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이원

이원

  • 유경숙
  • |
  • 지식을만드는지식
  • |
  • 2019-09-03 출간
  • |
  • 702페이지
  • |
  • 129 X 188 X 44 mm /689g
  • |
  • ISBN 9791128850004
판매가

39,800원

즉시할인가

35,82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5,82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이원(異苑)≫은 ‘기이한 이야기 동산’이란 뜻으로, 유송의 유경숙(劉敬叔)이 지은 남조를 대표하는 지괴 소설(志怪小說) 모음집이다. 현재 통행본은 10권에 총 383조의 고사가 수록되어 있다.
≪이원≫이란 서명은 한나라의 유향(劉向)이 지은 ≪설원(說苑)≫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 ≪이원≫에 수록된 고사의 시대 범위는 춘추 시대부터 진(秦)나라와 한나라, 삼국 시대, 진(晉)나라, 그리고 유경숙이 살았던 유송 초기까지 약 1000여 년에 달하는데, 특히 진(晉)나라 때의 고사가 가장 풍부하다. ‘기이한 이야기 동산’이란 뜻의 ≪이원≫은 각 권마다 비슷한 주제의 고사를 모아 총 10개의 이야기 동산을 만들었는데, 이는 찬자 유경숙의 의도적인 구상으로 여겨진다.
권1은 25조로 산천의 신령한 자취와 기이한 자연 현상에 관한 전설이 주를 이룬다.
권2는 37조로 기이한 물건과 그것이 변한 요괴 고사가 주를 이룬다.
권3은 57조로 각종 동물의 변화 고사가 주를 이루며, 일부 고사에는 보응 관념이 반영되어 있다.
권4는 65조로 길흉의 징조, 참위(讖緯), 요언(謠諺)에 관한 고사가 주를 이룬다.
권5는 38조로 민간에서 받들어 모시던 매고신(梅姑神)·소고신(小姑神)·자고신(紫姑神)·죽왕삼랑신(竹王三郞神)·강백신(江伯神)·항우신(項羽神) 등의 신령한 영험에 관한 고사가 주를 이룬다. 그 밖에 신선과 이승(異僧)에 관한 전설도 들어 있다.
권6은 41조로 귀신에 관한 고사가 주를 이루는데, 귀신이 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사람을 만나거나 사람에게 해코지하는 고사가 많다.
권7은 33조로 묏자리를 점치거나 꿈자리의 징조에 관한 고사가 주를 이룬다.
권8은 46조로 요괴가 변신해 사람과 교유하거나, 사람이 동물로 변하거나, 사람이 죽었다가 다시 살아나거나, 부인의 기이한 임신과 출산에 관한 고사가 주를 이룬다.
권9는 20조로 점복(占卜)과 술수에 관한 고사가 주를 이룬다. 특히 관노(管輅)에 관한 고사가 10조나 되는데, 이를 통해 유경숙이 살았던 시대에 관노의 전설이 이미 민간에 널리 퍼져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권10은 21조로 역사 인물들의 충렬(忠烈)과 절의(節義)에 관한 고사가 주를 이룬다.
이상에서 살펴본 ≪이원≫의 고사는 권10의 일부 고사를 제외하고는 지괴 소설의 전통적인 내용을 계승해 신괴류와 박물류의 특성을 여실히 반영하고 있으며, 도교 고사와 불교 고사는 상대적으로 수량이 적다. 전체적으로 제재가 다양하고 내용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당시에 널리 유전되던 고사를 대대적으로 수집해, 각양각색의 이야기꽃이 활짝 핀 ‘기이한 이야기 동산’을 조성했다.


