 예측 모델
(2) Touch DMB의 기능 및 보안 요구사항
가. 기능 요구사항
나. 보안 요구사항
(3) Touch DMB 보안 위협
(4) Touch DMB 예측 사용 시나리오
가. 예측 사용 시나리오 1 ? 개인 방송 서비스 이용
나. 예측 사용 시나리오 2 ? 방송에서 등장한 상품 구입
다. 예측 사용 시나리오 3 - 시청자의 방송참여 서비스
3) 4G 방송 및 실감형 위성방송
(1) 4G방송 및 실감형 위성방송 서비스 예측 모델
(2) 4G방송 및 실감형 위성방송의 기능 및 보안 요구사항
가. 기능 요구사항
나. 보안 요구사항
(3) 4G방송 및 실감형 위성방송 보안위협
(4) 4G방송 및 실감형 위성방송 예측 사용 시나리오
가. 예측 사용 시나리오 1 - 음식 주문
나. 예측 사용 시나리오 2 ? 다큐멘터리 감상
다. 예측 사용 시나리오 3 ? 게임 연동
2. 미래방송서비스 보호대책
1) 스마트스크린 보호대책
(1) 프라이버시 침해
가. 행위 프라이버시
나. 내용 프라이버시
다. 위치 프라이버시
(2) 불법적 서비스 이용
가. 불법적 서비스 접근 권한 획득을 통한 서비스 이용
나. 결제정보 조작을 통한 불법적 서비스 이용
다. 단말 해킹을 통한 불법적 서비스 이용
라. 통신 채널에 대한 공격을 통한 불법적 서비스 이용 또는 콘텐츠 확보
마. 저장된 콘텐츠의 불법적 확보
(3) 서비스 거부
(4) 기타
가. 구입 콘텐츠 관련 위협
나. 홈네트워크 관련 위협
(5) 보호대책 관련 향후 중요 고려 사항
2) Touch DMB 보호대책
(1) 프라이버시 침해
(2) 불법적 서비스 이용
(3) 서비스 거부
(4) 기타
3) 4G방송 및 실감형 위성방송 보호대책
(1) 프라이버시 침해
(2) 불법적 서비스 이용
(3) 서비스 거부 공격
(4) 기타

제3편 ICT 실감융합방송 표준화 전략
제Ⅰ장 실감융합방송 ICT 표준화 개요
1. 실감융합방송 개요
1) 실감융합방송 개요도
(1) 실감방송 기술
가. 3DTV 서비스 시나리오
나. UHDTV 서비스 시나리오
(2) 이동멀티미디어방송 기술
가. DMB 서비스 시나리오
(3) 융합방송 기술
가. IPTV 서비스 시나리오
나. 스마트TV 서비스 시나리오
2) 장기 표준화 계획(10개년 기술예측)
3) 중점기술 및 표준화 항목
(1) 표준 참조 모델
(2) 실감융합방송 표준화항목
2. 표준화의 Vision 및 기대효과
1) 표준화의 필요성
(1) 실감방송 기술
가. 3DTV 나. UHDTV
(2) 이동멀티미디어방송 기술
가. DMB
(3) 융합방송 기술
가. IPTV
나. 스마트TV
2) 표준화의 목표
(1) 실감방송 기술
가. 3DTV 나. UHDTV
(2) 이동멀티미디어방송 기술
가. DMB
(3) 융합방송 기술
가. IPTV 나. 스마트TV
3) Vision 및 기대효과
(1) 실감방송 기술
가. 3DTV : ‘Living in the Ubiquitous Realistic 3D World’ 사회실현
나. UHDTV : 초고품질 실감미디어 서비스 조기 실시 및 국제 표준 선점
(2) 이동멀티미디어방송 기술
가. DMB : 차세대 모바일방송 기술 개발을 통한 ‘Mobile Multimedia Korea’ 실현
(3) 융합방송 기술
가. IPTV : 차세대 IPTV 서비스를 통한 국민의 삶의 질 향상 및 신규 문화 창조
나. 스마트TV : 스마트TV를 통한 World Best IT 국가대표 달성
제Ⅱ장 실감융합방송 국내외 현황 및 표준화 전략
1. 실감방송 (3DTV?UHDTV)
1) 추진경과 및 중점 추진방향
(1) 추진경과
가. 3DTV 나. UHDTV
(2) 버전별 표준화 항목 비교표
가. 3DTV 나. UHDTV
(3) Ver.2013 중점 추진방향
가. 3DTV 나. UHDTV
2) 국내외 현황
(1) 국내외 기술개발 주요현황 및 이슈
가. 3DTV 나. UHDTV
(2) 국내 표준화 주요현황 및 이슈
가. 3DTV 나. UHDTV
(3) 국제 표준화 주요현황 및 이슈
가. 3DTV 나. UHDTV
(4) 정책/산업 주요현황 및 이슈
가. 3DTV 나. UHDTV
(5) 시장 현황 및 전망
가. 3DTV 나. UHDTV
(6) 기술개발 현황 및 전망
가. 3DTV 나. UHDTV
(7) 표준화 현황 및 전망
가. 3DTV 나. UHDTV
