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우리나라에 사회복지가 도입된 것은 6. 25 동란이후 주로 경제적 빈곤과 전쟁고아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서구의 의료기관과 단체들이 참여한 때부터이며, 지금까지 반세기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오늘날 사회문제는 사회의 변천 과정과 더불어 과거의 단순한 경제적 문제로부터 사회·심리적 요인, 정치적 요인이 보다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사회복지는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사회에 제기되는 인간 생활상의 다양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하여 계속 노력하고 있는 것이다.
사회복지는 국민생활의 모든 영역에 관련되며 인간의 사회적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게 하는 것으로 현대사회가 지향하는 지표로 받아들여지고 있음과 동시에 이의 구체적인 실현을 위해서는 사회복지와 사회복지행정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전문성이 요구되고 있다. 사회복지행정은 사회복지의 여러 서비스를 사회복지 수요자들에게 전달하고 집행하는 학문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회복지행정이란 사회복지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사회복지정책의 형성 및 구체화를 위한 행동이라는 개념이다.
이 책의 편집체계는 총 9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사회복지의 이해이다. 사회복지의 사회적·어의적 의미, 사회복지의 개념, 사회복지의 목적으로 구성되었고, 제2장은 사회복지의 구성과 기능의 이해이다. 사회복지의 주체, 사회복지의 대상, 사회복지의 기능으로 구성하였고, 제3장은 사회복지 모형의 이해이다. 윌런스키와 르보(Wilensky & Lebeaux)의 사회복지모형, 티트무스(R. M. Titmuss)는 사회복지모형, 미쉬라(R. Mishra)는 사회복지모형이다. 제4장은 사회복지의 중요용어의 이해이다. 사회복지와 사회사업, 사회보장과 사회적 서비스, 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실천의 이해이다.
제5장은 사회복지의 윤리와 철학의 이해이다. 인간의 욕구, 윤리와 철학, 사회복지윤리, 사회복지철학, 사회복지의 사상적 배경, 사회복지의 역사적 배경, 서구제도의 도입과 한국의 사회복지의 이해이다. 제6장은 사회복지행정의 이해이다. 사회복지행정의 의의, 사회복지행정의 과정, 사회복지행정과 일반행정의 비교, 사회복지행정의 조직구조, 복지행정인의 리더십, 사회복지행정의 인사관리, 사회복지 행정인의 역할, 민간사회복지행정, 사회복지실천,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이해이다. 제7장은 사회보장의 이해이다. 사회보장의 의의. 사회보험,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이해이다. 제8장은 대인사회복지서비스의 이해이다. 아동복지, 청소년복지, 여성복지, 노인복지, 장애인 복지의 이해이다. 제9장은 지역복지와 지방자치의 이해이다. 지역사회와 지역문제, 지역복지의 의의, 지방자치와 지역복지의 이해이다.
위와 같은 내용을 다룬 본서가 독자들에게 사회복지행정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을 가져본다.
2019년 7월 4일
금산골 연구실에서
저자 김 훈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