목차


권1
1-1(001) 미인 무지개(美人虹)
1-2(002) 술을 마신 무지개가 황금을 토해 내다(飮虹吐金)
1-3(003) 무지개가 할머니로 변하다(虹化?)
1-4(004) 흰 무지개가 방으로 들어오다(白虹入室)
1-5(005) 구의산의 순임금 사당(九?山舜廟)
1-6(006) 형산의 세 봉우리(衡山三峰)
1-7(007) 멱담의 말 발자국(汨潭馬跡)
1-8(008) 고석산(姑石山)
1-9(009) 천태산(天台山)
1-10(010) 변산의 돌 궤짝(卞山石櫃)
1-11(011) 도간의 낚시터(陶侃釣磯)
1-12(012) 승기산(乘磯山)
1-13(013) 백장산의 돌 책(百丈山石書)
1-14(014) 도산의 뿔피리 소리(濤山角聲)
1-15(015) 사산의 북과 뿔피리(沙山鼓角)
1-16(016) 구용의 수맥(句容水脈)
1-17(017) 오백 병사의 제방(五百陂)
1-18(018) 백부 여울(百簿瀨)
1-19(019) 물고기가 날아가는 길(飛魚徑)
1-20(020) 산정의 새 둥지(山井鳥巢)
1-21(021) 용의 헛기침(龍?)
1-22(022) 끓는 우물(沸井)
1-23(023) 우물 벽돌에 새겨진 가짜 용(井?疑龍)
1-24(024) 무계의 석굴(武溪石穴)
1-25(025) 옥저의 동쪽 경계(沃沮東界)

권2
2-1(026) 낙종이 저절로 울리다(洛鐘鳴)
2-2(027) 오군의 돌 북(吳郡石鼓)
2-3(028) 구리 세숫대야(銅?盤)
2-4(029) 저절로 타는 돌(燃石)
2-5(030) 현절릉의 책문(顯節陵策文)
2-6(031) 무기고의 화재(武庫火)
2-7(032) 황금 사슬에 매인 황금 소(金鎖金牛)
2-8(033) 동전이 흙으로 변하다(錢變土)
2-9(034) 구리 화로가 저절로 움직이다(銅?自行)
2-10(035) 작은 배 한 척에 실린 황금(一舡金)
2-11(036) 장림형의 큰 배다리(樟林桁大船)
2-12(037) 산음현의 동전 실은 배(山陰縣錢船)
2-13(038) 황금 솥이 구리 방울로 변하다(金鼎變銅鐸)
2-14(039) 종이 물속에서 울리다(鍾鳴水中)
2-15(040) 원마하의 푸른 구슬(元馬河碧珠)
2-16(041) 구리 가마솥이 소리를 내다(銅釜作聲)
2-17(042) 구리 말(銅馬)
2-18(043) 옥돼지(玉?)
2-19(044) 때밀이 돌이 황금을 품다(洗石孕金)
2-20(045) 돌 낙타(石駱?)
2-21(046) 부처의 머리카락(佛髮)
2-22(047) 석성의 감귤(石城甘橘)
2-23(048) 오색 거품돌(五色浮石)
2-24(049) 감귤이 솔개로 변하다(柑化鳶)
2-25(050) 대나무에서 꽃이 피다(竹生花)
2-26(051) 대추나무에서 복숭아와 오얏이 자라다(棗生桃李)
2-27(052) 뽕나무에서 오디가 두 번 열리다(桑再?)
2-28(053) 흰 오디(白桑?)
2-29(054) 대나무 마디 속의 사람(竹節中人)
2-30(055) 연리죽(連理竹)
2-31(056) 상서로운 참외(嘉瓜)
2-32(057) 세 줄기에 달린 참외 하나(一瓜三莖)
2-33(058) 월왕채(越王菜)
2-34(059) 참마(土藷)
2-35(060) 인삼(土精)
2-36(061) 교주의 버섯(交州菌)
2-37(062) 신농굴(神農窟)