(8) IPR 보유현황 및 전망
가. 3DTV 나. UHDTV
(9) 그린 ICT 관련성 및 녹색기술수준
가. 3DTV 나. UHDTV
3) 표준화 전략
(1) SWOT 분석 및 추진방향
가. 3DTV 나. UHDTV
(2) 표준화 항목별 국제 표준화 전략
가. 3DTV 나. UHDTV
(3) S1 : 적극공략 항목(선도경쟁)
가. 3DTV 나. UHDTV
(4) S2 : 차세대공략 항목(신규제안)
가. 3DTV 나. UHDTV
(5) S3 : 방어적수용 항목(수용/적용)
가. 3DTV - 해당 항목 없음
나. UHDTV
(6) S4 : 다각화협력 항목(부분협력)
가. 3DTV 나. UHDTV
(7) 표준화 항목별 중기(2013~2015년) 표준화 계획
가. 3DTV 나. UHDTV
2. 이동멀티미디어방송 기술 (DMB)
1) 추진경과 및 중점 추진방향
(1) 추진경과
(2) 버전별 표준화 항목 비교표
(3) Ver.2013 중점 추진방향
2) 국내외 현황
(1) 연도별 주요현황 및 이슈
(2) 국내외 기술개발 주요현황 및 이슈
가. 국내 나. 해외
(3) 국내 표준화 주요현황 및 이슈
(4) 국제 표준화 주요현황 및 이슈
(5) 정책/산업 주요현황 및 이슈
(6) 시장 현황 및 전망
가. 국내
나. 해외 모바일 방송 국외 시장 현황 및 전망
(7) 기술개발 현황 및 전망
(8) 표준화 현황 및 전망
(9) IPR 보유현황 및 전망
가. 국내 IPR 보유 현황 및 전망
나. 해외 IPR 보유 현황 및 전망
(10) 그린 ICT 관련성 및 녹색기술수준
3) 표준화 전략
(1) SWOT 분석 및 추진방향
(2) 표준화 항목별 국제 표준화 전략
(3) S1 : 적극공략 항목(선도경쟁)
가. AT-DMB 전송(혼신보호비) 표준(표준화특성: 후행)
나. TPEG-RWI 서비스 기술(표준화특성: 병행)
(4) S2 : 차세대공략 항목(신규제안)
가. DMB RTK 서비스 기술(표준화특성: 병행)
나. DMB 자동인지 재난방송 기술(표준화특성: 병행)
다. 위치기반 재난방송 기술(표준화특성: 병행)
(5) S3 : 방어적수용 항목(수용/적용)
가. 디지털 라디오 기술(표준화특성: 후행)
(6) S4 : 다각화협력 항목(부분협력)
가. AT-DMB CAS 기술(표준화특성: 병행)
나. Smart DMB API 기술(표준화특성: 병행)
(7) 표준화 항목별 중기(2013~2015년) 표준화 계획
3. 융합방송 기술 (IPTV?스마트TV)
1) 추진경과 및 중점 추진방향
(1) 추진경과
가. IPTV 나. 스마트TV
(2) 버전별 표준화 항목 비교표
가. IPTV 나. 스마트TV
(3) Ver.2013 중점 추진방향
가. IPTV 나. 스마트TV
2) 국내외 현황
(1) 국내외 기술개발 주요현황 및 이슈
가. IPTV 나. 스마트TV
(2) 국내 표준화 주요현황 및 이슈
가. IPTV 나. 스마트TV
(3) 국제 표준화 주요현황 및 이슈
가. IPTV 나. 스마트TV
(4) 정책/산업 주요현황 및 이슈
가. IPTV 나. 스마트TV
(5) 시장 현황 및 전망
가. IPTV 나. 스마트TV
(6) 기술개발 현황 및 전망
가. IPTV 나. 스마트TV
(7) 표준화 현황 및 전망
가. IPTV 나. 스마트TV
(8) IPR 보유현황 및 전망
가. IPTV 나. 스마트TV
(9) 그린 ICT 관련성 및 녹색기술수준
가. IPTV 나. 스마트TV
3) 표준화 전략
(1) SWOT 분석 및 추진방향
가. IPTV 나. 스마트TV
(2) 표준화 항목별 국제 표준화 전략
가. IPTV 나. 스마트TV
(3) S1 : 적극공략 항목(선도경쟁)
가. IPTV 나. 스마트TV
(4) S2 : 차세대공략 항목(신규제안)
가. IPTV 나. 스마트TV
(5) S3 : 방어적수용 항목(수용/적용)
가. IPTV 나. 스마트TV
(6) S4 : 다각화협력 항목(부분협력)
가. IPTV 나. 스마트TV
(7) 표준화 항목별 중기(2013~2015년) 표준화 계획
가. IPTV 나. 스마트TV
(8) 국내?외 관련표준 대응리스트
가. 실감방송분야
나. 이동멀티미디어분야(DMB)
다. 융합방송분야(IPTV?스마트TV)

통계(도표) 목차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