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학습전략은 학습의 성취도와 수월성을 높이기 위한 자기주도적 학습 기술 또는 접근을 의미합니다. 대부분 학습전략은 학습자가 학습의 과정을 통해 자연스럽게 체득하게 됩니다. 그러나 효과적인 학습전략을 완전하게 체득하지 못한 학습자를 위해서 교육 전문가는 학습전략을 습득하도록 안내하고 조력하여 성공적인 학습으로 이끌 필요가 있습니다. 학습전략에 다양한 학자들이 각자의 분류 기준을 제시하였지만 그 중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McKeachie의 인지전략, 상위인지전략, 자원관리전략, 통합전략의 분류입니다. 인지전략은 학습내용을 읽고 이해하기 위한 전략으로 자료를 부호화하거나 시연하고, 정교화하는 전략이 포함됩니다. 상위인지전략은 학습 내용에 대하여 학습자가 스스로 점검하고 평가하는 것으로 학습을 계획하고, 학습 내용 및 방법을 조정하고 조절하는 전략을 말합니다. 자원관리 학습전략은 학습 환경 자원을 학습자가 조정하거나 학습에 대한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시간관리, 학습환경 관리, 노력 관리 전략 등이 포함됩니다. 마지막으로, 통합전략은 세 가지 전략을 오랜 기간 동안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로 정의하였습니다. 이 책에서는 다양한 학습전략을 이러한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소개하고, 교육 전문가들이 여러 학습자들을 효과적으로 조력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첫째, 이 책은 총 3부 9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부에서는 인지/상위인지 학습전략, 시간관리/공부환경관리전략, 개념도 학습전략, 동기 학습전략의 내용을 소개하였습니다. 2부에서는 협동에 기반한 학습전략에 대한 설명과 함께 STAD 학습전략, TAI 학습전략, Jigsaw 학습전략에 대하여 제시하였습니다. 3부에서는 통합적인 학습전략의 접근으로서 자기조절 학습전략과 학습전략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을 담았습니다. 여기 소개된 전략은 우리나라 교육현장에서 실시된 학습전략에 기반하여 제시하고 있습니다. 실제적인 프로그램과 효과 검증을 실시한 여러 연구자들에게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둘째, 이 책은 증거기반실제(EBP: Evidence Based Practice)에 기반을 두고 기술되었습니다. 증거기반실제는 1980년대 후반 미국의 복지·의학·사회분야에서 제안된 이후, 2000년대에는 심리·정신·경제·인문·과학 등 전반에 걸쳐 확대되었고(김동일 외, 2012), 상황-중재-효과에 대한 연구물과 임상적 근거가 통합되어 활용되고 있습니다.
셋째, 증거기반실제의 입증에 도움이 되도록, 우리나라 교육현장에서 구현된 실험연구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함의를 도출하는 메타분석 연구를 제시하여, 현장의 적용가능성을 높이고자 하였습니다.
넷째, 이론적 내용 소개에 더불어, 학습전략 프로그램에 대한 예시 프로그램과 지도안, 워크북 내용을 갖추어 독자들이 실제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데 용이하도록 하였습니다.
이 책을 내놓기까지 매우 많은 분들의 도움이 있었습니다. 같이 공부해 온 서울대 대학원 전공생들, 특히 오지원, 곽다은, 박새미, 이준원 선생, 그리고 정성어린 손길로 책을 만들어준 박영사 임직원 여러분께 진심으로 고마운 마음을 전합니다. 특히, ‘SSK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교육지원 연구’를 통하여 우리에게 귀한 배움의 기회를 제공해 준 한국연구재단, 현장교사, 상담자들을 기억하고자 합니다. 마지막으로 지속적으로 지지해 주고 귀한 의견을 나누어준 독자 여러분들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2019년 관악산 연구실에서
오 름 김 동 일