권3
3-1(063) 학이 말을 하다(鶴語)
3-2(064) 난새가 울다(鸞鳴)
3-3(065) 앵무새가 꿈을 얘기하다(鸚鵡說夢)
3-4(066) 앵무새가 산불을 끄다(鸚鵡滅火)
3-5(067) 구관조가 말을 배우다(??學語)
3-6(068) 구관조가 비파 연주를 듣다(??聽琵琶)
3-7(069) 꿩이 거울을 보고 춤추다(山鷄舞鏡)
3-8(070) 까마귀 떼가 개를 쪼다(?烏?犬)
3-9(071) 두견새가 울음을 재촉하다(杜鵑催鳴)
3-10(072) 닭이 사람 말을 하다(鷄作人語)
3-11(073) 금빛 거위(金色鵝)
3-12(074) 거위가 다른 무리를 이끌고 오다(鵝引導)
3-13(075) 호랑이의 표식(虎標)
3-14(076) 호랑이가 부좌를 잡아가다(虎攫府佐)
3-15(077) 미녀가 호랑이로 변하다(美女變虎)
3-16(078) 호랑이를 길러 소송을 처리하다(畜虎理訟)
3-17(079) 취해서 호랑이와 함께 잠자다(醉共虎眠)
3-18(080) 곰 굴에서 오물을 치우다(熊穴?穢)
3-19(081) 곰의 자(字)를 부르다(熊呼字)
3-20(082) 유번이 노루를 사냥하다(劉幡射?)
3-21(083) 큰손님(大客)
3-22(084) 팔려던 소가 눈물을 글썽이다(貨牛淹淚)
3-23(085) 말이 부견을 건네주다(馬度?堅)
3-24(086) 개가 따라 죽다(犬殉)
3-25(087) 날쌘 토끼(狡?)
3-26(088) 쥐 왕국(鼠王國)
3-27(089) 손을 모으는 쥐(拱鼠)
3-28(090) 의로운 쥐(義鼠)
3-29(091) 당공방의 쥐(唐鼠)
3-30(092) 구슬을 주머니에 담아 은덕에 보답하다(囊珠報德)
3-31(093) 칼을 담비 가죽과 바꾸다(刀子換貂皮)
3-32(094) 장산의 정령(蔣山精)
3-33(095) 용 젓갈(龍?)
3-34(096) 집에 사는 용이 부를 가져오다(宅龍致富)
3-35(097) 서사의 기이한 물체(西寺異物)
3-36(098) 토룡(土龍)
3-37(099) 뗏목이 용으로 변하다(?變龍)
3-38(100) 교룡을 쏘아 죽였다가 비명횡사하다(射蛟暴死)
3-39(101) 등하가 교룡을 해치우다(鄧遐治蛟)
3-40(102) 몽산의 거대한 뱀(蒙山大蛇)
3-41(103) 새참을 얻어먹은 동물의 기이한 보답(餉田異報)
3-42(104) 뱀이 꿩으로 변하다(化雉)
3-43(105) 뱀이 꿩 미끼에 응하다(蛇應雉媒)
3-44(106) 대나무가 뱀과 꿩으로 변하다(竹中蛇雉)
3-45(107) 종충이 뱀을 기르다(鍾忠畜蛇)
3-46(108) 뱀이 물고 온 풀(蛇銜草)
3-47(109) 사공(蛇公)
3-48(110) 제갈각의 박식함(諸葛博識)
3-49(111) 거북에게 머리를 조아리고 길을 찾다(叩龜得路)
3-50(112) 함어(?魚)
3-51(113) 죽은 사람의 머리카락이 드렁허리로 변하다(死人髮變?)
3-52(114) 삶은 고기가 두꺼비로 변하다(煮肉變蝦?)
3-53(115) 나비가 갈치로 변하다(蝶變?)
3-54(116) 앵무소라(鸚鵡螺)
3-55(117) 쉬파리가 조서를 전하다(蒼蠅傳詔)
3-56(118) 머리를 조아리는 벌레(叩頭蟲)
3-57(119) 도롱이벌레(縊女)

권4
4-1(120) 불타는 우물(火井)
4-2(121) 몇 대의 천자(數世天子)
4-3(122) 업궁에 새겨진 글자(?宮刻字)
4-4(123) 태양이 성을 도는 꿈을 꾸다(夢日環城)
4-5(124) 누런 기운이 신령함을 모으다(黃氣鍾靈)
4-6(125) 관잠왕이 검을 바치다(管?王獻劍)
4-7(126) 양국의 예언(襄國讖)
4-8(127) 영창진(靈昌津)
4-9(128) 장안에 떠도는 노래(長安謠)
4-10(129) 하늘에서 내려 준 보리(天麥)
4-11(130) 신이 스스로를 현명이라 칭하다(神自稱玄冥)
4-12(131) 올빼미가 군중에서 울다(梟鳴牙中)
4-13(132) 유기노(劉寄奴)
4-14(133) 여수(女水)
4-15(134) 아이들이 모래를 나르다(小兒輦沙)
4-16(135) 진나라 선제의 묘당(晉宣帝廟)
4-17(136) 해부의 깃털(海鳧毛)
4-18(137) 옷 속의 불빛(衣中火光)
4-19(138) 옥마에 이빨이 빠져 있다(玉馬缺口齒)
4-20(139) 낙양성의 두 마리 거위(洛城二鵝)
4-21(140) 수건 상자 속의 북과 뿔피리(巾箱中鼓角)
4-22(141) 노수 모반의 예언(盧修叛讖)
4-23(142) 의희 연간의 화재(義熙火災)
4-24(143) 손은 반란의 징조(孫恩亂兆)
4-25(144) 장구의 흉조(藏?凶兆)
4-26(145) 부진(전진)이 망할 징조(?秦亡徵)
4-27(146) 모용황이 사냥하다 죽다(慕容死獵)
4-28(147) 서진이 망할 징조(西秦將亡)
4-29(148) 벼락이 쳐서 등에 글을 적다(霹靂題背)
4-30(149) 머리 없는 사람 형상(人像無頭)
4-31(150) 노용이 난을 일으키려 하다(盧龍將亂)
4-32(151) 원가 연간 말의 불길한 일(元嘉末妖?)
4-33(152) 덕성이 모여들다(德星聚)
4-34(153) 핏자국이 만든 ‘공’ 자(血迹公字)
4-35(154) 환영보(桓靈寶)
4-36(155) 위조지(魏肇之)
4-37(156) 유도민(劉道民)
4-38(157) 동전을 묻어 재앙을 면하다(埋錢免災)
4-39(158) 자사가 될 징조(刺史預兆)
4-40(159) 가밀이 주살될 징조(賈謐伏誅)
4-41(160) 유씨의 개 요괴(劉氏狗妖)
4-42(161) 사람 머리가 방 안을 엿보다(人頭窺戶)
4-43(162) 북벌 실패의 징조(北伐敗徵)
4-44(163) 거울에 얼굴이 비치지 않다(照鏡無面)
4-45(164) 반도상(盼刀相)
4-46(165) 사안석이 죽을 징조(安石薨兆)
4-47(166) 푸른 옷을 입은 여자(靑衣女子)
4-48(167) 왕수가 주살되다(王綏伏誅)
4-49(168) 쥐의 변괴가 보여 준 죽음의 징조(鼠?兆亡)
4-50(169) 환진이 죽을 징조(桓振將滅)
4-51(170) 유의가 반역하다(劉毅作逆)
4-52(171) 부양이 주살되다(傅亮被誅)
4-53(172) 단도제의 흉조(檀道濟凶兆)
4-54(173) 양주의 청(揚州靑)
4-55(174) 뒷다리가 없는 흑룡(黑龍無後足)
4-56(175) 머리를 빌리다(借頭)
4-57(176) 구운 고기가 사람 머리로 변하다(炙變人頭)
4-58(177) 유경선의 패망(劉敬宣敗)
4-59(178) 개가 사람 말을 하다(狗作人言)
4-60(179) 닭이 아궁이 불을 박차고 나오다(?突?火)
4-61(180) 장 사공이 급병이 들어 죽다(張司空暴疾)
4-62(181) 사임천이 주살되다(謝臨川被誅)
4-63(182) 붉은 귀신(赤鬼)
4-64(183) 지네(蜈蚣)
4-65(184) 햇볕에 말리는 자리에 혼이 누워 있다(魂臥曝席)

권5
5-1(185) 매고 사당(梅姑廟)
5-2(186) 궁정호 사당(宮亭湖廟)
5-3(187) 강신 사당(江神祠)
5-4(188) 죽왕 사당(竹王祠)
5-5(189) 서군 사당(徐君廟)
5-6(190) 오원 사당(伍員廟)
5-7(191) 측간신 후제(厠神後帝)
5-8(192) 해산의 사자(海山使者)
5-9(193) 단양의 원쌍(丹陽袁雙)
5-10(194) 청계의 소고(靑溪小姑)
5-11(195) 구왕(仇王)
5-12(196) 성공(聖公)
5-13(197) 구제대장군(驅除大將軍)
5-14(198) 목숨 주머니 속의 한 덩이 숯(命囊一挺炭)
5-15(199) 귀자모(鬼子母)
5-16(200) 자고신(紫姑神)
5-17(201) 좌창우황(左蒼右黃)
5-18(202) 양명부(楊明府)
5-19(203) 변산의 항우 사당(卞山項廟)
5-20(204) 장서가 비술을 전수받다(張舒受秘術)
5-21(205) 전우가 술수를 전수받다(錢祐受術數)
5-22(206) 십이기복(十二棋卜)
5-23(207) 태산부군(太山府君)
5-24(208) 전부 사당(?父廟)
5-25(209) 용이 배를 떠받치다(龍載船)
5-26(210) 왕자진(王子晉)
5-27(211) 조적서(鳥跡書)
5-28(212) 서공이 신선을 만나다(徐公遇仙)
5-29(213) 저포 놀이 하는 신선(樗蒲仙)
5-30(214) 범패(梵唱)
5-31(215) 혜원이 용에게 빌다(慧遠呪龍)
5-32(216) 죽은 혜치가 모습을 드러내다(慧熾見形)
5-33(217) 신비한 맛(靈味)
5-34(218) 나막신 한 켤레(雙?)
5-35(219) 못된 장난의 응보(惡?報)
5-36(220) 하늘에서 내려온 바리때(天鉢)
5-37(221) 불경을 염송해 처형을 멈추다(誦經停刑)
5-38(222) 오리 날갯죽지를 부러뜨린 응보(折鴨翅報)

권6
6-1(223) 왕능(王?)
6-2(224) 하후현(夏侯玄)
6-3(225) 혜중산(?中散)
6-4(226) 흙더미와 기왓장 속의 사람(土瓦中人)
6-5(227) 산양의 왕보사(山陽王輔嗣)
6-6(228) 주언이 대담하고 용감하다(朱?膽勇)
6-7(229) 귀신이 아름다운 소리로 노래하다(鬼唱佳聲)
6-8(230) 마자헌(麻子軒)
6-9(231) 죽었다가 모습을 드러내 어머니를 위로하다(形見慰母)
6-10(232) 순택이 죽었다가 모습을 드러내다(荀澤見形)
6-11(233) 죽은 부인이 남편의 화를 면해 주다(亡婦免夫)
6-12(234) 죽은 유소지가 모습을 드러내다(庾紹之見形)
6-13(235) 산음의 서기(山陰徐琦)
6-14(236) 갈휘부의 요상한 죽음(葛輝夫妖死)
6-15(237) 둥근 부채로 꿈에 작별하다(團扇夢別)
6-16(238) 붉은 옷 입은 저승 관리가 함부로 사람을 잡아가다(朱衣吏濫取)
6-17(239) 귀신이 자야가를 부르다(鬼歌子夜)
6-18(240) 허씨 집의 귀신이 소동을 벌이다(許氏鬼?)
6-19(241) 침상 아래의 노인(牀下老公)
6-20(242) 진수의 명계 인연(秦樹冥緣)
6-21(243) 영후(靈侯)
6-22(244) 문밖에서 귀신이 대답하다(戶外應聲)
6-23(245) 투기하는 귀신(?鬼)
6-24(246) 꽃처럼 아리따운 자태(花上盈盈)
6-25(247) 죽은 아들이 어머니를 위로하다(亡兒慰母)
6-26(248) 귀신이 성을 내다(鬼作嗔聲)
6-27(249) 북을 두드려 억울함을 호소하다(打鼓稱寃)
6-28(250) 사마씨의 가노(司馬家奴)
6-29(251) 안연지의 첩(?延之妾)
6-30(252) 귀신이 유밀과를 먹다(鬼食??)
6-31(253) 관청의 요괴(?中怪)
6-32(254) 유원이 북위로 들어가다(劉元入魏)
6-33(255) 사향이 사악함을 물리치다(麝香?惡)
6-34(256) 외발 귀신(一足鬼)
6-35(257) 귀신이 오목을 만들다(鬼作五木)
6-36(258) 7일간의 휴가(七日假)
6-37(259) 황부귀(黃父鬼)
6-38(260) 산신령(山靈)
6-39(261) 귀신이 서숙보를 피하다(鬼避徐叔寶)
6-40(262) 양청 집의 여러 괴이한 일(梁淸家諸異)
6-41(263) 벽오동나무(靑桐樹)

권7
7-1(264) 무제 무덤 속의 물건(武帝塚中物)
7-2(265) 반석총(礬石塚)
7-3(266) 창오왕의 무덤(蒼梧王墓)
7-4(267) 귀신에게 차를 대접해 보답을 받다(茗飮獲報)
7-5(268) 황금 거울을 보답으로 주다(金鏡助贈)
7-6(269) 고분에서 북과 뿔피리 소리가 나다(古墳鼓角)
7-7(270) 제갈여의 무덤(諸葛閭墓)
7-8(271) 계산과 치간(?山雉澗)
7-9(272) 대희의 무덤에 서린 제왕의 기운(戴墓王氣)
7-10(273) 옛 무덤 속의 온전한 시신(古墓完屍)
7-11(274) 옻칠한 관 속의 노파(漆棺老?)
7-12(275) 황공의 무덤(黃公塚)
7-13(276) 즉묵현의 옛 무덤(卽墨古塚)
7-14(277) 황제의 악공(黃帝伶人)
7-15(278) 꿈에 커다란 코끼리를 얻다(夢得大象)
7-16(279) 등애 사당(鄧廟)
7-17(280) 하신이 말을 청하다(河神請馬)
7-18(281) 꿈속에서 여덟 날개가 생겨나다(夢生八翼)
7-19(282) 무소뿔을 태워 물가를 비추다(燃犀照渚)
7-20(283) 부견의 불길한 꿈(?堅凶夢)
7-21(284) 꿈에 부인과 동침해 아이를 낳다(夢合子生)
7-22(285) 축혜유가 시 꿈을 꾸다(慧猷詩夢)
7-23(286) 왕융이 오디 꿈을 꾸다(王戎夢?)
7-24(287) 용산신(龍山神)
7-25(288) 거인이 꿈에 나타나다(長人入夢)
7-26(289) 꿈에 여의를 얻다(夢得如意)
7-27(290) 형양태수(衡陽守)
7-28(291) 꿈속에서 관을 건져 준 것에 감사하다(夢謝拯棺)
7-29(292) 꿈속에서 부참을 돌려주다(夢還符讖)
7-30(293) 유목지의 길몽(劉穆之佳夢)
7-31(294) 꿈꾼 대로 장례를 치르다(喪儀如夢)
7-32(295) 심경지의 기이한 꿈(沈慶之異夢)
7-33(296) 사객아(謝客兒)

권8
8-1(297) 조황이 뱀 요괴를 처단하다(趙晃劾蛇妖)
8-2(298) 악광이 살쾡이 요괴를 다스리다(樂廣治?怪)
8-3(299) 서석이 여자 요괴를 만다다(徐奭遇女妖)
8-4(300) 환겸이 멸문할 징조(桓謙滅門兆)
8-5(301) 푸른 옷 입은 사람이 뼈를 돌려 달라고 하다(靑衣人索骨)
8-6(302) 이상한 물체의 모습(異物象形)
8-7(303) 거북이 비석을 지고 돌아가다(龜載碑還)
8-8(304) 암원숭이가 삼태기로 들어가다(牝?入?)
8-9(305) 빗자루 요괴(掃?怪)
8-10(306) 자줏빛 옷을 입은 여자(紫衣女)
8-11(307) 복숭아나무를 베다가 요괴를 불러들이다(伐桃致怪)
8-12(308) 붉은 비름 요괴(赤?魅)
8-13(309) 무창의 세 요괴(武昌三魅)
8-14(310) 악어 요괴(?魅)
8-15(311) 잠시 메뚜기와 함께 살다(暫同阜?)
8-16(312) 여자로 변한 수달(獺化)
8-17(313) 거미 요괴(蜘蛛魅)
8-18(314) 왕찬이 요괴에게 침을 놓다(王纂針魅)
8-19(315) 살쾡이 속의 살쾡이(狸中狸)
8-20(316) 돌 거북이 곡식을 축내다(石龜耗粟)
8-21(317) 새끼줄 올가미로 상투 요괴를 잡다(繩?獲?)
8-22(318) 나무 아래의 노인(樹下老公)
8-23(319) 서현방의 딸이 다시 살아나다(徐女復生)
8-24(320) 진충의 딸(陳忠女)
8-25(321) 낙안현의 장침(樂安章?)
8-26(322) 태교(胎?)
8-27(323) 이마 위에서 아이가 나오다(額上生兒)
8-28(324) 임신해 얼음을 낳다(懷姙生氷)
8-29(325) 요괴 태아(怪胎)
8-30(326) 온반석(溫盤石)
8-31(327) 사람과 짐승을 함께 임신하다(人獸合胎)
8-32(328) 넓적다리의 종기에서 아이가 나오다(?瘡生兒)
8-33(329) 유의의 부인이 요괴를 임신하다(劉毅妻妖胎)
8-34(330) 시체가 아이를 낳다(尸生兒)
8-35(331) 한나라 말의 어린 환관(漢末小黃門)
8-36(332) 사냥하다 이인을 만나다(獵見異人)
8-37(333) 사냥꾼이 사슴으로 변하다(獵人化鹿)
8-38(334) 토지신이 사람을 호랑이로 만들다(社公令作虎)
8-39(335) 관리가 세 발 달린 호랑이로 변하다(吏變三足虎)
8-40(336) 신이 벌을 내려 호랑이가 되다(神罰作虎)
8-41(337) 호도흡(胡道洽)
8-42(338) 하늘의 벌을 받아 곰으로 변하다(天謫變熊)
8-43(339) 사석의 하얀 얼굴(謝白面)
8-44(340) 오리고기를 먹고 뱃병이 생기다(?鴨成?)
8-45(341) 소고기를 먹고 소 울음소리를 내다(食牛作牛鳴)
8-46(342) 머리카락을 잘못 삼켰다가 병이 생기다(誤?髮成病)

권9
9-1(343) 정강성(鄭康成)
9-2(344) 잃어버린 소(亡牛)
9-3(345) 실종된 부인(失妻)
9-4(346) 화재(火?)
9-5(347) 사슴 도둑(盜鹿)
9-6(348) 잃어버린 물건(失物)
9-7(349) 새 울음소리(鳥鳴)
9-8(350) 날아온 비둘기(飛鳩)
9-9(351) 전별연에서의 석복 놀이(餞席射覆)
9-10(352) 인장 주머니와 꿩 깃털(印囊山?毛)
9-11(353) 왕경이 승진하다(王經遷官)
9-12(354) 조후의 기이한 술법(趙侯異術)
9-13(355) 유가덕이 점을 잘 치다(庾嘉德善筮)
9-14(356) 임후가 군대에서 돌아오다(任?從軍)
9-15(357) 목견이 저주받아 죽다(沐堅呪斃)
9-16(358) 음사의 요망한 환술(淫祠妖幻)
9-17(359) 황금으로 배를 빌리다(黃金?船)
9-18(360) 손계의 노복(孫溪奴)
9-19(361) 영가 사람 양동(永嘉陽童)
9-20(362) 왕복양의 의술(王?陽醫術)

권10
10-1(363) 족하라는 칭호(足下之稱)
10-2(364) 전문이 5월에 태어나다(田文五月生)
10-3(365) 오나라 객의 나무 독수리(吳客木?)
10-4(366) 안오의 지극한 효성(?烏純孝)
10-5(367) 조아의 비문(曹娥碑)
10-6(368) 관영이 허물을 생각하다(管寧思過)
10-7(369) 서막이 몰래 술을 마시다(徐邈私飮)
10-8(370) 투기한 부인 때문에 후사가 끊어지다(妬妻絶嗣)
10-9(371) 만분의 기름진 땀(滿奮膏汗)
10-10(372) 벼락이 쳐도 놀라지 않다(雷震不驚)
10-11(373) 주효가 절개를 지키다(周?守節)
10-12(374) 파낸 황금을 서로 양보하다(掘金相讓)
10-13(375) 하백에게 편지를 보내다(投?河伯)
10-14(376) 장정의 부인(張貞婦)
10-15(377) 양향이 호랑이의 목을 조르다(楊香?虎)
10-16(378) 최경현의 은혜로운 정치(崔景賢惠政)
10-17(379) 임성왕이 폭음하다(任城王沈飮)
10-18(380) 유옹이 부스럼 딱지를 좋아하다(劉邕嗜痂)
10-19(381) 손광이 이를 꺼리다(孫廣忌?)
10-20(382) 유휴류(劉??)
10-21(383) 양면이 쌓아 놓은 돈꿰미(揚藏?)

부록
유경숙전(劉敬叔傳)
역대 저록(著錄) 및 서발(序跋)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